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캐쉬백은 처음부터 끝까지 주인공 벤의 1인칭 시점으로 전개된다.
장편영화 치고는 흔치 않게 벤이 없는 곳의 이야기는 전혀 보여지지 않으며 처음부터 끝까지 나레이션으로 그의 감정이 관객에게 그대로 전달되고 있다. 특히 수지에게 차이고 사진을 태우려 하는 이 장면이 가장 벤의 시점을 잘 표현하고 있다.

<수지와의 추억이 담긴 사진을 태우려 하는 벤>

수지와의 사진을 한장씩 넘겨보던 벤은 라이타를 꺼내(담배를 피우지 않는 벤이 라이터를 가지고 있는 것은 조금 이상하지만... 영화상의 편의를 위한것이라고 남자답게 포용해주도록하자) 사진을 태우려 한다.

그런데 이 장면에서 촬영된 앵글을 보자. 위의 두컷을 보면 벤과 사진을 두 인물이라고 설정하면 둘 사이의 오버 더 숄더로 촬영된다. 기본적인 문법에서 만약 벤의 감정으로 갈 거라면 벤의 어깨를 걸쳐 사진을 보여주는 샷은 어쩔 수 없다고 쳐도 벤의 표정이 드러나는 컷은 위처럼 로우앵글(Low angle)이 아닌 아이레벨(Eye level)로 촬영되어야 맞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정말로 사진 대신 한 인물일 경우이다. 실제로 위의 컷에는 사진은 인물이 아니므로 감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사진을 걸쳐서 찍은 벤의 반응샷 역시 똑같이 벤의 감정이라고 봐줘야 할 것이다. 실제로 위의 두 컷은 사진을 보고 있는 벤의 모습을 아래위에서 보여주면서 벤과 사진의 일직선인 새로운 아이레벨을 만들고 있다고 보여진다.

그리고 난 개인적으로 로우앵글이 아이레벨보다 감정적인 샷을 만들어낸다고 믿는데 그런 면에서 위의 장면이 더 효과적이라고 보여진다.

<벤은 사진을 태운다. 아니 태우지 않는다>

그리고 사진이 나오는 단독샷 (이것은 벤의 시점샷이라는 설정이겠쥐?)에서 사진에 불이 붙는다. 드디어 벤이 사진을 태워버린 것이다. 용기있는 남자 벤.
아 하지만 그 직후의 컷에서 사진에 불을 붙이지 않은 것이 드러나면서 벤의 소심함이 내 가슴까지 전해져온다. (괜찮아 토닥토닥)

이것은 관객을 속이는 트릭으로서 작용하지만 실제로는 벤의 망설임을 표현한다. 이것이 이 영화가 전반적으로 벤의 1인칭으로 표현되었다는 증거이기도 하며 관객들에게 계속해서 벤의 시점으로 모든 것을 보여준다는 뜻이다.

실제로 위의 장면에서 사진을 태우면 관객들은 아 태워버리는구나 생각하지만 이후의 샷으로 태우지 않았군! 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그리고 아무리 표정이나 셔레이드로 망설임을 보여줘봤자 설명할 수 없는 벤의 복잡한 심경을 그대로 관객에게 느끼게 해준다. 이런 트릭의 표현이 있었기에 더 디테일한 감정을 연출 할 수 있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