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3/19 - [video grammer] - 영상문법 - rhyme 맞추기 <트레인스포팅>에서 말했듯이 영상에도 여흥이란게 있다. 시나리오와 스토리적인 여흥이 아니라 촬영과 편집 즉, 영화적인 표현 방식으로의 여흥. 마지막 삶의 여흥을 그리는 영화 노킹 온 헤븐스 도 어는 이런 여흥적 표현을 아끼지 않는다.

불치병이라는 공통점으로 만난 마틴과 루디가 한 병실을 쓰고 있는동안 두명의 어리버리한 마피아는 중간보스의 명령을 받아 벤츠를 누군가에게 배달하는 임무를 띄고 있다. 아직 아무런 사건도 벌어지지 않은 이 영화에서 마틴과 루디가 이들의 차를 훔치면서 본격적인 이야기가 시작된다.

그를 위해 영화는 두명의 마피아와 마틴과 루디를 한 장소로 끌어들이고 있다. 그리고 이것을 2009/05/05 - [video grammer] - 영상문법 - 끝말잇기 <노킹 온 헤븐스 도어, Knockin on heavens door>에서처럼 연관지어 편집해서 보여준다.

<자동차 타이어에서 나는 연기와 마틴이 뿜어내는 담배연기의 유사성에 의한 몽타주>

자칫 의미없는 장면 같지만 위의 두명의 마피아가 운전자를 바꾸는 실랑이를 하는 것에는 플롯적 의미가 있다. 기본적으로 계속해서 어리버리한 둘의 캐릭터를 설명하고 있으며 중간보스는 분명히 시내에서는 행크가 교외에서는 압둘이 운전하라고 지시한다. 이것은 단순히 아무런 의미없는 명령이 아니라 시내에서 압둘이 운전했을 경우 사고를 낼수 있는 상황에 대한 복선, 씨뿌리기 이며 타당성을 제시하는 정보라는 것이다.

실제로 위의 장면에서 압둘은 행크에게서 운전대를 빼앗는다. 하지만 그 직후 압둘은 이 벤츠를 제대로 운전하지 못하는 장면을 보여준다. 공회전을 하게 만들고 갑자기 차를 후진시킨다. 이것이 단순히 둘의 어리버리함으로 우스움을 전달하는 코메디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 뿐만 아니라 이후에 압둘이 시내에서 아이를 쳐서 ('시내'다 그래서 중간보스는 압둘에게 교외에서 운전하라고 시킨건데..) 마틴과 루디가 있는 병원으로 두명의 마피아를 안내하게 되는 것이다.

단순히 우연히 벌어진 일처럼 보이지만 그 우연에는 약간의 타당성을 부여하고 있는 것이 이 영화의 특징이다. 물론 하필 같은 병원에 가게 되는 것은 우연이지만..

아무튼 행크와 압둘이 실랑이를 벌이고 결국 급출발하는 벤츠의 타이어에서는 도로와의 마찰로 인한 연기가 피어오른다. 그리고 이것은 루디가 죽었나 관찰하던 마틴의 담배 연기로 편집이 된다.

에이젠슈타인의 충돌이론으로 이 장면을 설명해 보자면... 자동차에서 연기가 나는 독립적인 컷과 역시 독립적인 마틴의 담배연기가 충돌해서 의미를 만들어낸다.

그 의미는 크게 2가지 정도로 생각할 수 있는데 첫번째가 앞에서 설명한 영화 외적인 여흥을 위한 것이다. 트레인스포팅의 라임 맞추기 처럼 영화의 플롯에 작용하지 않는 단순한 재미를 위한것. 코메디 영화에는 이러한 여흥이 제법 들어가기 마련이다.

그리고 플롯에 두번째 의미를 부여해 보자면. 마틴과 루디처럼 하나의 실타래로 엮이게 될 두명의 마피아를 이 병원으로 초대하고 있다는 상징이다. 결국 그 둘은 이 병원에 아이를 데려왔다가 마틴과 루디에게 벤츠를 도둑맞고 이 사건으로 인해 영화가 급박하게 전개되기 때문이다.

