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킥애스로 히어로물을 과감하게 비틀어 버린 매튜본 감독의 스파이 영화.

이 작품에서 역시 그는 스파이물이라는 장르를 비틀어 버린다.

 

장르를 파괴할 것이라면 역시 처음부터 해야 제맛.

킥애스에서 히어로로 보이는 정신병자가 추락사 하는 것으로 시작하는 것 처럼 이 영화는 어떻게 시작하고 있는지 살펴 보자.

 

 

<영화는 카세트테잎이 돌아가는 이미지로 시작한다>

01234

영화 킹스맨 : 시크릿 에이전트는 카세트 테잎이 돌아가는 이미지로 시작한다.

거기서부터 카메라가 빠져서 날아가는 헬기를 따라가다가 결국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 킹스맨들이 있는 건물 안까지 단 한 컷으로 보여준다.

 

게임 영상같기도 하고 화려하고 재미난 이 쇼트는 과연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2009/09/13 - [영상문법] - 영화시작의 메타포 - <바닐라 스카이, Vanilla sky>

2016/05/30 - [영상문법] - [영상문법] 영화의 시작과 끝 - 건축학개론, 2012

2011/08/12 - [영상문법] - 시치미 떼며 시작하기 <모짜르트와 고래 : Mozart And The Whale, 2005>

2009/09/13 - [영상문법] - 영화의 시작 - <귀 없는 토끼, Rabbit without ears>

 

링크한 글을 읽어보면 알겠지만 영화의 시작은 너무나도 중요하다.

관객이 처음 만나는 이미지 처음 만나는 사건 그것을 어느 시점에 어떤 각도로 누구의 관점으로 보여줄 것인가?

 

영화의 시작을 선택하는 것은 영화를 관통하는 가장 중요한 주제를 전달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영화 킹스맨의 첫 씬 자체는 아주 납득이 가는 방식이다.

주인공 에그시가 이후에 겪어야할 이야기의 전사가 펼쳐지는 것이며 이 영화의 배경 스토리가 되는 중요 사건이기 때문이다.

 

이 사건을 보여주는 방식이 왜 하필 엑스트라들이 듣고 있는 오디오의 카세트테잎 이미지인 것인가? 누가 무엇을 듣고 있는지도 명확하지 않은 이 카세트테잎은 아무리 생각해도 이 영화에서 의미가 전혀 없다.

그럴리가 있나? 영화를 처음 만드는 초짜 감독도 아니고 매튜본이 그럴리가... 그리고 이 영화의 전반적 쇼트들을 보더라도 감독이 아무 생각 없이 이 장면을 넣었을리는 없다.

단지 의도적으로 아무의미 없는 카세트테잎으로 부터 시작한 것이다.

 

왜냐고? 이 영화는 장르를 비트는 영화니까.

장르영화를 포함해 모든 영화에서 일컬어지는 영화의 첫 이미지의 미덕을 지키지 않는 것이야 말로 뒤틀기의 미덕이니까.

 

맥거핀이라는 것을 알고 있는가?

영화에서 만약 총이 나온다면 그 총은 영화 안에서 반드시 쏘아져야 한다고 주장한 사람이 있었다. 쏘아지지 않을 총이라는게 영화에 등장하는 것이 의미가 없으므로...

하지만 스릴러의 아버지인 히치콕 감독이 이 이론에 빅엿을 먹인다. 맥거핀 이론으로...

 

영화에 총이 등장하면 반드시 쏘아져야 한다고? 그럼 관객이 그것을 모두 알고 있을 것 아닌가? 그러므로 쏘아지지 않아도 의미가 생긴다. 바로 훼이크라는 명목으로...

히치콕 감독은 이런식으로 의미 없는 장면을 영화 초반에 배치하여 관객을 혼란시켰다.

범인이 아닌데도 범인처럼 보여지는 은밀한 장면들이라거나 무언가 사건이 일어날 전조의 느낌을 주는 장면이라거나...

 

킹스맨의 첫번째 카세트테잎도 비슷하게 해석되리라 생각한다.

영화의 첫번째 이미지가 의미있어야 한다고? 그건 장르영화에서 늘 그렇게 해왔지.

그런데 맨날 똑같이 만드는건 지겹잖아. 그러니까 빅엿을 선사하지.

이게 매튜본 감독의 생각이 아닐까?

 

그렇지만 매튜본 감독은 내공이 보통이 아니므로 혼자서는 아무의미 없는 이 카세트테잎의 이미지를 마지막 씬과 결합하여 의미를 만들어낸다.

 

 

<영화의 마지막 씬에 역시 아무의미 없는 카세트테잎이 또 들어간다>

 

 

모든 사건이 끝난듯 보여지지만 그렇지 않다.

매튜본 감독이 만든 킹스맨 : 시크릿 에이전트는 스파이물과 다르니까.

 

원래 스파이 영화의 주인공 예를들어 007같은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

고민이 없다. 평화를 지키는 것에 한치의 의심도 없으며 가족같은 자신의 약점이 될만한 약한 내면을 보여주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영화에서 주인공의 가장 큰 목적은 크나큰 소명과 자신의 성공이다.

 

하지만 에그시는 좀 다르다.

그는 어째서인지 계속해서 인생에서 실패해온 실패자이며 그가 킹스맨이 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바로 아버지가 살아계시기 전으로 가족을 되돌려 놓는 것이다.

이것이 에그시가 이루고자 하는 가장 궁극적 '임무'이다.

 

그래서 영화 초반에 나온 카세트테잎의 이미지로 부터 어긋난 에그시 가족의 운명이 같은 이미지로 시작된 마지막 씬에서 마침내 제 궤도로 돌아온다.

 

마지막 씬에서 스승의 가르침을 똑같이 악당들에게 돌려주며 자신의 최후의 임무를 수행하는 에그시가 멋진 이유가 무엇인가?

이 장면이야 말로 에그시가, 그리고 그에게 이입된 관객들이 가장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싶은 문제였기 때문이다. 마음속 깊이 박혀있던 가시를 빼내는 장면이기 때문에 그렇게 통쾌하고 신나는 것이다. 물론 액션도 쿨하고 멋있게 찍었지만.

의미없는 액션은 그저 허세에 불과하지 않는가?

 

영화의 첫번째 컷을 의미있게 찍으라는 법칙을 무시하기 위해 카세트테잎으로 시작하지만 그것에 다시 자신만의 작법으로 의미를 부여한 매튜본 감독의 연출력이 사실 좀 놀라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