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1/29 - [video grammer] - 영상문법 - 전지적 작가 시점 <아멜리에>에서 처럼 영화에서의 전지적 작가 시점은 대부분 나레이션으로 표현되기 마련이다. 반면 만화에서는 수많은 작품에서 작가가 직접 등장하여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이러한 표현방식이 만화에 더 맞고 좋기 때문이 아니라 그저 그러한 방법이 보편화 되었을 뿐이다.

보편화 되지 않은 방식으로 러브콤에서는 주인공의 심리를 발설해 버린다.

<이 사람이 영화 감독인가?>

만화책에서 주로 이런식으로 등장하는 사람은 펜을 가지고 있는 모습으로 작가가 대부분이다. 그렇다면 이 장면에서 등장하는 저 할아버지가 이 영화의 감독일까?

아무튼 이 장면에서 만화 원작의 영화 러브콤은 확실하게 만화적인 표현을 하고 있다. 옛 여친에게 미련이 남았냐는 질문에 미련이 남지 않았다고 대답하지만 먼곳을 바라보는 오오타니의 얼굴에서 화면이 멈춘다. 그리고 프레임의 밑에서부터 왠 할아버지가 올라와서 이건 상당히 미련이 남는 얼굴이라는 이야기를 한다.

사실 굳이 이런 할아버지가 나오지 않아도 상관없다. 관객은 이미 오오타니가 미련이 남았을 것이라는 추측을 충분히 할수 있다. 보통의 영화라면 이런 표정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끝이다. 좀더 확실히 하기 위해서 어떤 다른 사건에서 상징적으로 미련이 남은 모습을 보여줄 수도 있다. 영화에서는 보통 이렇게 직접적으로 이야기 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는 직접 이야기하는 것을 서슴지 않는다. 만화가 원작인 코메디 장르라는 특성을 등에 업은 것일까? 아무튼 할아버지가 나와서 직접 이야기 해버린 탓에 관객들은 오오타니가 확실히 미련이 남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모든 영화가 이렇다면 얼마나 편할까? 직접 관객에게 알려주고 싶은 정보를 알려줄 수 있다면. 하지만 이런 방식은 결코 영화에서 중요한 장면에서는 쓰여서는 안된다. 이 영화에서도 결국 중요한 감정은 전통의 영화적 표현으로 감당하고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