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타주 하면 아는 사람은 모두 알겠지만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이 이론화한 영상 문법입니다
간단하게 뜻을 설명하자면 컷A와 컷B가 충돌해서 새로운 뜻을 창조한다는 말입니다
무슨 말인지 어려운 분들을 위해 가장 유명한 에이젠슈타인의 전함 포텐킨의 몽타주 장면을 설명하면 앉아있는 사자 동상 컷 뒤에 바로 일어서있는 사자동상 컷을 붙입니다
이것들은 독립된 개체로 서로 같은 동상이 아닙니다
하지만 에이젠슈타인은 이것은 결코 일어설수 없는 사자동상(군중)이 일어섰다(봉기했다)라는 의미로 충돌시킵니다

어쨌든 현대 영화에서 대부분의 컷이 충돌이 아닌 화합으로 이루어져있지만 가끔 몇몇 감독들에 의해 몽타주가 - 주로 씬과 씬의 연결에서- 보여지기도 합니다

위의 동영상에 보면 발레연습을 하다가 발목을 삔 앨리스가 아파하자 주변의 동료가 봐주러 옵니다. 그리고 앨리스의 발에 얼굴을 맞아 드러눕습니다
그리고 다음씬에서 병원의 두개골 사진이 나옵니다
영화를 보는이들은 이것을 당연스럽게도 앨리스의 발에 얼굴을 맞은 그녀라고 확신합니다. 하지만 이 장면은 의외로 남자주인공이 기억상실을 진료하기 위해 병원을 찾은 장면이라는걸 곧 알게 됩니다.

<사진A - 얼굴을 감싸고 드러누워있는 발레녀>

<사진B - 병원의 두개골 X - RAY 장면>

영화의 스토리상 발레녀가 얼굴을 맞는 장면은 전혀 의미가 없습니다
이후에 얼굴을 맞은 그녀가 어떻게 됐는지 나오지도 않고 이 사건으로 인해 다른사건이 야기되지도 않습니다
익살스럽게도 이어지는 병원씬은 영화의 큰 스토리상 남자 주인공이 내가 정말 기억상실증이 맞는지 의심하는 장면입니다
이 두 장면을 이어붙여서 전혀 새로운 사실을 만들게 됩니다
물론 이것은 감독이 관객에게 던지는 조크같은 훼이크이며 영화에서 크게 작용하는 의미는 없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분명히 의도한 몽타주라는 것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발레를 하다가 아무런일이 일어나지 않은채 병원씬으로 넘어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지금의 편집보다 지루합니다
결국 이러한 두 쇼트의 충돌로써 얻어낸 효과는 영화를 보는 관객들에게 스토리 외적인 재미를 줍니다
이것은 스토리 외적인 CG나 액션 장면 같은 효과라고 할 수 있겠죠

이러한 몽타주 기법은 한국영화의 장면전환에도 많이 쓰입니다
봉준호 감독의 '살인의 추억'에서 시체 부검장면 직후 나오는 생고기를 굽는 장면이나 김상경이 박해일의 자취방에 쳐들어가 발로 찬직후 박해일이 동굴앞에서 넘어지는 시공간 압축 몽타주 또, 올드보에서 이발소의 문을 열고 들어오는 장면의 종소리와 여성이 무릎이 바로 이어지는 회상장면의 자전거의 종소리와 윤진서의 무릎으로 이어지는 몽타주등 으로 쓰여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씨네마틱에 기사화된 글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