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정보를 가지지 않은 쇼트는 없으니까 이 글의 제목은 약간 병맛 같기도 하지만 난 멍청이가 아니니까.

보통의 설정샷이 새로운 분위기의 전환 즉, 환기 기능을 하면서 그 씬이 펼쳐질 공간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면 이번에 소개할 설정샷은 내러티브적 정보를 가지고 있는 설정샷이라 하겠다. 영화를 보는 사람들이 아무렇지도 않게 자연스럽게 영화내에서 전혀 보여지지 않은 이야기를 단 한컷으로 어떻게 설명하는지 살펴보자.

<이 컷 이후로 변희봉은 완전히 사라진다>

계속해서 범인의 실마리도 잡지 못하고 심지어 아무죄도 없는 순수한 백광호를 범인으로 몰아 상황재연까지 벌인 책임을 지고 서장(변희봉)이 퇴직한다. 위의 장면은 이 영화에서 변희봉이 나오는 마지막 장면으로 젓가락을 쪼개다가 잘 안쪼개지자 '이런 젓같은'이라고 말하는 대사가 참 재미있다. 마치 지금의 상황과 자신의 앞날에 대해서 말하는 것 같다.

이건 좀 번외적인 이야기지만. 이후로 변희봉의 존재가 전혀 나오지 않는것은 조금 아쉽다. 이후에 극적 전개에 이 캐릭터를 좀더 이용했어도 좋지 않았을까? 어쩌면 사회성 짙은 이영화에서 봉준호는 권력을 내려놓은 자는 온데간데 없이 사라진다고 말하고 싶었을까?

<설정샷으로 사용되는 신문>

위의 두 컷은 좀이따 설명하겠지만 자세히 보면 기가 막히다.

아무튼 변희봉의 최후의 컷 이후에 나오는 장면은 누군가가 보고 있는 신문이다. 화면에 가장 눈에 띄는 위치에 배치된 헤드라인은 바로 '경찰 서장 전격 해임'이다. 이 단 한줄의 기사로 인해 사람들은 변희봉이 서장에서 물러났다는 사실을 인지하게 된다.

만약 이 사건을 영화에서 드라마로 표현하려면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었을까.
또한 그렇게 설명하려면 물러나는 변희봉에 대한 예우와 동정까지 곁들여져야 할 것이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그럴만한 시간도 이유도 없었다.

그리고 마치 이 신문이 접혔다가 다시 펴지는것처럼 보이지만 동영상을 자세히 보면 사실을 점프컷이다. 갑자기 신문만 나오던 샷은 검은 옷을 입은 사람의 왼쪽 어깨를 걸친 오버 더 숄더 샷으로 변하며 신문은 다음장으로 펼쳐진다. 하지만 이 다음장에는 전혀 쓸만한 정보가 없다. 이 샷에서 관객에게 필요한 정보는 갑자기 나타난 이 검은 어깨이다.

봉준호 감독이 굳이 처음부터 어깨를 드러낸 샷으로 이 사람의 존재를 드러내지 않다가 힘들게 점프컷으로 구성한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서장이 해임 되었다는 사실만 관객에게 주고 나서 그 다음에 새로운 등장인물을 등장시켜 이 사람이 바로 새로운 서장이라는 것을 상징적으로 말해주는 편집인 것이다.

내가 항상 이야기하지만 이러한 점프컷이 애초에 의도되지 않았을리 없으므로 굳이 이렇게 비슷한 사이즈의 2개의 장면을 찍은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갑자기 나타난 어깨처럼 어디선가 갑자기 나타난 이 서장은 영화에서 어떠한 설명도 없다.
어떻게 생각하면 이 서장으로 인해 이야기는 급속도로 김상경 위주로 펼쳐지지만 결과적으로 전혀 의미가 없는 인물이라는 이야기를 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그리고 다음샷에서 바로 이 새로운 경찰 서장을 보여준다>

이 장면에서 관객이 경찰 서장이 해임되었다고 이 사람이 새로운 서장이라고 생각할리는 없지만 일단 이렇게 새로운 인물이 등장하는 장면을 보여주는 방식에 대해서 생각해 봐야 할 것이다. 굳이 이 인물의 등장에 '경찰 서장 전격 해임'이라는 헤드라인을 때려박아준 이유에 대해서 관객이 고민할 틈도 없이 바로 다음장면에서 송강호의 프리젠테이션을 듣는둥 마는둥 하는 이 남자가 보여진다.

관객들은 불과 1분 정도의 장면으로 변희봉이 해임되고 새로운 경찰서장이 왔으며 그게 바로 이 사람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이런식의 사건 전개를 모두 하나하나 정극으로 보여줄 필요는 없다. 때때로 영화에서는 빠르게 많은 사건들을 설명해야 하는 경우가 생긴다.


현대 영화의 컷들의 90%이상이 기본적인 연속 편집으로 되는 것은 어쩔수 없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보이는 점프컷들이나 순간적인 시간을 뛰어넘는 편집이 어렵고 더욱 중요한 것이다.

살인의 추억에서 송강호와 김상경의 첫만남이 그러하다. 관객들이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은 굳이 보여줄 필요가 없다. 그리고 현대의 관객들은 이제 어떤 시간대를 뛰어넘어 보여줘도 왠만하면 알아듣는다. 관객이 알아채지 못하게 하는게 최근에는 더 어렵지 않나 생각될 정도이다.