해석하기에 따라서 억지가 될수도 있지만 감독이 단순한 여흥을 위해서가 아닌 두 씬의 연관성을 제시하기 위해 이 장면을 의도적으로 꾸며냈을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영화 캐쉬백은 시간을 멈추는 남자의 이야기지만 이렇게 표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영화를 보고나서 이영화가 시간을 멈추는 남자의 이야기가 아니라 이별할 때 나를 향해 욕하는 여자의 얼굴표정을 고속촬영하는 느낌, 이 세상이 다 정지하고 사랑하는 우리 둘만이 움직이는 느낌을 영화로 표현해 낸 것이라고 생각된다.

스토리를 위해 장면을 구상하는 영화가 아닌... 장면을 위해 스토리가 생겨난 그야말로 이것은 연극에서 파생된 것이 아닌 영화에서 파생된 영화다.

고속촬영은 2009/02/22 - [video grammer] - 영상문법 - 정보전달의 통제를 통한 시점화 <포 미니츠,Vier Minuten>를 참고하도록 하자.


<젠장 캡쳐된 사진은 여전히 찌그러져있군>

이영화는 곰플레이어에서 2.35:1로 설정해놓고 봐야 정상적인 비율로 나오는데... 그렇게 해놔도 화면 캡쳐는 여전히 이렇게 위아래로 늘어난 그림을 잡아내는군...
곰플레이어에게 실망이다..

아무튼 영화의 첫 장면은 주인공 벤을 향해 뭐라고 미칠듯이 쏘아대는 수지의 얼굴이다. 그녀의 일그러지는 얼굴과 하트 모양의 어니언링처럼 되버리는 입술 그리고 포물선을 그리며 앞으로 떨어지는 침마저도 모두 담아내고 있다. 고속촬영으로 보여진다.

대충 봐서는 초당 48프레임정도로 촬영된 것 같다. 그래서 2배정도로 느리게 플레이되는.. 아무튼 이 효과가 나는 이 영화의 모티브라는 생각이 든다. 영화를 보고나면 이 우아한 음악에 깔리는 고속촬영이 너무나도 고요하게 아름다운 사랑의 전반을 그려내기 때문이다.

개인적으로 영국영화의 배경은 참 아름답지 않다. 날씨 때문인지 항상 흐리고 배경은 딱딱하다. 하지만 이 영화 캐쉬백은 아름답다. 그것은 배경의 미쟝센 때문이 아니라 이 영화의 속도 조절 때문이다.

그리고 이 장면은 사실 복선의 의미도 포함하고 있다. 복선이라고 하기보다는 씨뿌리기라고 생각해야겠지만... 아무튼 나중에 벤이 자각하는 능력.. 즉 시간을 멈추고 느리게하거나 빠르게 할 수 있는 능력이 이미 수지와의 이별장면에서 부터 발휘되고 있는 것이다.

이 시점에서는 벤도 자각하지 못하고 관객역시 단순한 영화적 특수효과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것은 이영화를 잠식하는 통일된 표현수단. 느린 아름다움의 시작이다.
감독은 이미 이 시점에서 부터 벤이 이 능력을 가지게 되었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영화는 의외로 유머스럽다>

영화의 전반적인 분위기가 주인공 벤의 표정처럼 조금은 우울하고 정적이지만 의외로 유머스럽다. 특히 이 장면의 몽타주 역시 그렇다.

머그컵에 머리를 맞은후 다시 수지가 던지는 스탠드가 날아오는 장면이 이전보다 훨씬더 고속촬영되어 보여진다. 하지만 그 직후에는 벤이 스탠드에 맞는 장면 대신 그가 흘리는 피에 대한 몽타주가 보여진다. 벤이 자신의 식사에 케찹을 뿌리는 장면이 나온다.

그의 머리에 피가 새어나와 흐르는 것을 보여주는 대신에 이 케찹장면으로 대신한다.
꽤나 유머스럽지 않은가? 에이젠슈타인이 몽타주를 이렇게 사용하는 것을 알면 러시아 혁명이라도 일으키겠지만 현대에는 이렇게 유머스럽게 이용되는 것이 흔하게 볼수 있다. 그냥 다음장면으로 넘어가는 것보다 더 재미있고 자연스럽지 않은가?

