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할 이야기는 카메라를 보고 연기하는 장면이다
그리고 2009/01/26 - [video grammer] - 영상문법 - 거리두기=소격효과 <아멜리에>에서 하는 것처럼 관객과의 거리를 확실하게 좁히고 있다

<벡비,식보이,마크는 카메라를 보고 대화를 나눈다>

마치 카메라의 위치에 TV가 있는 것처럼 그들은 카메라와 서로의 얼굴을 번갈아 보며 대화를 나눈다
분명히 이 시점의 촬영은 TV시점의 촬영이긴 하다

이렇게 카메라를 쳐다보며 대화하지만 아멜리에처럼 관객에게 직접 이야기하는 정도의 소격효과를 사용하고 있지는 않다
하지만 나는 이 장면 또한 상당히 거리두기를 응용한 거리 좁히기 기법이라고 생각한다

이러한 앵글의 촬영으로 인해 관객은 마치 이 3명과 테이블 앞에 마주 앉아있는 듯한 생각이 든다
더구나 이씬에서의 앵글은 전혀 바뀌지 않고 사이즈만 조금 바뀌기 때문이다

대니보일은 이 장면에서 2가지를 의도한다
먼저 마크가 벡비,식보이와 대화하고 싶지 않은 것이다
그래서 마주보고 앉지 않고 이렇게 나란히 앉은 장면에서의 대화장면을 설정한 것이다

이 장면에서 식보이가 하는 개소리들에 대해서 마크는 화만 낼 뿐이다
실제로 마크가 카메라를 계속 쳐다보다가 단한번 식보이를 보는 것은 격하게 화를 낼 때 뿐이다

두번째로 앞에서 이야기했듯이 이들의 대화를 마치 같은 장소에 앉아있는 것처럼 듣게한다 그리고 굳이 마크의 시점과 반응샷으로 찍히지 않더라도 그동안 벡비가 저지른 만행과 식보이가 해대는 개소리는 관객을 충분히 마크의 편으로 만들어준다

변화하기 시작한 마크의 삶에서 이들을 쫓아내기 위해서 영화의 결말을 위해서 감독은 이장면에서 이들을 확실히 분리해낸다
컷을 나눠서 분리하기 보다 오히려 셋을 나란히 놓음으로써 그들의 의사소통을 분리해낸다

마크는 결코 이들을 쳐다보고 싶어하지 않는다
이들과 눈을 마주대고 대화할 가치가 없다

그리고 그것을 관객은 테이블 건너편에서 말없이 들어준다
마치 이장면에 없는 토미나 스퍼드가 해야할 것 처럼 말이다


스릴러의 거장 알프레도 히치콕 형님은 영화의 카메라는 누군가를 훔쳐보는 창(windows)이라고 말씀하셨지
솔직히 정확히 뭐라고 말씀하셨는지는 잘 기억 안나지만 대충 이런 내용이었어
히치콕 형님께서 이런 말씀을 하신데에는 역시 '스릴러'라는 장르에 대한 연구 때문이었지
스릴러라는 장르는 긴장감이 있어야 하고 그것을 위해서 영화의 카메라는 관객들에게 무서운 장면을 훔쳐보게 했다고 생각하셨으니까

하지만 난 장르를 불문하고 영화의 촬영은 모두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공부하다보면 '시점샷'이 분명히 따로 있고 그에 따른 반응샷도 분명히 있지만 사실상 난 모든 샷이 시점샷이라고 본다
다만 구분을 하자면 영화에서 부르는 '시점샷'은 등장인물의 시점이고 내가 말하는 의미는 영화에 등장하지 않아도 가상적으로 존재하는 시점이라고 할수 있다

예를들어 본다면 로우앵글은 어째서 사람을 위대하고 무섭게 만들며 하이앵글은 기본적으로 사람을 약하게 만드는걸까
정말로 단순하게 말해서 키가 작은 사람이 올려다 보는것과 키가 큰사람이 내려다 보는것의 차이가 아닐까
그리고 흔히 bird's eye view라고 부르는 것을 나는 이렇게 부르고 싶다
'신의 시점' 이라고..
다들 알겠지만 살인의 추억에서도 반복해서 나오듯이 사람이 죽은 장면을 머리 꼭대기에서 찍는 것은 흔한일이다
나는 이것이 주는 느낌이 바로 신의 시점에서 인간의 무력한 힘으로는 어쩔 수 없는 죽음이라고 생각한다

<릴리슈슈의 모든 것에서 자살한 아오이 유우>

이 사진을 보면 물론 아오이 유우가 높은곳에 떨어져서 위에있는 철선에 피를 묻히고 떨어졌다라는 상황 설명도 되지만 느낌상 그녀의 죽음은 같은 인간으로서는 도저히 도와줄수 없었다는 느낌이 강하다


여하튼 본론으로 들어가서 첨부한 동영상은 남자주인공과 여자주인공이 처음으로 사랑을 확인하는 씬이다
둘의 키스가 이루어지고 카메라는 마치 하늘을 날아가는 새처럼 위로 올라가며 그둘을 비춰준다

<하늘위로 날아가면 둘을 비추는 카메라>

이런식의 촬영은 특이한 것이 아니다 흔히들 이렇게 표현한다
하지만 이 컷이 넘어가면서 여주인공은 마치 자기가 이 카메라의 시점으로 자신과 남자의 키스를 보면서 하늘을 나는 느낌이었다고 이야기 한다
놀랍지 않은가?
사실 이러한 촬영 자체는 여주인공의 행복한 심리를 나타내기 위한것이긴 하다 하지만 그것을 대놓고 제3자에게 이야기 한다
이것은 고전적 헐리우드 스타일의 현대 영화에서는 아직은 문법화 되지 않은 표현 방법이라는 생각이 든다

보통의 영화에서는 카메라는 선택적으로 순간순간 시점을 바꿔서 촬영할뿐 그 컷이 누구의 시점이었는지 말로 설명해 주지 않는다
사실상 이러한 3인칭의 시점은 설명할수도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감독은 이시점을 카메라 안에 있는 여주인공의 시점이라 설정하고 그것을 또 다시 관객들에게 이야기 해줌으로써 여주인공의 행복한 심리를 더욱더 극대화 한다고 할수있다

이러한 표현은 비유적으로 설명하자면 내가 느낀 행복을 남들이 보고는 잘 모른다 그것을 내가 남에게 이야기 해주는 장면을 또 봤을때 더 진하게 느낄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