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인스포팅으로 10개가 넘는 포스팅을 해왔는데 드디어 이번이 마지막이다. 마지막 장면이라 클립한 동영상이 5분이나 되기도 하고 할 이야기가 참 많기도 하다.
먼저 음악 이야기를 해보자.

<벡비가 마크에게 담배연기를 내뿜는 순간 음악은 시작된다>

벡비가 내뿜는 담배연기를 마크가 맡는 7초부근부터 음악이 시작된다. 이 음악은 마지막까지 나오면서 앞으로 나올 모든 장면의 감정을 조절하고 있다.

먼저 7초부근부터 나오는 음악의 의미는 마크가 돈가방을 가지고 달아나야겠다는 결심을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영화를 보면 이 전의 장면에서 벡비가 술먹고 부딪힌 사람에게 시비를 걸고 피떡이 되게 두들겨 패고있는 동안 마크는 자리에서 일어나지 않은채 계속해서 돈가방만을 바라보고 있다. 이 때를 틈타 도망갈까 고민하는 장면이다.
하지만 결국 도망가지 않고 담배를 가져오라는 벡비의 말투와 행동에서는 이미 이 패거리의 우두머리가 된 듯하다. 마크는 당연히 느꼈을 것이다. 벡비는 앞으로도 훨씬 심하게 대장 노릇을 하려고 할 것이다. 그 힘으로 모두를 굴복시킬 것이다. 벡비로부터 벗어나야한다.

이러한 마크의 결심을 감독은 음악의 시작으로 나타낸다.

<음악은 계속 이어지고 마크가 자리에서 일어나는 순간 가사가 시작된다>

7초에서 시작된 음악이 가사가 없는 약간 짠한 느낌의 음악이지만 마크가 침대에서 일어나는 35초부터는 일정한 리듬으로 읇조리는 듯한 가사가 추가된다. 그리고 이 가사는 앞에서부터 흘러나오는 음악에서 긴장감을 추가한다. 벡비가 안고 자고있는 돈가방을 훔치기 위해 일어나는 장면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크가 벡비의 팔을 잡는 순간 일정한 비트가 추가된다>

세면대에서 물을 마시고 돌아온 마크가 벡비의 팔을 들어 가방을 꺼내려는 순간 1분 43초경에는 긴장감의 최고조를 위해서 일정한 비트가 시작된다. 확실히 감독이 이 장면을 긴장되게 구성하기 위해 음악을 조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돈가방을 탈취한 마크가 벡비로 부터 떨어지는 10초간 음악은 또 바뀐다>

1분 45초경에 벡비가 가지고 있던 돈가방을 마크가 가져간다 그리고 잡고 있던 벡비의 팔을 놓는 10초정도의 시간동안 가사는 다시 사라진다. 그리고 방금전에 추가되었던 일정한 비트만이 음악을 장악한다.

집중력있게 보면 누구나 느낄 수 있듯이 이 장면에서 긴장감은 최고조가 된다. 마치 심장이 뛰는 것 같은 비트소리가 화면을 장악하기 때문이다. 마크가 벡비의 팔을 놓고 떨어지는 순간에 다시 시작되는 가사는 더이상은 긴장감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마크의 성공의 기쁨을 음악이 표현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나서도 이 음악은 3분정도 계속된다. 하지만 이 음악의 긴장감은 더이상 없다. 같은 음악이 계속되는데도 상황이 바뀜으로써 이제는 마크의 배신의 성공에 대한 기쁨을 화면 가득 채운다.

<감독은 화면을 옆으로 찍는다>

이 장면은 어떤 의도일까?
돈을 가지고 혼자서 유유히 사라지는 마크를 감독은 옆으로 찍는다. 마치 누워서 벽에 붙어 걸어가는 사람처럼... 하늘을 나는 기분이라도 표현한 것일까? 확실히 이 장면에서는 마크의 뛸뜻한 기쁨을 표현하는 것처럼 보인다. 벽에 붙어서 걸어갈 수 있을 만큼 나는 듯한 기쁨의 표현이 이 촬영의 의미가 아닐까 생각한다.

