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글을 읽기전에 2009/02/23 - [video grammer] - 영상문법 - 대유법 <포 미니츠, Vier Minuten> 를 꼭 읽어보도록 하자 같은 내용이라 대유법의 대한 설명은 생략할 테니까

이 장면은 주인공 마크렌턴이 재활을 받으라는 법원의 의견을 무시하고 단숨에 날아와 마약을 하는 장면이다
하지만 어째서인지 그는 갑자기 호흡곤란을 일으키며 쓰러진다
이유야 어쨌건 이순간의 표현이 기가 막히다

<마크가 빨아들이는 마약을 세면대에 표현한다>

마크가 혈관에 마약을 주입하자 같은 색깔의 액체가 세면대로 빨려들어가는 장면이 나온다 이것은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표현으로 세면대가 마크이며 빨려들어가는 액체는 마약이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위의 세번째 장면의 검은 찌꺼기이다
주사기안의 액체에는 저런 검은 물질이 없다
그렇다면 세면대에 놓인 저것은 의도적인 연출이다 그것은 무엇을 표현할까?

가장 단순하게 생각해보자 (대니보일은 과감하지만 심각하게 복잡한 표현은 안한다고 믿는다) 찌꺼기가 남는다는것 그리고 처음부터 등장하는 갈색의 마약
아무리 봐도 오염되고 더럽다는 인식을 심어주기위한 연출이 아닐까

실제로 저들이 하는 마약이 무슨 종류인지는 모르겠지만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마약이 하얗고 투명하다고 생각지 않는가?
하지만 감독은 일부러 마약을 흙탕물과 같은색으로 만들고 심지어 이 장면에서 세면대에 찌꺼기까지 남기게 했다

말그대로 아직도 정신 못차리고 마약을 하는 마크에게 더러운 찌꺼기까지 같이 투여하게 했다 어쩌면 이것은 마약을 가져다주기 직전의 스와니가 지폐를 검사해 보는 장면과 연관지어서 생각해볼 수 있다
만약 마크가 가져다준 돈이 위조지폐라서 스와니가 의도적으로 마크를 엿먹인 것이라면 저 검은 찌꺼기는 스와니가 넣은 불순물이라는 이야기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그렇다는 어떤 설명도 없으므로 기본적으로 이것은 관객에게 말하는 마약의 '더러움'의 표현이라고 생각한다

이렇게 마약을 하는 장면을 처음으로 대유법으로 표현한다

<그리고 마크의 상태를 다시 대유법으로 말한다>

그리고 대니보일은 계속된 대유법으로 목숨이 위험해진 마크를 표현한다
주사를 놓고 갑자기 바닥에 쓰러져버린 마크는 카페트와 함께 바닥으로 가라앉는다
그리고 푹 패인 바닥안에 들어가서 스와니를 쳐다보는 마크의 시점샷은 많은 영화에서 보던 샷이다

바로 관에서의 시점샷이다
장례식 장면이 들어간 많은 영화에서 표현되듯이 밑으로 내려지는 관에서 살아남은 자들을 올려다보는 샷은 빈번하게 쓰인다

재밌게도 아직 죽지 않은 마크지만 그의 목숨의 위태로움을 다른 전형적인 샷을 빌려서 쓰고 있다
이것은 마약을 하고 바닥으로 스며들것만 같다는 대유법이기도 하지만 마치 그가 관에 들어가 곧 묻힐정도로 목숨이 위태하다는 대유법이기도하다

기본적으로 이 장면이 트레인스포팅에서 최고의 장면이라 생각하는데 이유는 바로 다른 전형적인 샷을 이용했다는데 있다
관에서 올려다보는 샷을 의도적으로 만들기 위해 대니보일은 마약을 하면 바닥으로 스며들것 같은 기분을 표현했다

그리고 그것을 일부러 적당한 위치까지만 스며들게 해서 이 전형적이지만 다른용도의 샷을 만들어냈다 이것은 말그대로 포스트 모더니즘의 표현이다
기본적인 표현의 전형의 파괴인 것이다

수많은 좋은 영화들이 새로운 표현을 만들어내려고 한다
물론 새로운 표현은 대단하고 훌륭하다
하지만 정말 대단한 것은 이 고전적 스타일의 변형으로 새로운 표현을 창조하는데 있다고 생각한다

내가 삐리리 불어봐 재규어라는 만화를 정말 예술이라고 생각하는 이유가 있다
그는 만화의 전형적인 표현을 계속해서 이용한다
만화책을 수천권씩 본 독자들이 생각하는 전형적인 표현의 파괴를 통해 유머와 새로운 형식을 제안한다



대유법 : 하나의 사물이나 관념을 나타내는 말이 경험적으로 그것과 밀접하게 연관된 다른 사물이나 관념을 나타내도록 표현하는 수사법. ‘흰옷’으로 우리 민족을, ‘백의의 천사’로 간호사를, ‘요람에서 무덤까지’로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를 나타내는 따위이다.

