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의 시점은 시시각각 변한다
하지만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은 처음부터 끝까지 3인칭 관찰자 시점을 고수한다
그누구의 입장도 되지 않고 보여지는 슬픈 사랑이야기에 우리는 손댈수 없는 3인칭으로서 가슴아파한다

이장면은 츠네오와 조제가 동거하고 1년뒤 그리고 마지막 여행을 떠나기 직전의 상황이다

<동네 꼬마들이 휠체어를 버릴거냐고 묻자 조제는 담담하게 '응'이라고 대답한다>

츠네오의 이사를 돕고 츠네오가 없을때는 조제를 돕고 놀아주던 동네 꼬마들이 와서 묻는다
가만히 놓여져있는 휠체어를 버릴거냐고
조제는 아이들 쪽을 쳐다본다 그리고는 응이라고 대답한다
이 장면에서 미묘한 조제의 감정을 느낄 수 있다
아이들의 물음에 그쪽을 잠시 쳐다보고는 그렇다고 대답한다
이것은 조제가 아이들이 버릴거냐고 묻는 개체가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서가 아니라 휠체어를 더이상 고쳐주지 않는 츠네오에 대한 심리의 흔들림으로 보여진다

<더이상 고칠수 없다는 말을 들은 소녀의 표정이 이상하다>

오빠에게 고쳐달라고 말하지만 조제는 '더이상 고칠 수 없데'라고 대답한다
그 말을 들은 소녀의 휠체어를 쳐다보는 표정이 심상치 않다
더구나 갑자기 이 장면만이 클로즈업이다
단순하게 생각해서 클로즈업된 이 장면은 감독이 큰 의미를 둔 샷이라고 해석된다
왜냐하면 이 씬의 다른 모든 장면은 단독 클로즈업이 없으니까
오직 이 소녀의 표정만이 감독이 이야기 하고 싶었던 가장 중요한 것을 말해준다

소녀의 표정이 말하는 것은 무엇일까?
조제는 더이상 고칠수 없데라고 답했다
그리고 그말을 들은 소녀의 표정은  '아 고칠 수 없구나'라는 단순한 것이 아니었다
굉장히 어린나이에도 느낄수 있는 만감이 교차하는 표정이었다
이 소녀가 느낀것은, 감독이 지시한 것은, 관객이 느껴야하는 감정은 무엇이었을까

이걸 왜 못고쳐? 라고 생각하지 않았을까? 보기엔 멀쩡해 보였으니까
또는 이걸 왜못고쳐 못고치면 새로 사면되자나 라는 생각이 아니었을까
아무튼 이 소녀의 감정을 뭐라고 말로 표현하듯 그녀가 이순간에 느낀 감정은 아마 조제에게 소홀해진 츠네오였을 것이다
그것을 츠네오도 조제도 아닌 이 소녀가 알아버린 것이다
그리고 감독은 이 소녀의 표정을 보고 관객이 눈치채주길 바랬다

어째서 감독은 츠네오도 조제도 아닌 소녀에게 제일먼저 이사실을 알려주는가?
조제는 처음부터 알고 있었다
아니 어느정도는 예측하고 있었다
그리고 츠네오는 마지막까지 몰랐다
그 사이에서 남들이 알아챌 만큼의 빈틈이 벌어졌을 찰나를 감독은 잡아냈다
그리고 그것을 조제와 소녀들의 대화로 표현했다

세익스피어는 '바보들의 입을 통해 진실을 말해라'라고 말했다
이것은 이야기의 주제라던지 꼭 알려야하는 사실을 바보들의 입을 통해서 말하라는 것이다
어째서 바보인가? 바보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 하지만 바보의 말은 누구도 쉽게 믿지 않는다 그래서 바보가 말해야 하는것이다
영화 '노팅힐'의 스파이크(이 이름이 맞나?)를 생각해보자
휴그랜트가 마지막에 그녀를 포기하자 친구들은 다들 잘했다고 한다
하지만 그누구도 잘했다고 생각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들은 논리적이고 어른스러운 선택을 한것이다
하지만 바보 스파이크는 달랐다
개소리하지말고 빨리가서 그녀를 잡으라고 휴그랜트에게 말한다
그말을 듣고 그는 줄리아로버츠를 찾아가 그녀를 얻는다
그녀를 잡으라는 말은 바보가 아니고서는 할수 없는 말이다
왜냐하면 이것은 진실이기 때문이다 진실은 거짓말보다 두려운 법이다

조제 호랑이 물고기들에서는 어린아이들을 이용한다
많은 현대영화에서는 바보보다는 이렇게 순수한 어린아이들을 이용한다
어린아이는 바보와 같이 순수하고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물론 영화속 이미지가 그렇다는 것이다)
츠네오가 소홀해졌다는 것을 어른이 이야기한다면 믿지 않을 수도 있다
그것은 거짓말일수도 있고 착각일수도 있으니까
하지만 이 순간 느낀 소녀의 표정으로 관객들은 츠네오가 변했다는 것을 느낄수 밖에 없다 소녀는 거짓말 하지 않으니까 더구나 말로 한것이 아니라 표정으로만 보여준 것이니까 이것은 거짓일 수 없다

이 영화에는 화려한 연출과 편집은 없지만 이렇게 한순간의 표정과 대사의 공백만으로 표현되는 디테일한 감정선이 존재한다
츠네오가 떠날것을 처음부터 알고 있는 조제의 감정이 주로 그렇다
처음부터 알고 있지만 결코 입밖으로 한번도 꺼내지 못하는 조제는 여기에서도 그저 '응, 더이상 고칠수 없데'라고만 대답한다

