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화를 보면 상당히 잔잔하고 정적인 느낌이 든다. 조용하게 읇조리는 벤의 나레이션과 항상 무기력해 보이는 그의 표정이 한 몫하겠지만 처음부터 끝까지 정적으로 촬영되는 카메라가 가장 큰 이유라고 생각된다.

영화 캐쉬백은 절대로 핸드헬드를 하지 않는다. 결국 카메라는 항상 미세한 떨림이 없이 가만히 멈추어있거나 부드럽게 움직인다. 이러한 촬영이 영화를 정적으로 만들어준다.

<이런 장면까지도 멈춰있다니>

영화는 결코 다이나믹해 보이려고 하지 않는다. 위에서처럼 둘이 경주를 하는 장면에서도 카메라는 그대로 멈춰있다.

하지만 지나가던 여자가 밀고가던 쇼핑카트와 부딪히는 순간 카메라는 격하게(이 영화에서만큼은) 흔들린다.



감독의 취향이겠지만 부딪히고 나서 나오는 점원들의 반응샷 역시 픽스라는 것이 재미있다. 보통 저렇게 깜짝 놀라는 장면을 찍을 거라면 조금 흔들어줘도 괜찮을 것 같은데 말이다. 아무튼 그 이후 둘이 넘어지는 장면 역시 조금은 격하게 흔들린다.

유럽영화의 특색이기도 하지만 핸드헬드를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픽스 계열의 샷들.. 달리 크레인샷들로만 구성되는 캐쉬백이 이 장면에서 만큼은 조금은 흔들린다. (하지만 이 장면에서도 핸드헬드로 흔든것은 아니다 카메라를 삼각대 위에 올려놓고 흔들어 준것 같다)

맨 처음에도 이야기했지만 이렇게 고집스럽게 찍은 정적인 샷들이 이 영화의 고요함을 만들어낸다. 그리고 이 이야기를 깊은밤중에 들리는 아름다움으로 포장하는 것 역시 이 카메라 워킹 덕분일 것이다.

그런데 이 장면에서는 그 고집을 조금은 꺾어 주는듯이 보인다. 왜일까..?
이 장면이 별로 중요하지 않은 장면이라서 해본건가? 아니면 위의 두 인물은 벤과는 다른 유형의 인간이라는 메타포인가?



인터벌 촬영의 개념을 퍼오려고 했는데 검색해도 나오지 않는다.
뭐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보통 초당 30이나 24장의 그림을 찍어내는 것이 정상속도라면 그보다 훨씬더 띄엄띄엄 찍는 것을 말한다. 30초에 1장씩 찍어낸다던지 1분마다 10장을 찍어내는... 자연 다큐멘터리에서 나오는 꽃이피는 장면이나 일출과 일몰 장면을 촬영하는 기법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아무튼 시간을 멈추는 남자의 이야기인 캐쉬백에서 인터벌 촬영이 나온다는게 어떻게 보면 당연한 것이다.

<도시의 전경은 순식간에 낮이 된다>

위의 두 그림을 보면 알겠지만 도시의 전경은 순식간에 밤에서 낮으로 바뀐다. 물론 하늘의 구름은 엄청난 속도로 흘러가고.

감독의 의도는 역시나 명확하다. 인터벌 촬영의 기본적인 의미. 즉, 시간이 빠르게 흘러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벤의 나레이션과는 조금 상충된 의미인듯 하다. 벤은 자려고 해도 잠을 잘 수가 없어서 시간이 너무 남아돈다는 의미로 이야기하는데 장면은 그저 느낄새도 없을 만큼 하루가 빨리 지나가는 느낌이다.

명시적인 의미로 벤이 잠을 이루지 못하는 날들이 굉장히 많았다는 의미가 가장 무난한 해석이라고 생각된다. 인터벌 촬영의 의미는 시간이 흘렀다는 의미가 되니까.. '벤의 나레이션과 합쳐서 벤이 잠을 이루지 못한 나날들이 계속해서 흘렀다'정도로 보면 될 것 같다.

