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1/27 - [영상문법] - 영상문법 - 디테일한 감정 연출 <아멜리에>에 언급했듯이 영화 아멜리에에서는 수평을 밥먹듯이 파괴한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을 살펴보면 하나하나의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니라 그저 수평을 어긴 화면이 수평을 맞춘 화면보다 더 '재미있는 구도'라는 이유로 그렇게 찍었다는 생각이 든다

<아멜리에의 앞에서부터 뒤로 패닝된 이 샷도 처음부터 끝까지 수평이 어긋나있다>

클립해놓은 영상의 처음부터 20초 가량의 컷을 보면 걸어오는 아멜리에의 앞에서 찍다가 그녀가 카메라를 지나쳐서 가자 패닝해서 그녀의 뒷모습을 계속해서 따라간다
하지만 놀랍게도 처음부터 끝까지 이 샷의 수평은 틀어져 있다
위의 링크걸어놓은 다른 포스팅에서 감정을 더 극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고 했는데 아멜리에에서는 감정적인 부분이 아닌 곳에서도 수평이 틀어지는 것을 쉽게 볼수 있다
색감과 미쟝센이 뛰어난 영화라는 점을 볼때 이러한 오블리크 샷들은 앞에서 언급한대로 조금더 다이나믹한 화면을 만들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영화를 조금더 재미있게 만들기 위해서 계속해서 틀어진 수평을 사용하고 있는것이다
이러한 자유로운 표현은 이 이후의 샷에서도 펼쳐진다

<이샷 부터 격한 헨드헬드로 촬영된다>

클립한 동영상 30초 부근까지는 달리(dolly)나 크레인 스테디 캠을 이용해서 촬영하지만 아멜리에가 장님 할아버지를 돕는 위의 스샷부터는 격렬한 헨드헬드로 촬영이 된다

이것은 브레또도를 돕고 그의 행복을 목격한 아멜리에가 이제부터는 다른사람을 도우며 살겠다고 정한 자신의 마음에서부터 우러나오는 격렬한 행복을 표현한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감독이 어째서 잔잔한 샷에서 격한 헨드헬드로 바뀌었을때 이런 행복이 표현되는지 알아냈는지가 궁금할 정도로 이 방식은 그녀의 행복을 너무나도 적절하게 표현해주고 있다 (그래서 이 영화가 그렇게 좋은 영화가 된 것이겠지만)

<이 샷까지 헨드헬드로 촬영된다>

1분 12초정도까지 헨드헬드는 이어지고 그 직후 다시 할아버지를 돕고 혼자서 계단을 올라 뛰어가는 아멜리에와 그 밑에서 그녀의 행복의 에너지를 전달 받은 할아버지는 크레인으로 촬영이 된다

다른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것이지만 아멜리에의 감독은 주인공의 감정을 디테일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자유롭게 표현하고 있다
그것을 위해 틀어진 수평, 중간중간 들어가는 cg, 입김, 헨드헬드, 저속 촬영과 고속 촬영등 이 당시 굉장히 실험적이고 재미있는 표현기법이 많이 그리고 적절하게 활용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프랑스 영화 아멜리에를 기억하는 사람은 꽤 많을 것이다
당시 너무나도 새롭고 유쾌하고 발랄한 영화였으니까
이영화는 굉장히 자유롭고 기발한 표현들이 많지만 특히나 뛰어난 것은 바로 미쟝센이다 몇편이나 계속해서 소개하게 되겠지만 우선 그 첫번째 글이다

오드리 토투가 맡은 '아멜리에'역 하면 떠오르는 것이 바로 밖으로 살짝 말아올린 단발머리 일 것이다
영화를 보면 어릴적부터 커서까지 쭉 단발머리를 하고 있지만 단 한컷 그녀가 긴 머리를 하고 출연하는 장면이 있다

<단 한컷 그녀가 집을 떠나는 뒷모습에서만이 긴머리를 땋고 있다>

위의 사진중 두번째 것을 보자 클립한 동영상 45초 부근에 나오는 바로 이 장면이 이영화에서 유일하게 아멜리에가 긴 머리를 하고 나오는 장면이다
그리고 그 직후에 나오는 세번째 컷을 보면 집을 떠난 아멜리에는 바로 단발머리로 돌아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긴머리의 단 한컷은 너무나도 잠깐 지나가서 눈치채기 어렵다
하지만 이것을 눈치챈다면 감독의 의도는 명확해진다
어릴적부터 상상력이 풍부하게 자라고 장난을 좋아하는 성격의 아멜리에에게 단발머리는 어찌보면 당연한 것이었다
그것은 그녀의 성격을 보여주기에 적당하며 개구쟁이에게 긴머리는 가끔 문제가 생길때가 있다는 현실성도 반영한다
하지만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5년동안 '죽음과 같은 세계'에서 살았던 아멜리에의 삶을 길게 땋은 단 한컷으로 표현한 것이다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고집스럽고 커뮤니케이션이 없었던 아버지와 단둘이 살았던 아멜리에에게 그 5년은 너무나도 심심한 것이었다
감독은 그것을 '죽음과도 같은 세계'라고 나레이션으로 표현하지만 영상으로 보여주고 싶었다
하지만 길고 구구절절하게 보여주기보다는 영화에서 유일하게 길게 땋은 머리를 단 한컷 보여줌으로써 감독은 그 '죽음과도 같은 세계'가 아멜리에에게 어떠한 것이었는가를 설명한다

