인터벌 촬영의 개념을 퍼오려고 했는데 검색해도 나오지 않는다.
뭐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보통 초당 30이나 24장의 그림을 찍어내는 것이 정상속도라면 그보다 훨씬더 띄엄띄엄 찍는 것을 말한다. 30초에 1장씩 찍어낸다던지 1분마다 10장을 찍어내는... 자연 다큐멘터리에서 나오는 꽃이피는 장면이나 일출과 일몰 장면을 촬영하는 기법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아무튼 시간을 멈추는 남자의 이야기인 캐쉬백에서 인터벌 촬영이 나온다는게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것이다.

<도시의 전경은 순식간에 낮이 된다>

위의 두 그림을 보면 알겠지만 도시의 전경은 순식간에 밤에서 낮으로 바뀐다. 물론 하늘의 구름은 엄청난 속도로 흘러가고.

감독의 의도는 역시나 명확하다. 인터벌 촬영의 기본적인 의미. 즉, 시간이 빠르게 흘러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벤의 나레이션과는 조금 상충된 의미인듯 하다. 벤은 자려고 해도 잠을 잘 수가 없어서 시간이 너무 남아돈다는 의미로 이야기하는데 장면은 그저 느낄새도 없을 만큼 하루가 빨리 지나가는 느낌이다.

명시적인 의미로 벤이 잠을 이루지 못하는 날들이 굉장히 많았다는 의미가 가장 무난한 해석이라고 생각된다. 인터벌 촬영의 의미는 시간이 흘렀다는 의미가 되니까.. '벤의 나레이션과 합쳐서 벤이 잠을 이루지 못한 나날들이 계속해서 흘렀다'정도로 보면 될 것 같다.

하지만 조금 다른 해석을 해보자면 반어법적인 표현이라고도 볼 수 있다. 벤이 느끼는 지루함 넘치는 시간을 인터벌 촬영으로 인해 엄청나게 빨리 흘러가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벤이 느끼는 지루함을 오히려 반어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차는 안보이고 불빛이 지나가는 것으로만 보인다>

그리고 감독이 애초에 의도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이러한 인터벌 촬영에서 왠지 모를 벤의 슬픔이 배어나온다. 도시가 경련을 일으키는 것처럼 파르르 떨고 있는 모습은 벤의 나레이션과 음악과 합쳐져서 아픔을 표현한다. 특히 나무가 바람에 떠는 모습이 굉장히 슬퍼보인다. 위의 사진처럼 밤에 촬영한 흐르는 불빛들은(사실 지금 내가 말하는건 셔터스피드를 느리게 하는 기법이지만) 슬픔을 표현하는데 자주 쓰이곤 했다.

벤이 시간을 멈출수 있고 느리게 할수 있고 빠르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여기서도 복선으로 보여주는 것일까? 아니면 단순히 시간을 멈추는 영화니까 이렇게 시간이 빠르게 흐르는 모습도 보여주고 싶었던 것일까? 또, 내가 위에서 말한 것처럼 인터벌 촬영을 슬픔을 표현하는 표현기법으로 감독에게 받아들여진 것일까?

의도야 어쨌든 상당히 좋은 결과를 빚어낸듯 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