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아멜리에서 나온 두번의 의인화에 대해서 살펴보도록하자

<아멜리에의 감정에 대해서 벽의 그림들과 돼지스탠드가 말을한다>

 영화 '아멜리에'처럼 표현의 방식에 제한을 많이 두지 않는 영화에서나 가능한 순간적 의인화라는 생각이 든다
위의 그림 두개를 보면 니노라는 남자에게 마음을 빼앗겨서 그의 사진앨범을 주웠으면서도 전화를 하지 못하는 아멜리에를 두고 벽의 그림 - 개,새 - 들과 돼지 스탠드가 대화를 나눈다
대사는 새가 하는 단 한마디 '수상해.. 사랑에  빠진게 아닐까?'라는 말 뿐이지만 이표현에는 많은 의미가 담겨있다고 생각한다

영화의 초반에 보면 아멜리에는 어릴적부터 혼자 놀아서 여러가지 상상력을 키워왔다 그런 과정에서 그녀는 여러 사물들과 대화할 수 있었다
2009/01/29 - [영상문법] - 영상문법 - 전지적 작가 시점 <아멜리에> 에서 보여주듯이 그녀는 가끔 티비에서 자기 이야기를 다룬다는 상상도 할 정도이다
때문에 이 의인화된 표현은 명백하게 관객들의 시점에서 이야기가 되는 것인 동시에 아멜리에의 상상에 의한 그녀의 시점에서 이야기 된다고도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그녀가 사랑에 빠진것이 아닐까 수상하다는 이들의 의문은 훨씬더 많은 정보를 수집한 관객들에게는 어리석은 질문일 수 있다
그녀는 분명히 니노라는 남자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었으며 사랑에 빠지는 과정이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이들의 질문이 관객에게 전달되는 '아멜리에는 사랑에 빠진것 같다'라는 것으로 보기에는 완전히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이것은 그남자에게 이끌리면서도 자신의 마음을 확실히 알지 못하는(그녀의 흔들리는 마음은 여러가지 다른 장면에서도 많이 표현된다)그녀가 주변의 사물을 통해 자신에게 질문하는 것이라고 해석하는 것이 가장 적절하다고 보여진다 (물론 이렇게 복잡하게 생각하지 않고 그저 재미있는 장면이라고 생각되서 찍었을수도 있다)

<아멜리에가 돌려준 사진속의 남자는 4명이 되어 이야기한다>

내가 이 두가지 장면을 붙여놓긴 했지만 영화상에서는 아멜리에의 의인화 장면과 니노 의 이 장면은 전혀 연속되는 씬이 아니다 오해는 없길 바란다

다시한번 비슷한 표현방식이 이번에는 니노의 침실에서 이루어진다
아멜리에가 돌려준 단 한장의 사진(사실은 똑같은 사진 4장이지만)은 잠을 청하는 니노에게 말을 건다

이 장면에서도 나는 앞에서와 비슷하게 해석될 수 있다고 본다
니노가 아멜리에와 비슷한 몽상가라는 것은 영화에서 이미 알려준 정보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4명의 남자가 니노에게 말을 거는 것은 아멜리에와 마찬가지로 스스로에게 던지는 질문이라고 해석될수 있는것이다
니노가 이 남자들에게 던지는 '그녀는 예쁜가? 그녀가 원하는 것은?'등의 질문들은 사실상 자기자신에게 던지는 질문인 것이다
왜냐하면 이 4명의 남자도 이러저러한 이야기를 하지만 사실상 아는것은 아무것도 없다 그녀의 외모가 괜찮다는 것은 이구동성으로 이야기하지만 그것은 니노가 직장 동료에게 들어서 대충은 상상할수 있는 정보라는걸 생각하자

<마지막에는 2명 그리고 최후의 한명으로 샷이 변한다>

이 니노에게 하는 마지막의 클로즈업 샷의 이야기 '너는 그녀를 예전부터 알고 있었다'라고 하는것은 마치 니노가 '왠지 예전부터 알던 사람일 것 같다는 느낌이 들어.. 어디선가 만난적이 있는.. '라고 스스로 말하는 것 같다

이렇게 해석해 볼때 이 4명의 같은 남자는 니노의 마음속의 갈등들이라고 볼수 있다
4명의 남자는 때로는 같은 이야기를 하고 때로는 다른 의견을 낸다
그녀를 알고 싶나? 그녀의 외모는 예쁘다라는 이야기는 4명 모두 같은 의견은 보인다 그녀를 알고 싶은 것은 니노에게 고민할 필요가 없는 이야기이며 아멜리에의 외모에 대해서 예쁘다,괜찮다 라는 식으로 의견이 분분한것은 그가 그녀의 외모가 예쁘장하다는 동료의 이야기만 들은것으로 혼자 어떨까 상상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그녀의 용건에 대해서는 이상한 이야기들만 나오지만 그것은 니노가 그녀의 의도를 짐작하다가 나온 말도 안되는 상상들을 사진속의 남자에 의해서 표현한 것이다
그리고 그러한 쓸데 없는 상상끝에 니노는 '그녀가 날 사랑하는게 아닐까?'하는 결론에 봉착한 것이다
그리고 역시 마지막으로 왠지 그녀를 꿈속에서 전에 만난적이 있다는 기분이 든다는 바로 니노의 혼자만의 상상인 것이다