<이 내부의 거울샷은 또 꽤나 의미가 깊다>

사실 위의 세장의 그림중 첫번째 그림의 클립한 동영상에서 나오는 부분이 아니다. 2009/04/07 - [video grammer] - 영상문법 - 관객을 영화안으로 초대하기 <트레인스포팅, Trainspotting> 의 장면의 바로 다음 장면으로 마크가 벡비와 식보이를 엿먹이겠다는 결심을 하는 장면이다. 식보이에게 도둑 맞을 것을 대비해서인지 아니면 처음부터 혼자서 떠나겠다는 생각을 한것인지 마크는 자신의 여권을 사물함에 숨겨 놓는다.

사실 이 장면을 처음 봤을때 프레임인 프레임이나 반사된 장면을 통한 미쟝센으로 분석을 하려 했으나 할이야기가 많지 않다고 판단했다. 의미를 부여하기가 좀 힘들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의 세장을 나란히 붙여놓으니 제법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위의 세장의 그림중 두번째 것만 외곽에서 촬영 되었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 영화의 제목 때문인지 영화는 반복되는 열차같은 이미지를 미쟝센으로 사용하곤 했다. 이 장면 역시 그런 맥락으로 파악해보자.

맨 처음의 그림과 세번째 그림중 반사가 아닌 실체가 화면의 가운데에 자리하고 있고 그것을 양옆과 아래 쪽에서 반사를 하고 있다. 하지만 두번째 그림의 경우 실체는 화면의 제일 가까운 쪽에 자리하고 반사는 오른쪽으로 멀어지며 나타난다. 나는 이것을 열차의 칸이라고 해석한다.

그런 미쟝센을 구상했을 경우 두번째에서 돈을 훔치는 것을 성공한 마크는 더이상 열차의 가운데에서 앞에서 이끄는대로 따라가는 수동적 인물이 아니다. 마크의 실체는 제일 앞에 있고 자신의 반사들을 이끌 수 있는 인물인 것이다. 스퍼드에게 돈을 놓아주는 이 장면은 그야말로 마크의 의지이며 능동적인 행동이다. 마약처럼 할수밖에 없어서 하는 행동과는 다르다. 하지만 처음에 여권을 숨기는 것은 식보이가 훔치는 것을 피하기 위한 완벽한 능동적 행동이라고 보기는 어려우며 이때는 아직 마크가 열차의 가운데 있어서 벡비와 식보이에게 이끌려 다닌다고 상징한다. 

생각해보자 분명 한번에 찍었을 이 세컷을 대니보일은 왜 가운데 장면만 앵글을 비틀어서 찍었을까? 답은 간단하다 의미가 있는 것이다.

마지막에 마크가 숨겨놓은 돈뭉치를 찾아내는 스퍼드의 장면역시 마찬가지다. 스퍼드는 아직도 열차의 가운데에 있다. 아직도 스스로 무언가를 찾아내지 못하고 누군가에게 그리고 세상에 이끌리고 있다. 마크가 가져다준 돈을 잡는것도 자신이 얻은 것이 아니다 맨 앞열에 있는 마크가 이끌어 준 것일 뿐이다. 



영화가 종합예술이라고 불리우는 이유중에 중요한 한가지가 바로 '음악'일 것이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라는 영화에서는 배경음악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것으로 유명했다 대단한 일이다 음악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그만큼 음악은 영화에서 대단한 힘이다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영화의 분위기와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가장 힘있는 장치이다

일각에서는 영화에서 음악의 사용이 옳지 못하다는 의견이 있다
그것은 바로 노골적인 감정의 세뇌라는 말이다
하지만 나는 음악역시 종합 예술인 영화가 선택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이므로 위의 의견과는 좀 다르다 어디에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가 중요한 것이지 무조건적인 배제는 좋지 않다 음악이 있는 부분이 있기에 음악이 없는 부분도 더 살아 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영화음악을 가장 잘 사용하는 감독을 꼽으라면 난 첫번째로 이와이 슌지를 꼽겠다 음악뿐만이 아니라 그는 영화의 사운드를 완벽하게 요리할 줄 안다

