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4/17 - [video grammer] - 영상문법 - 플래쉬 백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
에서와 똑같은 방식의 플래쉬 백이다. 특히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에서 보여준 플래쉬백을 통한 비꼬기 똑같이 보여주고 있다.

<수지에게 차인 벤에게 충고를 하는 친구 숀>

벤과 숀이라니.. 포스팅하려고 하니까 이름이 짧아서 좋다... 팅팅탱탱 게임할때도 유리하겠군 극중이름이 반니스텔루이 요딴식이면 쓸때마다 길어서 짜증나..

아무튼 영화의 시작과 동시에 알려진 벤이 수지에게 차였다는 사실. 그 직후 학교에서 친구 숀은 벤에게 충고를 한다. 그 충고의 내용이란 바로 벤이 끝내주는 여자를 만나면 수지가 다시 돌아올거라는 내용이다.

이 대사는 3가지 기능을 하고 있다.

첫번째로 대사 직후 벤의 나레이션과 함께 보여주는 숀의 과거를 통해 익살을 유발한다.

<따귀,물,물,따귀,물을 맞는다>

숀의 충고를 듣고 벤이 '숀의 성공적인 여자관계가 상당히 인상적이었죠'라고 말하면서 영화는 숀의 과거를 보여준다. 여자들에게 따귀를 맞고 물을 맞고 또 물을 맞고 따귀를 맞은 직후 같은장소에서 다른여자에게 물을 맞는 장면.

이걸 언어로만 바꾸자면 숀의 대사가 이어지고 벤이 말하기를 '숀의 성공적인 여자관계가 상당히 인상적이죠, 그는 매번 만나던 여자들이 따귀를 때리거나 물을 끼얹으며 이별을 고했으니까..'라는 정도의 설명으로 되어 있는 것이다.

플래쉬백에서의 장면은 조금은 과장된 기법이긴 하지만 코메디라는 장르에서 거의 독점적으로 상요하고 있는 과장법을 코믹한 장면에서 사용한 것이기 때문에 또한 정석적인 문법이라는 생각이 든다.

아무튼 이러한 코메디이외에 또, 숀의 캐릭터를 설명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 이 대사와 플래쉬백을 연결한 것이 아니라. 영화 전반적으로 보여지는 숀의 여자 밝힘증, 하지만 또 여자에게 크게 인기가 있지는 않은 특성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복선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
실제로 영화에서 내러티브적으로 클라이막스의 사건에는 바로 이 숀의 대사로 설명되어진다. 젠킨스의 생일 파티에서 우연히 만난 벤과 수지. 하지만 벤이 새로운 여자를 데리고 나타나자 수지는 다시한번 벤의 가치를 알게 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벤에게 다시 접근하고 키스한다.

이 사건이 가지는 타당성에 대해서 따져보면 샤론이 화를 내는것은 당연하다. 그는 옛여친과 이별했다고 말했고 샤론과 벤은 서로 좋은 감정을 가지기 시작했으므로. 하지만 수지가 자신의 현재 남친인 동생 젠킨스와 함께 나타나서 그 자리에서 이렇게 벤을 꼬시는 것은 조금은 납득이 안가는 상황이다. 영화에서는 수지가 젠킨스와 어떤 문제가 있는지.. 그리고 실제로 그녀가 벤을 그리워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전혀 제공해 주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러한 부족한 인과관계를 우리는 앞에서의 숀의 대사로 알 수 있는 것이다. 벤이 멋진여자를 데리고 나타나면 수지는 경쟁심리에 벤을 다시 빼앗고 싶어질 것이다. 여자들은 서로 경쟁하니까.

이것은 여자에게 국한된 문제만이 아니다. 남자도 마찬가지다. 가치가 높은 것. 가치가 높고 가지기 어려운 이성에게 사람은 끌리게 되어있는 것이다.

즉, 단순히 재미있게 구성된 장면 같지만 이 플래쉬 백을 통해 코메디를 만들고 숀의 캐릭터를 설명하며 영화의 클라이 막스에서 일어날 사건을 암시하는 동시에 설명하고 있다. 상당히 좋은 장면이라는 생각이 든다.