사실 롱테이크하면 '살인의 추억'에 굉장히 좋은 장면이 있어서 소개하고 싶지만 한국영화는 저작권법이 아무래도 좀 심하게 적용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두려워서 포스팅하지 못하고 있다
이 포스트에서 소개하는 장면도 그렇지만 대부분의 좋은 롱테이크는 치밀한 동선과 함께 탄탄하게 구성된 움직임으로 관객의 무의식에 많은 것을 전달한다

영화 아멜리에에는 아주 많은 재미난 장면과 빈번한 수평의 파괴가 나오지만 유럽영화 답게 아주 높은 빈도수로 트랙킹이나 크레인을 이용한 롱테이크가 나온다
그 중에서도 영화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는 이번 장면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도록 하자

<계산된 크레인의 움직임으로 프레임안에 보여주고자 하는 개체가 부드럽게 변한다>
  
첨부한 동영상을 본사람은 알겠지만 이번 장면은 25초 가량의 단 한컷이다
사진의 순서대로 카메라는 처음에 뒤에서 부르지만 왠지 모르게 신경쓰지 않고 자신의 길을 바쁘게 걸어가는 대머리의 뒷모습에서 그를 쫓아가는 남자를 잡았다가 그의 오토바이에서 떨어져 나간 가방을 돌아 그 뒤를 쫓아오다 그 가방을 줍는 아멜리에로 이어진다

이 장면이 롱테이크가 아니었다면 어떻게 편집 되었을까
차를 타고 떠나는 대머리의 뒷모습에서 그를 쫓아오던 남자가 오토바이를 타는 장면의 정면으로 넘어가고 그것이 패닝되어 쫓다가 차에 부딪혀서 떨어지는 가방에 클로즈업이 들어가고 뒤에서 나타나 그것을 줍는 아멜리에의 샷으로 넘어갈 것이다

정리해 놓고 보니 분명 편집이 되지 않은 롱테이크인데도 이 장면에서 가장 중요한 것들은 모두 잡아놓고 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가
하지만 이 롱테이크는 결코 쉬운장면이 아니다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앞의 컷을 나눈 장면보다 훨씬촬영하기 어렵다는 생각도 든다
카메라 무빙의 속도와 배우들의 움직임을 맞춰야 하고 무엇보다 갑자기 나타난 차가 오토바이 옆의 가방만을 건드려서 떨어뜨리는 장면을 따로 찍지 않는다면 엄청난 ng가 발생할 것이기 때문이다(물론 미리 해놓은 장치로 자동차 옆을 스칠때 가방을 인위적으로 떨구는 방법이었는지도 모른다) 그리고 떨어진 가방을 쫓아오던 카메라가 돌아서 뒤를 보여주면 때맞침 뛰어오는 아멜리에와 함께 잡히는 타이밍이란 결코 쉬운 장면이 아니다
하지만 어째서 감독은 컷을 나누지 않고 이것을 한장면 쭉 보여주는가 (영화 아멜리에에서는 이러한 롱테이크가 굉장히 많이 사용된다)

그 첫번째로 영화의 분위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컷을 나누는 것은 영화를 리드미컬하게 하지만 그것은 결국 조작이고 연속편집을 하더라도 그것은 엄연한 의미의 완전한 연속은 아닐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롱테이크로 촬영된 샷에서는 완벽한 연속성을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샷이 한 여자의 삶을 다룬 영화에서는 너무나 어울리는 분위기를 만들어 낸다고 생각한다
이 영화에서 아멜리에의 인생이 순간순간의 판단과 사건으로 자연스럽게 흘러가듯이 롱테이크로 촬영되는 장면들은 그런 흘러가는 인생을 표현하기에 가장 적절한 촬영 방법이 아니었을까 그래서 감독은 이러한 촬영 방식을 많이 배치해 둔것이 아닐까

또한 이러한 촬영 방식은 완벽한 연속성에서 기인하는 완전한 인과관계를 부여한다
만약 앞에서 설명했듯이 편집이 되었다면 그것은 편집에 의한 인위적인 인과관계의 부여이다 하지만 대머리남자에서 그를  쫓는 남자 그리고 그가 떨어뜨린 가방 그리고 그뒤에  뛰어오던 아멜리에가 그것을 줍는 장면은 인위적이지도 않고 당연히 받아들일 수 밖에 없는 인과관계의 사건이라는 것이다
행위의 의미를 살펴보면 도망간 대머리의 남자는 항상 사진을 찍고 그것을 찢어버리는 남자였고 찢어진 사진들을 모아서 앨범을 만든 남자는 그를 쫓아가서 그 의문을 해소하고 싶었다 그리고 그러한 추격속에서 그의 가방 하나가 자동차와 충돌하게 됐고(이것은 사고지만) 그에게 호감을 가지던 아멜리에가 그 가방을 주워서 자세히 살펴보는 것 까지의 완벽한 사건의 인과관계를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그리고 앞에서도 말했듯이 이 크레인 샷은 굳이 편집 되지 않아도 될 정도로 가장 중요한 샷들을 모두 보여주고 있다
때문에 감독은 연속성을 해치기 보다는 자연스러운 인과관계를 낫는 이러한 짜임새 있는 롱테이크를 선택한 것이 아닐까


