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2/15 - [video grammer] - 영상문법 - 페이드 아웃, 외재적 내재음 <이터널 선샤인>에서 했던 이야기와 비슷한 내용이다.

영화의 마지막 시퀀스.
피터가 레이첼에게 상처를 주고 혼자 돌아와서 열심히 준비해서 꿈을 이루는 장면을 그의 인형극의 오프닝곡을 BGM으로 사용하며 보여준다.

<그가 이불을 뒤집어 쓰고 있는 장면에서부터 음악은 시작된다>

피터가 이불을 뒤집어 쓰고있을때 피아노 연주는 갑자기 시작된다. 그리고 컷이 바뀌면 어느새 피아노를 치며 노래를 부르는 피터가 보인다.
그리고 노래는 다시 연주곡으로 바뀐다. 이후에는 피터의 연주이지만 영화에서는 외재음 즉 bgm처럼 사용된다.

<피아노연주를 들려주며 많은 장면들을 보여준다>

아마 이 장면을 몽타주 시퀀스라 불러도 될것 같다.
여러씬의 장면을 잠깐잠깐 보여주는 표현양식을 그렇게 부르니까. 피터의 피아노 연주곡이 계속되면서 보여주는 여러가지 장면들, 운동하는 장면 - 작곡 - 동생부부와 사이좋게 지내는 - 이러한 것들이 그의 삶을 압축해서 보여준다.

그래서 이 몽타주 시퀀스라는 표현양식은 정말 훌륭하며 많이 쓰이는 기본문법이다.
여기서 피터가 운동하고 작곡하고 동생부부와 사이좋게 지내는 장면동안 계속해서 그의 연주곡을 들려준다. 이것은 그동안 그의 인형극을 위한 준비가 되어가고 있다는 의미이며 곡이 완성되고 있다는 이야기다.

<그리고 레이첼에게 편지를 보낸다>

그리고 레이첼에게 편지를 보낸다. 이순간 잠시 레이첼과의 대화가 진행되므로 음악은 잠시 줄어든다 하지만 사라지지는 않는다. 사실 이 장면에서 음악을 페이드아웃 시키고 다시 시작해도 무리는 없다. 하지만 감독은 이 장면역시 몽타주 시퀀스의 일부로서 만들어 버린 것이다.

그리고 계속되는 음악은 레이첼이 편지를 받는 순간에도 피터가 계속해서 열심히 준비하고 있다는 상징이 된다.

<그리고 연주곡은 바로 인형극으로 이어진다>

연주곡이 계속되다가 결국 인형극으로 이어진다. 몽타주 시퀀스의 마지막에 인형극이 있다는 것은 결국 앞의 모든 장면이 이 극을 위한 준비였다고 말하는 것이다.
그리고 앞에서도 언급했듯이 음악이 흐르는 것과 동시에 장면들을 보여주는 것은 이 음악이 점점 완성되어지고 있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감독은 비로소 완성된 음악과 인형극을 마지막에 보여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둘사이의 오해가 풀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이렇게 시간만 흘려보내고 나서 결말을 맞이 하게 하는 것. 그것은 둘이 서로 좋아하는 마음을 확인한 상태에서 오해는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레 풀린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그래서 아마 감독은 의도적으로 이렇게 구성한 것이 아닐까?

중간에 피터가 그녀의 오해를 풀기위해 애쓰는 장면 따위를 뺀것 그리고 레이첼이 뚱보의 말에 그냥 쉽게 넘어가서 피터를 만나러 온것 모두가 시간이 흐르면 자연스럽게 이렇게 될 수 밖에 없다는 이야기이다. 그래서 감독은 그저 피터가 열심히 준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레이첼이 찾아오게 한다.

이 영화가 괜찮다고 느낀 것은 이렇게 사랑의 감정을 영화적으로 잘 표현해냈기 때문이다. 2009/04/17 - [video grammer] - 영상문법 - 플래쉬 백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에서 처럼 플래쉬백을 보여줘서 진실을 보여주고 그동안 쌓인 오해에 대한 것을 관객에게 알려주거나 시간의 흐름이란 것이 사랑에서 얼마나 중요한 변수가 될 수있는지 적절하게 표현하고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