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래트럴 (2004)

Collateral 
7.5
감독
마이클 만
출연
톰 크루즈, 제이미 폭스, 제이다 핀켓 스미스, 마크 러팔로, 피터 버그
정보
범죄, 스릴러 | 미국 | 120 분 | 2004-10-15

 

오프닝 시퀀스 - 외재음과 내재음의 경계를 이용한 감정이입

 

 

 

영화가 시작되고 빈센트 - 톰 크루즈의 모습에서 부터 시작된 bgm은 택시기사 맥스 - 제이미 폭스를 따라다닌다.

택시를 타고 여기저기 돌아다니는 맥스를 따라 bgm은 자연스럽지 않게 다른 곡으로 변화한다.

 

이것은 영화속에 존재하지 않던 사운드(디제시스를 벗어난)인 bgm이 맥스의 카오디오를 통해 나오는 음악으로 설정이 변경 된 것이다. 외재음을 내재음으로 바꿔버린 이 방식은 맥스가 톰 크루즈를 만나 첫번째 살인이 벌어지기 까지 20여분간 계속된다.

 

이 영화속 음악은 맥스가 여자 승객과 사랑에 빠지는 감정을 지원하며 다시 등장한 톰크루즈로부터(순간적으로 음악은 다시 톰크루즈로부터 시작되어 외재음으로 변한다)시작되어 첫번째 피살인자가 택시위로 떨어질 때까지 계속된다.

 

물론 이러한 사운드 운용의 방식이 20여분간 외재음에서 완벽하게 내재화 되는 것은 아니다. 그랬다고 한다면 택시 안과 밖의 볼륨의 조정이 더 섬세해야 했으며 재등장한 톰크루즈를 따라 음악이 시작되어서는 안된다.

 

어쨌든 마이클 만 감독의 이러한 사운드 연출 방식은 여러가지 효과를 가진다.

첫 번째로 영화의 음악이 맥스를 따라가게 만들면서 관객에게 무의식적으로 맥스에 동화되게 만든다. 이것은 영화속 이야기가 해냈던 역할을 지원하는 방식인 것이다.

여자 승객과 빠른길 내기를 하는 맥스에게 관객들은 택시기사로서의 정열과 전문성, 그리고 그의 명석함이라는 매력을 느꼈을 것이다. 이러한 논리적인 감정동화의 효과와 마찬가지로 비논리적으로 음악을 통해 우리를 맥스에게 빠져들도록 설정한다.

 

히치콕의 스릴러를 대하는 방식 - 서스펜스와 서프라이즈

 

테이블에 누가 시한 폭탄을 장치했다. 이후에 사람들이 들어와 대화를 나눈다.

만약 관객이 시한폭탄을 설치한 사실을 알고있다면 대화 내내 서스펜스가 발생한다, 반대로 관객이 모르고 있다가 갑자기 폭탄이 터진다면 관객에게 그것은 서프라이즈(충격)으로 작용한다.

 

스릴러 영화의 긴장감을 조성하는 가장 중요한 이 두가지 방식에서 마이클 만 감독은 대체로 서스펜스의 방식을 취한다. 당연한 것이지만 관객에게 매번 놀라게 하는 식의 연출은 마술과 다를 것이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영화속에서 두번 관객에게 정보를 숨기는 연출을 한다.

 

첫번째는 바로 앞에서 이야기 했던 첫 피살자가 택시위로 떨어지는 장면이다. 관객에게 톰크루즈가 킬러라는 정보를 제공하지 않은 상태에서 갑자기 택시위로 떨어진 시체는 관객에게 상당한 충격과 공포를 제공한다. 20여분간 관객에게 톰 크루즈의 정체를 설명하지 않은 이유는 바로 이 충격의 순간을 관객과 맥스가 동일선상에서 느끼게 해주고 싶었기 때문이다.

맥스는 갑자기 떨어진 시체를 보고 너무 놀라서 제정신이 아닐 것이다. 이것을 어떻게 표현할 것인가의 문제에서 감독은 관객과 맥스의 동일 시점을 통해 이야기 한다.

별개의 이야기지만 순간적으로 시체의 시점샷을 한쇼트 보여준 방식으로 빠른 리듬감을 생성하고 관객들의 무의식에 복합적 감정을 심어주었을거라 기대한다.

 

 

두번째 서프라이즈 쇼트는 바로 맥스와 빈센트의 총격전 장면이다. 마치 사무라이 영화에서 두사람이 칼을 휘두르며 지나가고 나서 한사람이 쓰러지는 장면처럼...

계속해서 총을 겨누고 있는 빈센트의 상반신을 비추다 바닥에 떨어지는 탄창을 통해 빈센트의 죽음을 암시한다. 첫번째의 서프라이즈 방식과는 다르게 이 장면의 연출은 어느정도 감정적으로 해석된다. 관객에게 빈센트의 패배를 직접적으로 보여주지 않고 마지막까지도 그의 죽음을 받아들이기 힘들게 만든다. 그리고 영화속 주제를 드러내듯 빈센트의 죽음마저 고요하게 표현하기 위해서인듯 하다.

 

영화속 주제 - 대도시속의 무관심과 인간 감정의 빈곤을 통해 우리는 잘 살고 있는가를 묻는다

 

 

 

 

 

 

 

 

 

계속해서 보여지는 도시의 이미지는 미학적으로 영화를 보는 재미를 창출하지만 그것이 전부는 아니다.