내 블로그 이름을 '똥싸는 블로그'라고 하는 것은 대유법인가?
내 고등학교 동창중에 심대유라고 있었다 물론 전혀 상관 없다

나는 이전의 포스팅을 통해서 영상도 커뮤니케이션 방법이므로 언어에 존재하는 문법들을 대입시켜왔다 은유법 강조법 반어법 등이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2008/12/16 - [영상문법] - 영화적 화법 - 은유 <릴리슈슈의 모든 것>
2008/12/18 - [영상문법] - 영화적 화법 - 반어,강조법 <릴리슈슈의 모든것>

하지만 이번편의 대유법은 은유법과 마찬가지로 비유의 한가지이다 어떻게 다른가?

사실 차이가 있다는건 알것도 같은데 잘 모르겠다
그래서 이부분도 은유라고 붙여야하나 고민했지만 왠지 나는 이 장면을 보고 29년 평생 거의 쓰지도 않은 대유법이라는 단어를 생각해 냈다

<제니는 크뤼거할멈의 말도 안되는 요구를 들어주기 시작한다>

영화 포 미니츠에서 제니가 피아노 연주를 위해 크뤼거 할머니의 밑으로 들어가는 장면이다 크뤼거는 제니에게 말도 안되는 첫번째 규칙으로 시작한다
종이를 먹으라니..?
이것은 어떠한 의미도 없다 그저 크뤼거의 말에 제니를 복종시키기 위한 강경한 수단일 뿐이다
아무튼 위의 사진대로 아쉬웠던 제니는 크뤼거를 불러 세운다
그리고 그 뒤에는 아직 존재를 나타내지 않는 공놀이를 하는 붉은 옷의 꼬마가 보인다

<제니는 종이를 입에 넣어 씹어버린다 그순간 공놀이를 하던 아이는 날뛴다>

크뤼거의 말도 안되는 요구를 받아들여 종이를 입에 넣고 씹어먹는 제니
그것을 바라보는 크뤼거의 반응샷은 그녀의 얼굴을 클로즈업 하는 것이 아니라 어째서인지 상당히 넓은 사이즈와 심할정도의 아이룸을 확보하고 있다
그리고 그 확보된 공간에서 한 꼬마아이가 커다란 공을 창문 철창에 던지며 신나하고 있다

이것이 바로 대유법이라고 생각한다
크뤼거는 제니를 원했다 제니의 재능을 자신이 살려주고 싶었다
하지만 그녀가 머리를 숙여 부탁할수는 없었다 그래서 그녀는 너무나도 말도 안되는 첫번째 요구를 제니에게 한것이다 하지만 그것은 제니에 의해 받아들여졌고 이것은 크뤼거의 승리였다
크뤼거가 이 순간에 쾌재를 부르지 않을수가 없었다
이제 제니는 그녀의 말대로 고분고분 잘 따라오는 재능있는 학생이 될 것이니까
하지만 감독은 할머니의 기쁨을 감히 표현할수가 없었다
감자기 크뤼거가 히딩크의 어퍼컷 세레머니를 할수도 없지 않은가?
그래서 그녀 대신 옆에 보이는 꼬마들이 난리를 치기 시작한다
이제까진 거의 소리도 내지 않던 녀석들이 갑자기 이 장면에서 창문철장을 두드리며 발을 동동구르며 신나게 웃는다
이것이 바로 '크뤼거의 기쁨'을 '아이들의 즐거움'으로 대유시킨 것이라 할수있다

<그리고 크뤼거는 이제서야 창문을 닫아 잠근다>

이 이야기를 언뜻 들으면 내가 오버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영화의 제작 환경에서 생각해보자 창문 너머로 보이는 사람들은 분명 고용된 엑스트라 일 것이며 그들이 예견치 않은 소리를 냈을때 그것은 NG가 될 것이다
두번째 규칙을 설명하는 크뤼거가 창문을 잠그기 시작한다 물론 이것은 밖의 아이들의 예상치 않은 소동으로 크뤼거역의 배우가 순간적 기지를 발휘해 대사를 처리한 것일수도 있다
하지만 그렇다면 이 샷의 초반 아이가 창문에 공을 던지는 순간 NG가 났을 것이다 그건 너무나도 크고 명확한 사건이었으니까

의도적으로 연출된 이 장면을 위해서 처음부터 창문을 열어 놓은 것이다
그리고 이장면이 지나가자 크뤼거는 마치 이 아이의 의도된 장난이 방해가 된다는 듯 창문을 잠궈 버린다 이것은 극적 타당성을 위해서이다
그리고 이 장면을 위해 감독은 공을 던지는 아이에게 빨간 셔츠와 모자 그리고 커다란 공을 준비시켰다는 것을 생각해보자 옆에서 날뛰는 아이의 복장은 그렇게 튀는 색은 아니지만 커다란 빨간공은 관객의 시선을 순간적으로 빼앗기에 가장 효과적인 색깔이었을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