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가 시작되고 2분이 넘는 롱테이크 장면이 계속된다.

겟 아웃 영화에는 이 장면을 제외하고는 롱테이크로 찍힌 장면이 없는데 왜 굳이 맨 처음 장면만 이렇게 찍었을까?

항상 이야기하지만 최소 몇십억 몇백억의 돈을 들여야하는 영화에서 첫 장면을 아무 생각 없이 찍는 감독은 없다. 특히 이렇게 특이하게 촬영된 장면이라면 더더욱 그 의미를 눈여겨봐야 할 것이다.

 

 

영화가 시작되고 제일 처음으로 등장하는 이 남자는 천천히 달리아웃하던 카메라 안으로 프레임 인 한다.

영상 속에서 내가 설명했지만 프레임인(frame in)이라는 행위는 상당히 주도적이며 때로는 공격적이다.

이 롱테이크 장면을 해석하자면 백인들의 구역에 한 명의 흑인이 들어온다. (프레임 인)

백인들의 감시망에 들어온 이 흑인을 절대로 놓치지 않기 위해서 끊임없이 지켜보고 감시하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그가 기절할 때까지 카메라는 커팅되지도 그가 프레임 아웃하도록 내버려 두지도 않는다. 

 

결국 그가 기절하고 나서야 영화속 두 번째 컷이 등장한다. 

이것이 조던필 감독이 영화의 첫 장면을 2분이 넘는 동안 철저히 계산된 동선으로 단 하나의 쇼트로 촬영한 이유다. 

그리고 이러한 촬영의 의미는 영화가 진행되는 동안 <카메라=백인들의 감시의 눈>이라는 하나의 공식을 만들어 끊임없이 관객들을 불안하게 한다.

 

크리스가 첫 등장하는 장면이 재미있다.

앞에 앤드류가 첫 등장할 때 처럼 카메라는 천천히 뒤로 빠지고 인물이 오른쪽에서 등장하는 것까지 똑같지만 크리스는 앤드류와 달리 프레임에 스스로 들어오지 않고 카메라의 이동에 의해 포착된다.

이것은 우연히 백인들의 감시망에 들어와 잡힌 앤드류의 경우와 로즈라는 사냥꾼을 밖으로 내보내 자신들의 덫으로 끌어들인 백인들의 사냥 방식과 철저하게 맞아떨어진다. 

좋은 영화란 이렇게 내용에 맞는 영화의 형식을 사용할 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로즈의 집에 도착한 크리스를 멀리서 지켜보는 쇼트가 있다.

카메라가 다시한번 천천히 뒤로 빠지면 그들을 지켜보는 정원사의 뒷모습이 보인다.

이로써 관객들은 명확하게 카메라가 크리스를 감시하는 시선으로써의 역할을 한다고 느끼게 된다.

 

로즈의 집에 들어선 크리스의 모습을 아직도 이렇게 멀리서 따라갈 필요가 있었을까?

표정도 잘 안 보이는 사이즈로 굳이 그의 모습을 천천히 벽 뒤에서 따라가는 카메라 워킹은 다시 한번 집에 들어온 사냥감을 천천히 감시하고 있는 것처럼 느껴진다.

 

크리스가 2층으로 올라가자 저마다 대화를 나누던 백이들의 시선이 일제히 쏠린다.

조던 필 감독은 다시 한번 관객들에게 단서를 던진다. 

백인들은 끊임없이 크리스를 감시하고 있다. 그들의 눈은 언제나 크리스의 강인한 육체를 살펴보고 그가 도망치거나 사라지지 않도록 감시를 소홀히 하지 않는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 죽어가는 로즈의 시선 너머로 크리스가 멀리 사라져 가다가 끝내 어둠 속으로 사라진다.

백인들의 감시로부터는 벗어났지만 영화의 프레임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한 크리스.

 

그리고 이것은 영화 겟 아웃의 디렉터스 컷의 마지막 장면이다. 