빈센트의 말처럼 LA에서는 옆에서 사람이 죽어도 아무도 관심이 없다. 수많은 사람에 둘러쌓여 살지만 고독하다.

 

 

"그럼 아는 사람만 죽여야 하나? 누구였는지 무슨 상관이야. 르완다라는 곳에서는 하루에도 수만명이 죽어가 맥스 너는 그 사람들한테 관심이나 가진적 있어? 르완다 사람은 모르고 트렁크속 시체는 알아?"

빈센트의 쿨한 자기합리화이다.

이러한 킬러의 논리는 마이클만 감독이 관객에게 직접적으로 말하는 듯하다. 영화속에서 빈센트가 수많은 사람을 죽이지만 우연히 사건현장을 발견한 형사 이외에는 어떤 문제도 생기지 않는다.(사람들의 신고나 총성을 듣고 출동하거나 하는일이 전혀없다)

지금 너희들이 영화를 보고 있는 이시간에도 이 세상에는 수많은 사람들이 죽어가. 그런데 너희는 고작 영화속 허구의 인물의 죽음에 대해 걱정하고 있지. 비록 감독이 의도적으로 거리두기를 하지는 않지만 영화속의 주제는 이처럼 날카롭다.

 

 

 

 

 

마지막에 죽어서 홀로 남겨져 있는 빈센트를 보여주는 이 쇼트가 영화 콜래트럴에서의 최고의 장면이라고 생각한다.

다른 좌석에서의 시점으로 보여주는 이 쇼트를 통해 과연 LA의 사람들이 이 사람을 보고 죽은 사람이라고 생각할까? 아니면 그냥 자리에 앉아 졸고 있는 사람이라고 생각할까 생각하게 만들어준다. 그리고 열차는 게속해서 달린다. 아무런 일이 없는 것처럼.

 

캐릭터 - 빈센트

 

 

 

 

 

LA는 수많은 사람이 살지만 서로에게 관심이 없어 고독해서 싫다는 그는 꽤나 이중적인 인물이다. 실제로 사람들의 무관심은 그의 직업에 아주 도움이 되고 자신이 죽이는 사람에게 전혀 관심이 없다. 그리고 그렇게 사람들의 무관심속에 고독하게 죽는다. 그의 이중성을 보여주기 위해서인지 택시안에서 유리로 그의 얼굴을 반만 가리는 쇼트가 꽤나 지속된다. 그리고 나중에는 균열이 생긴 앞유리에 그의 모습을 가리는 미쟝센으로 관객에게 빈센트라는 인물을 전부 드러내지 않는다. 감독은 결국 끝까지 이 빈센트라는 인물에 대해 추측을 하게 할뿐 확실히 알게 해주지 않는다.

정장을 입은 그의 모습은 꽤나 멋지고 언젠가부터 영화속 킬러들의 유니폼이 되어버린 것 같다. 여자의 옷차림을 보고 법조인이라는것을 단번에 알아맞춘 맥스의 캐릭터를 생각하면 빈센트의 이 의상은 LA에 부동산 일로 출장온 남자의 의상으로 적절한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캐릭터 - 맥스

 

 

 

택시를 깔끔하게 하고 빠른길을 완벽하게 파악하는 그는 꽤나 전문성이 있어보인다.

하지만 택시안에서 몰디브 사진을 보며 현실도피하는 그는 우유부단한 생각많은 캐릭터이다. 여자에게 번호를 묻지도 못하며 어머니에겐 거짓말을 하고 12년간 일해온 택시기사를 임시직이라고 자기자신마저 속이고 있는 인물.

그의 의상에 대해 말을 한다면 정말로 12년간 일을 하며 리무진 회사를 차리려는 뜻을 가진 사람이라면 별나 보이더라도 턱시도를 입고 택시를 몰지 않았을까? 그의 티셔츠와 후드는 택시기사라는 현실에 안주한 맥스 자체를 표현하는 듯 보인다.

빈센트인척 하고 잃어버린 자료를 다시 받으러가는 장면에서 안경을 벗는 맥스의 모습은 이 영화에서 손꼽히는 볼거리이다. 이 한 장면을 위해 맥스에게 안경을 씌운것이 아닌가하는 생각이 들정도.

그러나 영화의 마지막 빈센트가 죽고 열차에서 내리는 맥스의 모습에서 갑자기 안경이 사라지는데 이것은 그냥 실수로 보여진다.

 

 

택시의 의미

 

택시라는 공간은 맥스에게 알과 같은 것이다.

지금은 자신을 보호해주고 있지만(경제적으로) 언젠가 깨고 나가야할 공간이다.

그러나 그는 교대로 운전하는 차를 청결하게 닦고 휴가마저도 택시안에서 사진을 보며 상상할 정도로 현실에 안주하고 있다. 그것을 맹렬하게 지적하는 것이 빈센트이며 영화에서 몰디브섬의 사진을 여자에게 줘버리는 내러티브는 맥스가 곧 껍질을 깨고 나갈 것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실제로 맥스는 사고를 내서 택시를 부숴버린다. 영화가 끝나고 만약 관객에게 맥스가 택시회사로 돌아 갈것인가 리무진 회사를 차릴것인가 묻는다면 아마 후자를 대답할 것이다. 관객에게 이미 택시라는 알을 깨고 나온 것을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영화속 한국의 이미지

 

 

 

24시간을 일하고 자주 범죄에 연루되어 있지만 미국 영화속에서는 항상 죽임당하는 역할이다. 그래도 극악 범죄자로 그려지지 않는 것은 다행이라고 생각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