하지만 얼마나 많은 관객이 이 장면을 눈치챘을까?
필자는 이 영화를 처음 봤을때 전혀 몰랐었기 때문에 사실 이 장면을 찾아내고 많이 놀랐다

<그리고 죽음과도 같았던 그 세계에서 곰인형은 버려져 있었다>

죽음과도 같았던 5년동안의 삶이 나레이션으로 설명되는 동안 마당에 버려진 곰인형은 닳고 닳아서 튿어져버린다
분명 클립해놓은 동영상 첫부분에 아멜리에가 가지고 놀던 이 곰인형은 그녀가 심심하게 살았던 그동안 밖에서 세월의 흐름을 보여주는 도구로 사용된다

곰인형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5년동안 버려진 그녀의 상상력과 삶을 상징하는 것이 아닐까
아니면 혼자서 방치된 아멜리에 자신을 상징하는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찢어지고 닳아빠진 곰인형을 버린채로 아멜리에는 집을 떠난다

머리 스타일은 분명한 미쟝센의 하나이다
스토리나 대사같은 텍스트적 의미가 아니며 오디오 신호도 아닌 영상적인 메시지이기  때문이다
감독은 처음부터 끝까지 아멜리에를 단발머리로 만들어서 그녀의 캐릭터와 외모를 일치 시키고 있다
그리고 그것을 단 한컷의 변화를 이용해 그녀의 5년동안의 삶의 이야기를 더없이 압축시켜 간단명료하게 설명한다

<이글은 씨네마틱에 기사화 되었습니다>



미쟝센에 대한 용어 설명부터 간략하게 해야겠다
뭐 어디서부터 유래됐고 어느나라 말이고 그런건 중요하지 않고  딱잘라 말해서 '장면화'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즉 영화의 프레임안의 장면을 구성하기 위한 모든 비주얼적인 요소들을 나는 미쟝센이라 생각한다.
예를들어 의상 세트 조명 구도 메이크업등 모든것이 미쟝센의 요소가 될 수 있다

아무튼 이쯤에서 첨부한 동영상을 보도록 하자
이 장면은 거짓말을 통해 자신이 좋아하는 선배와 사귀기 시작한 하나가 어처구니 없는 투정을 하는 대목이다
여하튼 스토리의 전후를 감안하지 않고 미쟝센편이니까 이 장면을 자세히 보도록 하자
20초 부근에 하나는 앞에 있는 유리벽에 얼굴을 갖다댄다
의도적인 이 장면은 하나가 정확히 얼굴의 반을 갖다대고 카메라 위치에서 보면 반쪽이 반사되어 온전한 하나의 얼굴이 보여진다
하지만 이 얼굴은 평소의 하나의 얼굴과는 약간 다른 굉장히 고집스럽고 약간은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 비춰진다

<이 사진을 보자 완전히 고집스러운 못생긴 여자애가 아닌가>

이와이 슌지는 의도적으로 이러한 얼굴을 만들어 낸것이다
애초에 그녀의 고집스러운 얼굴을 만들기 위해 분장이나 조명을 이용하기 보다는 이러한 거울의 반사를 이용하여 창조해낸 것이다
이러한 거울 장난은 누구나 한번쯤 해보거나 본적이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거울 반사가 사람의 얼굴을 어떻게 왜곡 시키고 재미있게 만들어주는지 얼핏 알고 있을 것이다
이와이 슌지는 이것을 이용하여 여주인공 하나의 고집스러운 얼굴을 만드는 미쟝센을 완성시킨것이다

이 장면이 대단한 것은 결코 많은 영화에서 쓰이는 흔한 기법이 아닌 이영화의 제작팀이 생각하고 창작해낸 장면이라는 생각이 든다
많은 스릴러 영화에서는 거울을 이용하여 왜곡된 영상을 만들어 내는 작업이 이전에도 많이 있었다 
하지만 10대의 청춘 멜로 영화에서 이러한 거울의 왜곡을 이용하여 원하는 장면을 만들어 내는 이러한 노력과 센스는 많이 배워야 할 점이라고 생각한다 

이 장면을 자세히 들여다보면 감독에게서 지시받은 여배우가 이 얼굴을 만들어 내기 위해 정확히 조준하는 것을 알수 있다
카메라의 위치는 정해져있고 이러한 반사각을 만들어 내기 위해 분명 여배우는 정확한 지점에 이마의 특정 포인트를 갖다대고 고개의 각도를 짜여진대로 숙여야만 했을것이다
20초 부근에 보면 여배우가 이마를 갖다대고 살짝 포인트를 움직이는 장면을 포착 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정말 미묘해서 대사를 들으며 영화를 보는 관객들은 당연히 생각도 못할 일이지만 정말 편하게 그저 기대기만 하면 되는 것이 아닌 장면이라고 생각하고 보면 분명 하나가 정확한 지점에 얼굴을 갖다대기 위해 노력하는 것을 눈치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장면이 미쟝센이라고 부르기에 조금 낯설수도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나는 분명히 감독의 의도에 의한 장면화이므로 이것을 미쟝센 이외의 용어로 설명하기도 애매하다는 생각이 든다
사실 용어는 아무렴 어떤가 그저 나는 이장면의 연출이 너무나 훌륭하다고 말하고 싶을  뿐이다



<씨네마틱에 기사화된 글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