먼저 위의 영상을 보도록하자

<조그맣게 피아노 연주가 들리고 있다>

 
스피커의 볼륨을 최대한 키워놓고 잘 들어보자
물건을 훔친 죄로 어머니를 부르게된 유이치 그리고 무엇인가 터져버릴 것 같은 무거운 공기가 흐르는 상담실에는 조그맣게 옆방의 피아노 소리가 들려오고 있다

영화를 처음부터 본사람은 알겠지만 이 씬의 처음부터 쿠노가 연주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그 옆의 상담실로 유이치와 선생님이 들어가게 된다

<어머니가 유이치를 때리기 시작하자 피아노 연주소리가 커진다>

물건을 훔쳤다는 이야기를 들은 유이치의 어머니
유이치를 째려보는 순간부터 쿠노의 피아노 연주소리는 급격하게 커진다

그리고 화면은 쌩뚱 맞게도 이일과 전혀 상관 없는 쿠노의 연주 장면으로 바뀐다
이와이 슌지는 어째서 이런 편집을 사용한걸까 

<다시 돌아온 상담실 음악은 곧 멈춘다>
  
다시 돌아온 상담실에서는 이미 진정한 유이치의 어머니가 있다
그리고 음악은 곧 멈춘다

과격하고 급박한 장면에서 격렬한 bgm을 사용하는 경우는 자주 있다
그리고 릴리슈슈의 모든 것의 경우 상당히 그로테스크한 음악을 하는 릴리슈슈의 음악이 영화의 전반에 걸쳐 사용된다

하지만 도둑질을 하다가 걸려서 어머니에게 맞는 이 장면에 슬프도록 아름다운 드뷔시의 피아노 연주곡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어머니의 흥분으로부터 음악이 커지고 진정하자 완전히 사라지는 것으로 보아 이 장면에서 '드뷔시의 아라베스크'는 유이치 어머니의 심정을 대변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을 일부러 아름다운 피아노 연주곡으로 배치한 슌지 감독의 의도는 바로 어머니의 슬픔을 표현한 것이다

유이치를 때리지만 그녀의 감정은 분노라기 보다는 슬픔이다
그렇기 때문에 분노의 음악이 아닌 슬픔의 음악으로 사용된 것이다
포 미니츠의 경우 피아노 연주를 배경음악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tv라는 매체를 자주 사용한다 극중 배우가 연주회 장면을 tv에서 보고 그것을 그대로 bgm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이 슌지는 좀더 노골적으로 사용한다

하지만 내게는 이런 방법이 더욱 고급스럽게 느껴진다
2008/12/31 - [video grammer] - 영상문법 - 셔레이드 <하나와 앨리스>
에서 경읽는 소리를 이용하기 위해 주인공을 절에 배치하듯이 피아노 연주를 이용하기 위해서 일부러 이 두 장면을 교차로 보여준다

사실 쿠노의 이 첫 등장은 영화에서 큰 의미가 있지 않다
그녀가 연주하는 곡이 드뷔시의 아라베스크로 당시에 릴리슈슈의 '호흡'의 첫번째 수록곡의 오마주 대상이 된다는 정보를 전달하며 쿠노를 관객에게 처음으로 보여주는 의미만이 있을 뿐이다
하지만 영화에서 한번도 등장하지 않았던 인물을 bgm의 사용을 위해 투입시켰다는 과감함에 나는 찬사를 보내고 싶다

<헨드헬드가 아니다>


잠깐 촬영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도록하자
영화의 전반에 걸쳐 들고찍기와 점프컷이 사용되는데 오히려 간헐적으로 사용되는 트랙킹이나 크레인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위에 나오는 4명이 모두 보여지는 롱샷의 경우 헨드헬드가 아닌 트랙킹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곧 있을 폭풍 전야의 느낌을 형성하며 어쩔줄 몰라하는 유이치의 상황을 적절하게 표현한다 그리고 어머니의 사랑의 매가 시작되자 촬영은 급격한 헨드헬드로 바뀌며 교차편집되는 쿠노의 연주장면은 이것과의 대비를 위하여 아주 부드러운 트랙킹으로 촬영된다

한장면 한장면의 연출을 위해서 샷의 강약을 조절하는 능력이 아주 뛰어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