그리고 이때부터 조제는 알고 있었다
츠네오는 어차피 떠날것을... 그래서 휠체어는 어차피 필요 없어질 것을... 그래서 고쳐달라고  떼쓰지 않았고 새로 사려고도 하지 않았다
츠네오가 떠나고 나면 혼자서 살아갈 힘을 조제는 1년사이에 이미 준비하고 있었다

한한국에서 굉장히 사랑받은 이누도 잇신의 영화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의 이별장면이다

조제 캐릭터와 스토리에 엄청나게 많은 메타포를 심은 영화이지만 지금 소개 할 것은 나에게 가장 인상깊었던 이별장면의 반어법이다

 

한국의 멜로영화라면 이렇게 찍을수 있을까 싶을정도로 감정을 절제하고 있다

둘의 처음이자 마지막 여행 직후 츠마부키 사토시의 '그후로 몇개월을 더 만났다'라는 나레이션과 함께 이별장면이 보여진다

정말로 아무렇지도 않게 이별하는 그둘을 보며 관객들에게 우리는 아무렇지도 않다 슬프지 않다라는 것처럼 이야기한다












<이별장면에서 그들은 야한책을 건네 받으며 웃음을 띈다>


조제를 두고 혼자 나서는 츠마부키의 나레이션이 헤어진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다고 말한다

 <아무렇지도 않게 집을 나서는 츠마부키 사토시>

하지만 이 모든것은 반어법이었다

우에노 쥬리와 걸어가던 츠마부키 사토시는 갑자기 울기 시작한다 그리고 헤어진 이유에 대해서 솔직하게 말한다 자신이 조제를 버린거라고

 <길을 걷다가 갑자기 울기 시작한다>

이별장면에서 누가 감히 눈물한방울 안보여주고 헤어진 이유와 과정을 설명하지 않은채 마지막에 이렇게 쌩뚱맞게 찍을 수 있을까

하지만 이영화가 큰 사랑을 받았던 것에는 나는 이 압축과 반어법이 크게 작용해다고 믿는다

스릴러의 거장 히치콕은 때로는 보이는것보다 보이지 않는것이 더 무섭다고 말했다

이것을 그대로 적용하면 드러내는 것보다 보이는 것보다 드러내지 않고 보이지 않는 것이 더 슬프고 가슴아플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무렇지도 않게 츠마부키 사토시를 떠나보내는 조제의 찢어지는 감정을 우리는 알고 있다

하지만 감히 그를 붙잡을 수 없다는 것도 알고 있다

그녀를 떠나는것은 비겁한 짓이라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을 츠마부키도 알고 있다

하지만 그들은 그렇게 말한다

그저 슬프지 않은것 처럼 아무렇지 않은것처럼 그렇게 이별을 한다

이것이야 말로 이별장면의 완벽한 반어법이라고 말하고 싶다

 

조금 다른 이야기를 하자면 중간에 몇개월을 더 만났다는 이야기의 압축에 대해서 말하고 싶다

결과적으로 영화에는 조제와 사토시가 이별하기 까지 다투고 상처주고 서로의 사랑이 변이 되는 과정을 보여주지 않고 있다

갑자기 이별장면을 과감하게 보여주는데 이러한 압축을 통해서 2가지의 효과를 나타낸다

 

첫번째로 헤어진 연인과의 아름다운 기억만 간직 되듯이 마치 그렇게 조제의 가슴에 남을 것 같이 보여진다는 것이다

츠마부키에게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언제나 죄책감이 남아 있을수도 있다

나중에라도 그녀를 혼자두고 그렇게 떠난것을 자책하지 않을수 없다

하지만 이 영화의 주인공이 조제는 어떤가

처음으로 사랑을 하게 하고 태어난 것을 감사히 여기게 하고 혼자서 살아갈수 있는 힘을 준 츠마부키에 대한 아름다운 기억만 간직하게 하고 싶었을것이다

그래서 감독은 과감히 그들의 이별까지의 여정을 압축한다

 

두번째 효과는 그들의 헤어진 이유데 대한 설명이다

과연 그들을 어떻게 이별하게 해야 하는가 어떻게 영화를 결말지어야 하는가는 감독에게 큰 문제이다

하지만 문제는 간단하다

모든 관객이 둘이 제발 헤어지지 말라고 빌며 영화를 본다

그것은 관객들은 둘이 헤어질 이유에 대해서 분명히 알고 있다는 반증이다

아무것도 보여지지 않고 츠마부키 사토가 자신이 조제를 떠난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만으로

관객들은 그들의 이별의 이유를 충분히 알수가 있다는 것이다

이별의 여정을 보여주는 것 보다도 오히려 간단하게 파악할수 있는 그들 사이의 원론적인 문제인 것이다

 

물론 감독은 그들을 이별시키지 않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것은 조제의 사랑이야기가 아니라 조제의 인생이 이야기를 주제로 삼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별후에 묵묵히 장을 보고 혼자서 식사준비를 하는 조제를 보여주는 것은 바로 그런이유라고 생각한다

 

과감히 이별의 여정을 압축해서 건너뛰고 그 직후 반어법으로 이야기를 하면서 이누도 잇신 감독은 이영화의 결말을 누구나 예측할 수 있지만 그럴수 없는 이야기로 만들어냈다


<씨네마틱에 기사회된 글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