<이 장면은 프레임인 프레임이라는 쓸데 없는 이름으로 분류되는 문법>

송강호가 김상경을 두들겨 패서 끌고 오는 장면은 자동차의 백미러로 포착된다. 이것은 프레임인 프레임이 가지고 있는 상징적이거나 미학적인 장면이라기 보다는 단순한 영화적 유흥이라고 보여진다. 단순히 찍는것보다 더 재미있는 장면이 구성되기 때문이다.

<아무튼 송강호의 수갑을 보고 김상경은 묻는다. '너 형사야?'>

영화에서 김상경이 송강호에게 너 형사야? 라고 묻는다. 하지만 이 이후의 장면은 굳이 보여줄 필요가 없다. 관객들은 송강호가 이미 형사인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봉준호 감독은 과감하게 시간대를 뛰어넘는다. 송강호와 김상경의 오해가 풀린 후로 훌쩍 말이다.

이러한 편집이 가지는 의미는 명확하게 말해서 송강호와 김상경의 첫만남을 '악연'으로 표현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언제나 그렇듯이 오해는 풀리기 마련이다. 하지만 오해가 생기는 장면은 재미있지만 오해가 풀리는 장면은 재미 없다. 그렇기 때문에 봉준호는 오해를 푸는 장면을 굳이 보여주고 싶어하지 않았다.

하지만 오해가 풀린후에는 다시 재미있는 장면이 있다. 바로 미안해하는 송강호의 모습이다. 때문에 봉준호는 굳이 김상경이 너 형사야? 라고 물은 직후에 송강호의 미안해 하는 모습으로 편집한다.

물론 촬영본이 실제로 얼마만큼 있는지는 알수 없다. 애초에 스토리보드에 이만큼만 찍히도록 계산 되어 있었는지 아니면 좀더 있는지 과감하게 잘라낸 것인지. 하지만 이 부분의 편집이 상당히 깔끔하고 세련되어 보인다.

오해를 푸는 구구절절한 설명씬을 빼버리고 둘의 '악연'만 표현한채로 서로에게 자연스럽게 부딪히게 되는 설정을 위해서 필요한만큼 많지도 적지도 않게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이렇게 한씬이지만 순간적으로 시간을 뛰어넘는 장면을 구사하기는 쉽지 않다. 장소가 이동한 것도 아니며 인물이 이동한 것도 아니기 때문이며 이것을 옛날의 많은 단편영화에서는 시계를 보여준다는 촌스러운 설정샷을 이용하기도 했다. 하지만 영화의 흐름을 끊지 않고 단 한번의 컷으로 넘어가는 이러한 시간의 압축은 수많은 영화 학도들이 배워야할 깔끔한 편집 방법이라 생각한다.

김상경의 질문에 대한 한참 뒤에 나오는 송강호의 대답.
이것이 이 편집의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문답편집이라고 말하면 되려나? 대사는 분명 영화가 가지고 있는 고유하고 강력한 무기이다. 이것을 편집에 이용하는 이러한 방법에 대해서 많은 연구좀 누가 해줬음 좋겠다.



에이젠슈타인이 주장했던 몽타주는 컷과 컷의 충돌로 인한 새로운 뜻이었지만 사실 내 생각에 현대에서는 씬과 씬을 넘기는 하나의 표현 양식으로 존재하고 있지 않은가 한다. 특히 봉준호 감독의 '살인의 추억'에서 이런 몽타주 기법이 자주 사용된다.

<카메라가 틸트다운되어 끔찍한 사체가 보여지고 곧 생고기의 컷으로 편집된다>

위의 두컷을 보자. 연속된 이 두컷의 경우 전혀 상관 없는 서로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위의 컷이 연쇄 살인범에 의하여 살해당한 피해자 여성의 사체이며 이 장면을 보여줌으로써 관객들에게 살인의 잔혹함과 피해여성에게의 동정을 일깨우고 있다.
그리고 밑의 컷은 그저 그들이 백광호에게 미안해서 그의 집에 찾아가 고기를 좀 팔아주는 장면일 뿐이다.

하지만 굳이 고기집에서의 첫 장면이 고기집 간판인 설정샷이 아니며 백광호를 찾아 왔음에도 불구하고 그의 모습으로 시작되는 것도 아니다. 고기가 얹어지는 모습이 먼저 등장한다. 사실 영화의 극적 맥락을 생각하면 고기를 먼저 보여주는 것보다 설정샷이나 백광호의 모습부터 보여주는 것이 효과적이라 생각한다. 하지만 봉준호는 시체와 생고기를 연속으로 보여줌으로써 연관지어진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낸다.

이러한 것이 바로 몽타주 기법이 아니겠는가..

끔찍한 사체를 본 직후에도 고기를 구워먹는 형사들의 무신경함을 비꼬는 장면일수도 있고 우리가 먹는 생고기와 마찬가지로 한 인간의 목숨도 너무나 쉽게 사라진 다는 상징일수도 있다. 또는 단순하게 그저 사체와 생고기의 이미지의 유사성으로 인한 편집일 수도 있다. 2009/05/06 - [video grammer] - 영상문법 - 장면 유사의 몽타주 <노킹 온 헤븐스 도어, Knockin on heavens door> 에서 처럼 말이다.

아무튼 오직 이 몽타주를 위해서 백광호의 아버지가 고기집을 운영하고 있는 설정으로 잡았다는 생각도 든다. 영화에서 이 장면 이외에는 백광호의 집이 고기집이어야 할 이유가 전혀 없기 때문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