친구의 도움으로 백인들의 마을로부터 탈출하는 장면과는 다르게 원래 촬영된 장면에서는 그가 감옥에 잡혀 들어간다. 

그리고 그는 다시 한번 철창 너머의 철창과 복도 수많은 프레임 안에 갇히고 만다.




굳이 스테디 캠을 들고 완벽한 동선을 짜서 롱테이크로 찍어야만 했던 이유가 무엇일까? 무슨 이야기를 하려고 어떤 느낌을 주려고..?

<이 향숙의 대역에서 시작한 롱테이크는 김상경과 백광호에서 멈춘다>

위의 스샷이 6장이니까 편하게 숫자로 부르겠다. 먼저 1번사진을 보면 이향숙의 대역이 거울을 보는 장면부터 시작한다. 이것은 설정샷을 겸한 것으로 수많은 사람들 중에서 이 사람을 보여주는 것이 이 상황을 설명하기에 가장 좋은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관객들에게 이 여장한 또라이는 뭐지? 라고 의문을 제기시킨 다음에 2번장면에서 송강호가 불러다가 이향숙 팻말을 목에 걸어주는 것으로 이 상황의 설명을 마친다. 즉, 처음부터 이향숙이라는 팻말을 목에 걸지 않고 있다가 일부러 송강호가 불러서 걸어주는 설정을 한것이다. 이러한 의도는 이후에 카메라가 자연스럽게 여장남에서 송강호로 따라가게 만들어주는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그리고 언제나 시끄럽게 말하고 다니는 송강호의 비중이 확실히 줄어든 3번 샷을 보자. 동영상을 보면 3번 장면에서 변희봉의 목소리를 들려주기 위해 송강호가 일부러 거의 립싱크를 하고 있는 것을 알수 있다. 롱테이크에서 선택적으로 사운드를 들려주기 위한 설정인 것이다. 분명히 송강호가 뒤돌아서며 씨발이라고 무엇무엇을 말하는데 거의 들리지 않는다.

그리고 4번에서 드디어 카메라는 위에서 내려온 김상경을 따라간다. 이 부분이 이 롱테이크의 의미라고 생각한다. 즉, 이 장면을 해석해 보면 이향숙의 대역으로 현장 재연까지 할정도로 범인을 잡았다고 생각하는 송강호와 조형사와 변희봉 이 세명이 주도하는 수사에서 이제 김상경에게 관객을 주목시켜 주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이제까지 송강호 위주로 펼쳐졌던 이야기가 김상경을 위주로 펼쳐질 것이라는 암시이다.

5번 6번을 보면 결국 신문기자에게 사진을 찍는 3명의 멍청이들을 뒤로 하고 김상경이 혼자서 백광호가 진범이 아니라는 논리적 근거를 찾아내는 장면을 보여준다. 순간적으로 백광호의 손으로 줌인해 들어가는 카메라 워킹을 통해서 관객들에게 중요한 디테일을 놓치게 하지 않는 센스도 보여준다. 그리고 결국 백광호를 용의선상에서 제외시키고 새로운 경찰 서장과 함께 김상경이 수사의 새로운 실권을 잡게 된다.

송강호외 2인과 김상경을 완벽하게 분리하는 이러한 설정을 통해서 둘의 대립관계를 형성 시키고 관객에게 김상경에게 주목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주는 장면이 바로 이 롱테이크의 의미인 것이다. 한 호흡에서 보여주는 실패한 수사와 논리적인 오류를 제기하는 이 장면이 컷으로 나눴을 때는 의미가 훨씬 퇴색한다고 보여지기 때문이다.

나도 참 신기할 정도로 무심하다.
이 영화를 보고 타이틀이 불어로 쓰여있는 것을 보고도.. 한참동안이나 영화가 불어로 나오는 것을 보고도 계속해서 프랑스 영화라는 것을 몰랐다.
중간에 너무 미국영화 같지가 않아서...아 영화가 뭐 이리 유럽식이야? 라고 생각하고 보니 아.. 이거 프랑스 말이네... 라고 알아차렸다..