누구나 한번쯤 해보지 않았을까 이런 상상
내가 엄청나게 성공해서 이런저런 사람들과 살아가는 모습을..
또, 내가 굉장히 불쌍하게 죽은 이후에 날 위해 울어주는 사람들을 상상하며 카타르시스의 눈물을 흘린적이 한번쯤 있을 것이다

이 장면은 브레또도를 돕고 집에 오는길에 장님 할아버지를 돕고 저녁을 해먹다가 옆집의 외로운 아저씨를보고 자신의 처지가 너무나 외롭다는 것을 알게된 아멜리에의 모습이다
그녀는 티비를 보다가 평생을 남을 위해 헌신하며 살다가 젊은 나이에 죽어버린 자신의 모습을 상상하고 있다
하지만 감독은 이 상상 장면을 어떠한 편집도 없이 실제로 아멜리에가 보고 있는 그대로를 우리에게 보여준다 이것이 어떠한 상상이라는 설명이 필요 없다

<일반적인 장면이 나오고 있던 뉴스는 자연스레 아멜리에의 이야기로 바뀐다>

영화에서의 감정 표현 방식은 대부분 간접적이다
소설에서는 빈번히 등장하는 전지적 작가 시점이 영화에서는 흔치 않고 영화에서의 감정 표현은 대사나 행동으로 간접적으로 전달 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영화 '아멜리에'에서는 등장인물 이외의 이야기를 설명하는 전지적작가 시점이 분명히 존재한다
그리고 때때로 그는 아멜리에가 어떻게 생각하고 판단하는지 직접적으로 설명해주기도 한다
하지만 이 장면에서 전지적화자는 아멜리에가 직접적으로 이렇게 느끼고 있다고 설명하기 보다는 훨씬 영화적인 표현 방식을 택한다

마치 그녀가 실제로 티비에서 자신의 이야기를 보는 듯이 그것이 그녀의 상상이라고는 단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은채 전지적 작가는 그녀의 상상을 그대로 관객에게 읽어준다
전지적 작가로서 그녀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고 이때는 그저 그녀의 대변자로서의 역할만 하고 있는 것이다

소설에서는 시점의 변화가 많지 않다
전지적 작가시점에서 3인칭 관찰자 시점 또는 1인칭 주인공 시점으로 변환하는 경우가 있지만 한 작품에서 한두번 뿐이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그 시점이 계속 변화한다 대부분은 주인공의 시점으로 이야기가 펼쳐지지만 경우에 따라서 영화는 너무나 쉽게 시점을 변화 시킬수 있다
여기에서도 간단하고 미묘하게 시점을 바꿔준다
그리고 또 다시 그녀의 시점으로 영화는 이동한다

<그리고 이 상상장면은 아멜리에의 감정을 너무나 쉽게 알게 해준다>

계속되는 이 상상장면은 그녀의 내면을 아낌없이 설명해준다
그녀가 어릴적부터 친구가 없었던것과 그래서 다른사람을 사귀는것이 서투르다는것 그래서 남을 돕기 위해 혼자서 외롭게 살았던것 그렇지만 그녀의 아버지 만큼은 돕기가 쉽지 않다는 그녀의 감정을 말해준다
그녀가 그렇게 느낀다고 직접적으로 설명하는 전지적 작가 시점을 벗어나서 이 때 만큼은 3인칭 관찰자 시점마냥 그녀의 상상을 우리에게 이야기해준다
관객은 그 상상을 통해서 그녀가 지금 자신의 처지를 어떻게 느끼고 있는지 경험하게 해준다

그리고 직후에 아버지가 걱정된 아멜리에는 한밤중에 그의 집에 찾아가 어머니를 위해 장식해둔 인형을 뽑아서 훔쳐나온다
그리고 그의 여행을 위해 사진을 찍어서 모스크바로 부터 아버지에게 보낸다
이것은 이 포스트에 설명하기 뭐하지만 굉장히 유기적인 스토리라인임을 알수 있다
사실 아멜리에의 많은 씬들이 유기적으로 짜임새 있게 이루어지지만 자신을 불쌍히 여기다가 아버지가 생각나서 아버지를 급히 찾아가고 그 과정에서 찢어진 증명사진을 이어붙인 앨범을 줍게 된다는 설정은 탄탄한 스토리라인을 만들어 준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