하지만 조금 다른 해석을 해보자면 반어법적인 표현이라고도 볼 수 있다. 벤이 느끼는 지루함 넘치는 시간을 인터벌 촬영으로 인해 엄청나게 빨리 흘러가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벤이 느끼는 지루함을 오히려 반어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차는 안보이고 불빛이 지나가는 것으로만 보인다>

그리고 감독이 애초에 의도한 것인지는 모르겠지만 이러한 인터벌 촬영에서 왠지 모를 벤의 슬픔이 배어나온다. 도시가 경련을 일으키는 것처럼 파르르 떨고 있는 모습은 벤의 나레이션과 음악과 합쳐져서 아픔을 표현한다. 특히 나무가 바람에 떠는 모습이 굉장히 슬퍼보인다. 위의 사진처럼 밤에 촬영한 흐르는 불빛들은(사실 지금 내가 말하는건 셔터스피드를 느리게 하는 기법이지만) 슬픔을 표현하는데 자주 쓰이곤 했다.

벤이 시간을 멈출수 있고 느리게 할수 있고 빠르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여기서도 복선으로 보여주는 것일까? 아니면 단순히 시간을 멈추는 영화니까 이렇게 시간이 빠르게 흐르는 모습도 보여주고 싶었던 것일까? 또, 내가 위에서 말한 것처럼 인터벌 촬영을 슬픔을 표현하는 표현기법으로 감독에게 받아들여진 것일까?

의도야 어쨌든 상당히 좋은 결과를 빚어낸듯 하다.



영화 캐쉬백은 처음부터 끝까지 주인공 벤의 1인칭 시점으로 전개된다.
장편영화 치고는 흔치 않게 벤이 없는 곳의 이야기는 전혀 보여지지 않으며 처음부터 끝까지 나레이션으로 그의 감정이 관객에게 그대로 전달되고 있다. 특히 수지에게 차이고 사진을 태우려 하는 이 장면이 가장 벤의 시점을 잘 표현하고 있다.

<수지와의 추억이 담긴 사진을 태우려 하는 벤>

수지와의 사진을 한장씩 넘겨보던 벤은 라이타를 꺼내(담배를 피우지 않는 벤이 라이터를 가지고 있는 것은 조금 이상하지만... 영화상의 편의를 위한것이라고 남자답게 포용해주도록하자) 사진을 태우려 한다.

그런데 이 장면에서 촬영된 앵글을 보자. 위의 두컷을 보면 벤과 사진을 두 인물이라고 설정하면 둘 사이의 오버 더 숄더로 촬영된다. 기본적인 문법에서 만약 벤의 감정으로 갈 거라면 벤의 어깨를 걸쳐 사진을 보여주는 샷은 어쩔 수 없다고 쳐도 벤의 표정이 드러나는 컷은 위처럼 로우앵글(Low angle)이 아닌 아이레벨(Eye level)로 촬영되어야 맞는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정말로 사진 대신 한 인물일 경우이다. 실제로 위의 컷에는 사진은 인물이 아니므로 감정이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사진을 걸쳐서 찍은 벤의 반응샷 역시 똑같이 벤의 감정이라고 봐줘야 할 것이다. 실제로 위의 두 컷은 사진을 보고 있는 벤의 모습을 아래위에서 보여주면서 벤과 사진의 일직선인 새로운 아이레벨을 만들고 있다고 보여진다.

그리고 난 개인적으로 로우앵글이 아이레벨보다 감정적인 샷을 만들어낸다고 믿는데 그런 면에서 위의 장면이 더 효과적이라고 보여진다.

<벤은 사진을 태운다. 아니 태우지 않는다>

그리고 사진이 나오는 단독샷 (이것은 벤의 시점샷이라는 설정이겠쥐?)에서 사진에 불이 붙는다. 드디어 벤이 사진을 태워버린 것이다. 용기있는 남자 벤.
아 하지만 그 직후의 컷에서 사진에 불을 붙이지 않은 것이 드러나면서 벤의 소심함이 내 가슴까지 전해져온다. (괜찮아 토닥토닥)

이것은 관객을 속이는 트릭으로서 작용하지만 실제로는 벤의 망설임을 표현한다. 이것이 이 영화가 전반적으로 벤의 1인칭으로 표현되었다는 증거이기도 하며 관객들에게 계속해서 벤의 시점으로 모든 것을 보여준다는 뜻이다.

실제로 위의 장면에서 사진을 태우면 관객들은 아 태워버리는구나 생각하지만 이후의 샷으로 태우지 않았군! 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그리고 아무리 표정이나 셔레이드로 망설임을 보여줘봤자 설명할 수 없는 벤의 복잡한 심경을 그대로 관객에게 느끼게 해준다. 이런 트릭의 표현이 있었기에 더 디테일한 감정을 연출 할 수 있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