영화의 시작은 줄리앙의 소년시절 목소리로 설명하면서 시작된다.

<이런 초스피드로 무빙하는 롱테이크는 거의 회고식 영화에서 쓰인다>

실제로 단 한컷으로 찍었느냐 아니냐를 떠나서 아무튼 지금 30초정도의 장면은 단 한컷으로 구성되어 있다. 요런 롱테이크...
보통의 롱테이크와 달리 이렇게 초고속으로 무빙하면서 중간의 장면들에 멈춰서 보여주는 방식은 이 영화에서처럼 주인공의 나레이션이 깔린 회고식 영화에서 주로 보여진다.

당연하겠지만 이런 무빙의 이유는 명확하다. 세상에 수많은 사람이 있고 수많은 사건이 있지만 그 중에서 기억을 더듬어 내가 보여주고 싶은 장면에서 딱 멈춰서 보여준다는 표현이다. 그래서 영화는 예쁜 집에서부터 시작해서.. (하지만 이게 줄리앙의 집같지는 않은데.. 위치상..) 운전기사가 없는 버스, 상자, 소피, 그리고 줄리앙이 보여진다.

하지만 영화에서 이 장면 직후의 장면으로 알 수 있듯이 사건의 발단은 여기부터가 아니다. 줄리앙의 엄마가 의사로부터 암선고를 받는 장면부터 이야기는 시작이다. 하지만 어째서 영화는 이장면에서부터 시작하는가?

먼저 줄리앙과 엄마의 이야기부터가 아니라 소피와 줄리앙의 만남부터 시작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 이영화는 오직 줄리앙와 소피의 관계에 대한 영화다. 그들이 어릴적부터 사랑을 확인하는 마지막까지가 보여지는 영화다. 영화에서 다른 인물 즉, 소피의 언니라던가 줄리앙의 부모님은 조연오브 조연이다. 그렇기 때문에 영화는 굳이 소피와 줄리앙의 내기가 시작된 이장면에서부터 보여진다.

또 하나의 이유는 줄리앙의 어린목소리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하지만 마치 뭔가를 이야기하려다가 '아 이걸 설명하기 위해서는 이전에 이걸 말해야되..'라고 하는 것처럼 과거의 장면으로 돌아간다. 때문에 이런 식의 설정은 이야기를 듣는 사람이 좀더 몰입해서 들을 수 있고 이야기가 시간의 흐름이 아닌 인과관계에 의해서 설명된다는 것을 무의식적으로 느끼게 된다.

그리고 이런류의 크레인을 이용한 카메라 무빙. 특히 이 장면처럼 초고속으로 무빙한 장면들은 당연하지만 영화의 리얼리티보다는 동화적인 느낌으로 구성된다. 아멜리에에서 빈번하게 사용되는 크레인샷들을 생각해보자 실제로 우리는 그들의 삶을 하늘에서 무빙하며 볼수 없다. 하지만 수많은 장면에서 보여지는 크레인 샷들은 하나의 이야기를 마치 동화속 이야기처럼 상상속에서 훔쳐보게 해준다.

이 영화역시 마찬가지다. 너무나도 동화적인 이 이야기를 영화로 만들기 위해 감독은 당연히 동화적인 마음과 표현을 가지지 않을 수 없었다.


빌어먹을 장르 구분 때문에 이 영화가 로멘틱 코메디로 분류되어 있다는게 너무나 안타깝다. 이 영화는 로멘틱 잔혹극이라고 부르고 싶다. 마지막 장면을 생각해보자 얼마나 로멘틱하게 잔혹한가? 이제 슬슬 영화계에서도 장르를 좀더 세분화하는 것이 필요하지 않은가 생각한다. 이렇게 생각하면 10년뒤쯤 일어날 것이긴 하지만. 역시 대한민국.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