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릴러의 거장 알프레도 히치콕 형님은 영화의 카메라는 누군가를 훔쳐보는 창(windows)이라고 말씀하셨지
솔직히 정확히 뭐라고 말씀하셨는지는 잘 기억 안나지만 대충 이런 내용이었어
히치콕 형님께서 이런 말씀을 하신데에는 역시 '스릴러'라는 장르에 대한 연구 때문이었지
스릴러라는 장르는 긴장감이 있어야 하고 그것을 위해서 영화의 카메라는 관객들에게 무서운 장면을 훔쳐보게 했다고 생각하셨으니까

하지만 난 장르를 불문하고 영화의 촬영은 모두 '시점'이라고 생각한다
공부하다보면 '시점샷'이 분명히 따로 있고 그에 따른 반응샷도 분명히 있지만 사실상 난 모든 샷이 시점샷이라고 본다
다만 구분을 하자면 영화에서 부르는 '시점샷'은 등장인물의 시점이고 내가 말하는 의미는 영화에 등장하지 않아도 가상적으로 존재하는 시점이라고 할수 있다

예를들어 본다면 로우앵글은 어째서 사람을 위대하고 무섭게 만들며 하이앵글은 기본적으로 사람을 약하게 만드는걸까
정말로 단순하게 말해서 키가 작은 사람이 올려다 보는것과 키가 큰사람이 내려다 보는것의 차이가 아닐까
그리고 흔히 bird's eye view라고 부르는 것을 나는 이렇게 부르고 싶다
'신의 시점' 이라고..
다들 알겠지만 살인의 추억에서도 반복해서 나오듯이 사람이 죽은 장면을 머리 꼭대기에서 찍는 것은 흔한일이다
나는 이것이 주는 느낌이 바로 신의 시점에서 인간의 무력한 힘으로는 어쩔 수 없는 죽음이라고 생각한다

<릴리슈슈의 모든 것에서 자살한 아오이 유우>

이 사진을 보면 물론 아오이 유우가 높은곳에 떨어져서 위에있는 철선에 피를 묻히고 떨어졌다라는 상황 설명도 되지만 느낌상 그녀의 죽음은 같은 인간으로서는 도저히 도와줄수 없었다는 느낌이 강하다


여하튼 본론으로 들어가서 첨부한 동영상은 남자주인공과 여자주인공이 처음으로 사랑을 확인하는 씬이다
둘의 키스가 이루어지고 카메라는 마치 하늘을 날아가는 새처럼 위로 올라가며 그둘을 비춰준다

<하늘위로 날아가면 둘을 비추는 카메라>

이런식의 촬영은 특이한 것이 아니다 흔히들 이렇게 표현한다
하지만 이 컷이 넘어가면서 여주인공은 마치 자기가 이 카메라의 시점으로 자신과 남자의 키스를 보면서 하늘을 나는 느낌이었다고 이야기 한다
놀랍지 않은가?
사실 이러한 촬영 자체는 여주인공의 행복한 심리를 나타내기 위한것이긴 하다 하지만 그것을 대놓고 제3자에게 이야기 한다
이것은 고전적 헐리우드 스타일의 현대 영화에서는 아직은 문법화 되지 않은 표현 방법이라는 생각이 든다

보통의 영화에서는 카메라는 선택적으로 순간순간 시점을 바꿔서 촬영할뿐 그 컷이 누구의 시점이었는지 말로 설명해 주지 않는다
사실상 이러한 3인칭의 시점은 설명할수도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감독은 이시점을 카메라 안에 있는 여주인공의 시점이라 설정하고 그것을 또 다시 관객들에게 이야기 해줌으로써 여주인공의 행복한 심리를 더욱더 극대화 한다고 할수있다

이러한 표현은 비유적으로 설명하자면 내가 느낀 행복을 남들이 보고는 잘 모른다 그것을 내가 남에게 이야기 해주는 장면을 또 봤을때 더 진하게 느낄 수 있다