플래쉬 백은 간단히 설명해서 영화에서 회상씬을 보여주는 것을 말한다.
아마도 고전적인 표현양식에서 과거를 회상할 때 플래쉬가 터지는 것처럼 펑하고 과거로 돌아가기 때문에 생긴 용어인것 같지만 현대의 모든 영화의 플래쉬 백은 다 그렇게 터지는 것은 아니다.

특히 이 로멘틱 코메디의 플래쉬백은 고전적인 스타일과는 다르며 꽤나 재치 발랄하다.

<이별한 피터에게 괜찮냐고 묻는 동생>

영화가 시작하자마자 5년넘게 사귀어 온 연인에게 버리받은 피터. 그런 그가 괜찮을리 없다는 걸 아는 동생은 계속해서 그가 괜찮냐고 묻는다. 하지만 아무렇지도 않게 괜찮다고 그만좀 물어보라고 대답하는 피터. 하지만 이 때의 플래쉬 백은 꽤나 재미있다.

<피터가 TV를 보다 우는 장면을 보여준다>

플래쉬 백이지만 역시 펑하고 터지는 효과는 없이 그냥 무던한 교차편집으로 보여진다. TV 쇼를 보던 피터가 갑자기 울음을 터뜨리는 장면. 미국 쇼에 대해 자세히 알지 못하지만 대충 파악해보면 별로 슬프지 않은 장면에서 펑펑 우는 피터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해서 피터가 괜찮다고 거짓말을 하고 있음을 관객에게만 알려주고 있다. 사실 플래쉬 백이라는 것 자체가 원래 관객에게 설명하기 위해 존재하는 표현양식이다. 그것은 말그대로 과거의 이야기를 관객에게만 보여주는 것이지 그런 기억속의 과거를 영화의 등장인물이 볼 수는 없기 때문이다.

<화면이 다시 돌아와도 여전히 괜찮다고 말하는 피터>

그리고 나서 다시 현재로 돌아오면 피터는 아주 잘 지낸다고 말한다.
관객은 이 대목에서 피터가 완전 뻥치고 있다는 것을 아주 잘 알고 있다.

이 영화에서 이런식의 플래쉬 백은 굉장히 자주 나온다. 스릴러 영화와 달리 플래쉬 백을 이렇게 자주 무던하게 사용하는 것은 역시 로멘틱 코메디가 가질 수 있는 강점이 아닐까 생각한다.

특히 이 영화에서 이런 플래쉬 백의 빈번한 사용은 사람이 서로 살아가면서 수없이 반복하는 거짓말에 대한 진실을 계속해서 보여준다. 그리고 그렇게 조금씩 상대를 속여가는 동안 사랑하는 사이가 점점 멀어진 다는 것을 보여준다.

영화의 끝무렵 피터는 갑자기 말하지 않아도 될 마샬과의 헤프닝을 레이첼에게 고백한다. 이 장면이 이 영화에서 주는 의미는 크다. 그동안 계속해서 보여주는 플래쉬 백을 통해서 이 영화는 사랑하는 사이에서도 서로 얼마나 거짓말을 하고 있는 지를 보여준다. 꼭 말로 거짓말 하지 않더라도 싫은 것을 티를 내지 않아야 하며 못마땅한 것도 웃으며 넘기는 과거의 장면들을 통해 감독은 말하고 있다.

사랑하는 사이에 거짓말은 너무나 당연하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멀어질 수도 있다.
물론 나는 거짓말을 잘하는 것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는 그렇게 말하고 있지 않다.

그래서 피터는 마지막에 레이첼에게 사실대로 말하는 것이다. 피터는 레이첼과 새로운 사랑을 시작할 때 솔직하게 시작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사랑하는 사이에 속이면 안된다는 주제는 역시 헐리우드의 로멘틱 코메디 답다는 생각이 든다. 전세계의 사람들을 타겟으로 하는 영화인 만큼 가장 안전하고 보편적인 진리라고 믿는 주제를 설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