그리고 감독은 이런 재치로 인해 심각한 이별장면에서 심각하지 않은 분위기로의 전환을 보여준다. 사실 이영화에서 벤은 혼자서 심각해 하지만 관객들은 수지와의 이별에 대해서 전혀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 물론 그게 감독이 의도겠지만...


영화의 첫대사가 너무 좋다.
인간의 두개골을 파괴하기 위해서는 대략 500파운드의 힘이 필요하다.
하지만 감정은 훨씬 더 깨지기 쉽다.

유럽식의 서정적인영화 캐쉬백이다.



복선 : 문학에서 다음의 전개를 암시하는 기법
복선 : 철도에서 두 가닥의 선로를 설치하여 상행과 하행으로 분리하는 것
<출처: 위키백과>

복선을 쓰기위해 검색해서 단어 뜻을 찾아봤더니 재미있는 내용이 나왔다. 사실 첫번째 뜻은 내가 확인하기 위해 찾은 것이지만 두번째의 동음이의어의 뜻이 뭔가 트레인스포팅의 복선구조를 더욱 재미있게 만든다. 영화의 제목 때문에 계속해서 보여지는 철도의 이미지가 여기에서도 맞아 떨어지기 때문이다.

<화가난 마크는 벡비와 식보이에게 빈집에서 살라고 한다>

자연스럽게 얹혀살고 있는 벡비와 식보이를 쫓아내기 위해서 마크는 그들에게 빈집에서 살게 한다. 그리고 언젠가 사장이 이놈들을 주거 침입죄로 고소할 것이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엿을 먹인 것이다.

이 단순한 내용을 대니 보일은 아주 재미있게 구성하고 있다. 인기척이 들리자 벽장에 숨어있던 벡비와 식보이가 카메라를 향해 뛰쳐나온다. 그리고 이것은 이 다음 장면과 몽타주로 연결된다.

<또다시 영화의 내용과 관계 없이 철도가 나온다>

벡비와 식보이가 카메라로 뛰어드는 장면 이후에 충돌되는 몽타주는 바로 위의 장면이다. 갑자기 쌩뚱맞게 철도가 나오고 벡비와 식보이가 위에서 밑으로 뛰어드는 것과 상충되게 열차는 아래에서 위로 지나간다. 마치 벽장에서 튀어나온 벡비와 식보이를 열차에 치어버리게 만든다.

이 장면은 사실 단순명쾌한 몽타주로만 여겨진다. 큰 의미없이 이들을 골탕 먹인 일을 심각하게 가져가지 않고 유쾌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말이다. '벡비와 식보이는 열차에 치었다'라는 일어나지 않은 일을 표현함으로써 마크의 심리적 복수를 해주고 있다.

하지만 이것을 영화의 결말과 결부시켜서 생각해보면 단순히 재미만을 위한 몽타주라고 할수는 없다. 결과적으로 벡비에게 돈을 훔친 마크가 몰래 스퍼드에게만 돈을 준다.한마디로 마크가 엿먹인 것은 벡비와 식보이 뿐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사실 이영화가 가지는 캐릭터의 일관성으로 설명할 수 있겠지만 굳이 이 장면에서 열차에 이들을 치게 해버린 감독의 의도는 복선이라고 생각된다. 마크가 이들을 엿먹이려 했지만 아무렇지 않게 다음 씬에서 나타나는 벡비와 식보이를 결국 열차에 치게 해버리는 결말을 암시하고 있는 것이다.

문학에서도 복선은 눈치 못채면 그만이고 결국 읽는 사람이 의미를 부여하는 느낌이 강하다. 작가가 그렇게 쓰지 않았는데도 우연히 복선이 탄생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장면도 그런 느낌이다 분명 대니보일이 의도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복선을) 하지만 내가 알아채고 의미를 부여한다면 이것은 분명히 명백한 영화의 결말을 암시하는 복선으로 기능할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