하나와 앨리스 시간의 압축 확장때 확장때 주로 이야기 했던 평행 편집부분이다
이 영상에 나와있는 것처럼 다른장소의 이야기들을 교차로 보여준다고 해서 교차편집이라고 편하게 부르기도 한다

영화의 대부분의 장면은 사실 한장면이 쭉 보여지고 그 다음 장면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것은 주로 영화의 주인공을 따라서 사건이 흘러가기 때문에 카메라는 주인공을 계속 비춰주기 때문이다.
하지만 영화에서 등장하는 인물은 매우 많으며 사실상 주인공이 여러명인 영화도 많다
그러므로 감독은 동시에 일어나는 일을 교차로 보여준다는 선택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선택으로 많은 영화적 메시지와 감정을 만들어낼 수 있다

첨부한 동영상 부분에서 주목할 점은 바로 비극과 희극을 교차한다는데 있다.
이것은 R.ef의 이별공식의 가사에서 처럼 햇빛 눈이 부신날의 이별은 비오는날 보다 심하고 작은 표정과 눈물을 감출 수 있다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노래한 것과 비슷하다
이와이 슌지 감독은 이부분에서 만담을 하러 올라가기 전에 그리고 이미 무대에서는 만담이 펼쳐지고 있는데 무대 뒷편에서는 너무나 슬프게 우는 아이러니한 상황을 던져준것이다. 이것은 사실상 무대위의 희극과 대비되어 더 가슴아프게 느껴진다는 것이 문법적으로 맞는 것 같지만 쉽게 선택할 수 있는 길은 아니다.
관객들의 감정이 슬퍼하는 하나에게 완전히 몰입해야 하는데 중간중간에 희극장면을 넣는다는 것은 감히 편집하기 두려운 일일 것이다.
아무튼 이와이 슌지는 그렇게 편집을 했고 나는 꽤 성공적이게 장면이 완성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무대뒤와 무대위의 만담이 교차편집 된다>


그리고 이부분에서 조금더 디테일한 사운드 편집 장면이 들어가있다
이 교차편집은 다른장소지만 사실은 무대위의 소리가 들릴만큼의 가까운 거리이므로 무대위의 소리가 뒷쪽까지도 완전히 전달된다
하지만 이와이 슌지는 이 무대위의 사운드를 선택적으로 무대뒤쪽에 들려준다
처음에는 만담이 없어서 전혀 들리지 않던 무대위의 소리가 1분 55초경을 보면 분명히 하나의 울음위로 들려온다.
하지만 하나의 울음이 극에 달하는 1분 59초의 순간에는 음악만을 들려주고 순간적으로 무대위의 소리를 들려주지 않는다.

<하나의 울음이 폭발하는 순간 음악이외의 사운드는 들리지 않는다>

이것은 대단한 일이다
왜냐하면 이 영화를 보던 대부분의 관객은 그 짧은 순간에 밖의 소리를 인위적으로 차단하여 하나의 슬픔을 극대화 시킨것을 모르고 지나가기 때문이다.
그저 하나의 슬픔이 극에 달하고 울음을 꿀꺽 삼키는 듯한 느낌만을 받을 뿐이다
그리고 다시 교차편집이 되며 다시 무대뒤의 하나의 샷에서는 무대위의 소리가 들려오기 시작한다. 단 한컷만이 무대위의 사운드를 차단시켜준다
이것은 역시 쉽게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 아니지만 굉장히 성공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나서 감독은 2분 11초경에 나오는 하나의 단독 클로즈업 샷까지는 무대위의 소리를 들려주지만 2분 16초경부터는 하나의 대사가 시작되고 다시금 무대위의 소리를 차단시켜 준다

이 사운드 편집을 종합해서 설명하면
사실 처음부터 무대위의 사운드를 차단하고 시작했다. 무대위의 소리는 이야기를 시작하는 하나에게의 관객몰입을 방해하는 것이었고 들려줄 의미가 없었다.
하지만 하나가 말을하다가 울기 시작하고 이제서야 무대위의 소리가 들려온다.
그리고 한순간 울음이 극에 달하는 순간 무대위의 소리를 차단하지만 다시 들려주고 결국 하나가 다시 이야기를 하는 순간부터는 다시 무대위의 소리를 차단해 준다.

이 하나가 우는순간 무대뒤로 전달해준 만담의 사운드를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이것은 하나의 이야기가 끊기고 우는 순간 그녀의 귀로 들려오는 만담소리가 하나에게 더 큰 슬픔과 창피함을 전달해준다는 감정적인 편집이라고 말하고 싶다
실제로 슬픔이 극에 달하는 순간에는 만담소리가 그녀에게 들리지 않고 이야기를 다시 시 작하는 시점에는 만담의 소리를 들을 여유가 없기 때문이다.
이것은 하나의 감정에 치우친 편집이라고 생각하지만 관객에게도  똑같이 적용된다고 생각한다 하나가 울음을 터뜨리는 순간 무대위의 만담이 들려오고 이것은 위에서 말한대로 아이러니한 상황으로 하나의 슬픔을 증폭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씨네마틱에 기사화된 글입니다>


이 장면은 러브레터 이후 아오이 유우를 우리나에 격하게 알린 이와이 슌지의 하나와 앨리스 라는 영화의 첫 부분이다

오늘 소개할 내용은 영화의 편집과 시간의 관계에 대해서이다
위의 동영상 내용을 설명하기전에 먼저 기본적으로 영화에서 어떤식으로 시간을 다루는지에 대해서 알아야할 필요가 있다

장편영화를 90분정도라고 치면 영화밖에서의 시간은 말그대로 리얼타임 즉, 90분이 된다.
하지만 영화 안에서의 시간은? 말그대로 며칠이 될수도 있고 몇년이 될수도 있고 심지어는 몇백년을 거슬러 올라가는 영화도 간혹 있다.
이런식으로 대부분의 영화는 스토리상의 시간을 압축해서 보여준다
물론 90분의 시간동안 똑같이 90분을 보여줄수도 있으며 흔치 않게 90분동안 더 짧은시간 예를들어 단 5분간의 시간만 보여줄 수도 있다
실제로 그런 영화들이 존재하며 실험정신으로 훌륭한 영화를 만들어냈다

그렇다면 시간의 압축과 확장은 어떻게 하는가?
간단하게 말하자면 편집을 통해서 이다
시간의 확장은 오히려 간단한 편이다 90분동안 보여주고 사실은 5분밖에 지나지 않았다고 시계를 보여주면 된다(영화안에서)
물론 5분동안 일어날 수 없는 사건들을 다루는 것은 너무 뻥같아서 안되겠지만 실제로 시간확장류의 영화들은 말도 안되는 사건들을 더 짧은시간안에 이루었다고 표현할수도 있다
시간 확장의 똑같은 방법은 평행편집이다
5분동안 일어나는 일 18개를 적당히 섞어서 보여준다고 생각해보자
5x18 = 90 즉, 90분을 보여줄수 있다
이것은 리얼타임이므로 4~5개 정도의 사건을 뒤죽박죽 보여주고 스토리상 플래쉬 백이라던지 그런것으로 보여준 장면을 반복함으로써 90분을 채울수도 있다

그렇다면 시간의 압축은? 기본적으로 영화에서 행해지는 것이므로 더 디테일하게 작업된다
대부분의 영화가 90분보다 훨씬 긴 이야기를 담고자 한다
그러므로 영화는 매씬마다 매순간마다 시간을 압축한다고 볼수 있다
기본적으로 영화가 씬이 나뉘어 지는 이유가 바로 시간의 압축이다
씬의 정의가 무엇인가? 바로 시간이나 장소가 바뀌어지면 씬이 바뀐다는 것이다
시간이 바뀐다는 것은 중간의 시간을 뛰어넘을 수 있다는 이야기이며 씬이야 말로 시간 압축의 가장 중요한 수단이다

그리고 한 씬 안에서 시간을 압축하는 수단이 있다 바로 편집이다.
이번에 소개할 내용은 바로 이것에 관해서이다
내가 첨부한 동영상을 보면 처음에 하나와 앨리스가 앞뒤로 열심히 걷고 있다
그리고 컷이 바뀌고 전철역이 나오고 화면멀리서 화면안으로 하나와 앨리스가 뛰어들어온다

<화면안으로 뛰어들어오는 하나와 앨리스>


어째서 그녀들은 굳이 화면밖에서 안으로 뛰어들어오는가 (프레임 인 하는가?)
결론을 이야기하면 시간의 압축이다
처음에 하나와 앨리스가 걷고 있는 곳은 길거리이다 그장면에서 그녀들은 어떤 문이나 건물을 만나지 않았다
그런데 다음장면에서 바로 기차역안에 들어와 있다면? 그것은 관객을 놀라게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녀들은 길거리에 있다가 컷이 바뀌고 2~3초후에 화면안으로 들어옴으로써 그 중간의 시간을 뛰어넘는다

같은 방식으로 또 그녀들은 화면밖으로 사라진다 (프레임 아웃한다)
그리고 컷이 되고 그녀들은 또 밑에서 부터 위로 화면안으로 들어온다 육교를 올라온 것이다

<화면 안으로 밑에서 뛰어들어오는 하나와 앨리스>


여기서도 똑같은 시간 압축이 행해진다 실제로 육교를 올라오는 시간은 얼마나 될까?
아무리  빠르고 체력이 좋은 여고생이라도 10초는 걸리지 않을까?
10초동안 육교를 오르는 모습을 보여줄수는 없다 그래서 이렇게 편집된다
문안으로 들어와서 왼쪽으로 뛰어사라진 컷직후 그녀들은 육교를 오르고 있다
그리고 컷이 된후 화면밑에서부터 등장하기 전까지 그녀들은 육교를 오르고 있었다
단순한 표현이지만 이런식으로 모든 영화는 시간을 압축한다

다시한번 그녀들은 육교를 오른후 화면 오른쪽으로 빠져나간다
이번에는 그 직후 전철의 역이름이 표시된 판이 보여진다 (사실 이 장면은 영화에서 어떤 텍스트적 의미도 없다고 볼수 있다)

<그녀들이 육교위를 뛰어가고 역의 간판이 보여진다>


<그리고 나온 컷에서 그녀들은 화면안으로 들어오지도 더이상 뛰고 있지 않다
멈추어 서있다>

생각해보자 만약 그녀들이 육교를 뛰어올라와 오른쪽 화면밖으로 뛰어 사라진후 컷이 되고 역이름이 나오지 않고 바로 육교를 내려와 멈춰서 있는 모습이 나온다면?
사실 그녀들은 화면에서 사라졌기 때문에 시간압축이라고 볼수도 있다 그리고 그것을 그렇게 편집할수도 있다
하지만 계속 뛰다가 갑자기 멈춰서있는 그 쌩뚱맞은 느낌은 지울 수 없을 것이다
그래서 감독은 그 사이에 그녀들이 이미 육교를 내려와서 입김을 불며 장난을 시작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주기 위해 전철역의 이름이 표시된 설정샷을 집어 넣는다

사실 방금 설명한 마지막 컷은 시간의 압축을 위해서라면 굳이 집어 넣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시간을 압축한다고 그냥 마구마구 해버린다고 되는 것은 아니다
영화의 장르적 씬별 느낌에 맞게 압축해야 한다
이와이 슌지는 달리로 촬영한 전철역 이름 설정샷 하나를 넣음으로써 그녀들이 육교를 뛰어내려와 숨을 고르고 입김을 불며 장난을 칠수 있는 시간을 리드미컬한 시처럼 압축했다

바로 이것이 영화를 만드는 사람들이 연출할때 신경써야할 부분이다
영화의 시간적 압축은 영화의 리듬을 만든다
리드미컬하지 않은 영화는 딱딱하고 머리아픈 책을 읽는것 만큼이나 재미 없다



<씨네마틱에 기사화된 글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