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 더 영화 안으로 들어가서 보면, 일단 단순하지만 내겐 흥미로운 연출 방법론이 있었다.

시거가 누군가와 대화할 때, 항상 조금씩 크게 보인다는 점. 아주 작은 차이지만 화면에서 공간을 더 크게 차지하고 있음으로써 시거의 거대한 권력을 가시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또 하나는, 소설에서 냉정하고 간결한 문체를 영화로 옮기기 위해서 코엔은 최대한 영화적 기교나 테크닉을 숨기는 연출을 한 것 같다.

대화하는 씬을 보면, 카메라 움직임이나 이동을 많이 주지 않고 있다. , 액션이 들어가는 씬을 보더라도 동적으로 드러나는 연출보다는 정적인 연출을 하고 있다.

간결한 문체에는 간결한 연출.

 

내용적으로 더 보면, 단순히 시거는 을 대표하는 것만은 아닌 것 같다. 어쩌면 자연스러운 운명에 더 가깝다고 생각한다.

시거는 자신에게 직접적인 연관이 없거나, 해를 미치지 않은 사람을 죽이기 전에는 꼭 동전 던지기를 한다. 앞면이거나 뒷면이거나 둘 중 하나. 50%의 운이 그 사람의 운명을 좌우한다.

 

 

자신을 위협하던 또 다른 킬러 웰스(우디 해럴슨)를 죽이기 전에 시거는 이런 의미의 말을 한다. “너가 따르는 규칙 때문에 이렇게 죽는 거다.”

시거는 카오스(혼돈). 시거의 우주에 질서, 규칙은 없다. 앞면 아니면 뒷면이라는 운명으로 점철된 무질서로 가득한 우주. 그런 시거의 카오스를 거스르는 웰스의 코스모스(질서). 그래서 저 말을 남기고 웰스를 죽인 게 아닐까.

 

또 다른 예로는, 시거를 만났지만 살아남은 두 명의 인물. 둘 다 운명(시거)에 순응했기 때문에 살아남았다고 볼 수도 있다.

주유소 주인은 시거의 동전 내기 제안에 수긍하고, 맞췄기 때문에 살아남았다.

그다음은 벨. 벨의 내레이션은 계속해서 작금의 상황을 부정적으로 보지만 이런 시대적 상황에 대해서 어쩔 수 없이 순응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시거를 잡으려고 하지만 결국 벨은 스스로 시거를 잡을 수 없다는 걸 인정하고 보안관을 그만두는 결심마저 하게 된다.


 

그는 젊었을 때 전쟁이라는 운명에 순응하고, 늙어서는 시거라는 운명에 또 한 번 순응하면서 혹 패배주의적 순응자처럼 보일 수 있으나, 어찌 개인이 전쟁이라는 거대한 운명을 거스를 수 있겠는가. 패배적이라기 보단 그저 평범하고, 자연스러운 순응자.

 

반면, 시거에게 죽은 인물들을 보자. 모스는 운명을 거슬러 돈 가방을 챙겼고, 모스의 부인 루엘린은 시거의 동전 내기 제안을 끝내 받아들이지 않았다. 운명을 거스른 셈.

시거는 영화 마지막 부분에서 차 사고라는 운명에 거스르지 않고 기꺼이(?) 부딪쳐 준다. 운명을 거스르지 않은 시거는 결국 살아남아 유유히 사라진다.

 

 

시거가 자연스러운 운명이라는 메타포는 물론 작의적인 나만의 해석일 수 있지만, 코맥 맥카시나 코엔의 텍스트들이 훌륭하고 풍부하기 때문에 이런 다양한 해석을 할 수 있게 만든 것임에는 의심할 여지가 없을 것.

 

마지막으로, 유일하게 소설과 영화에서 가장 크게 차이를 준 부분이 있어 소개하려고 한다. 앞에 언급했는데, 모스의 부인 루엘린과 시거가 만나는 장면.

 

소설에서는 시거가 루엘린에게 동전 내기를 제안할 때, 루엘린이 처음엔 거절하다가 결국 그 제안에 수락해 내기를 하고 맞추지 못해 죽었다면, 영화에서의 루엘린은 끝까지 강한 신념으로 시거의 동전 내기 제안을 거절하다가 죽는 걸로 바뀌었다.

맥카시의 루엘린보다 코엔의 루엘린이 더 강인하게 그려진 셈.

 

 

코엔의 영화 속 남자는 대부분 멍청하고 약하지만 코엔은 그들을 애정 있게 바라본다면, 여자들은 다르다. 남자보다 더 똑똑하고 강하고 지혜롭게 나온다. 코엔이 실제 여자를 바라보는 시선이 아마 이와 같을 것이다. 그래서 블러드 심플이나 파고에서 끝까지 살아남고 사건을 종결시키는 건 여자, 프란시스 맥도날드.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에서 코엔이 코맥 맥카시와 조금이라도 다르게 표현한 인물은 단 하나, 모스의 부인 루엘린. 코엔이 여자를 바라보는 시선의 반증.

 

이 영화에서 돈 가방은 굉장히 중요한 것처럼 다뤄진다. 모스가 돈 가방을 가져감으로써 이야기가 시작되기 때문에. 웰즈도, 시거도 이 돈 가방을 가져간 모스를 쫓는 것이 이야기의 큰 축이니까. 하지만 이야기 후반 돈 가방은 등장하지 않는다.

책에서는 시거가 돈 가방을 원래 주인에게 가져다주지만 영화에서는 그 부분이 빠지고 돈 가방은 아무런 의미를 갖게 되지 않는다.

 

, 이 영화의 주인공 모스가 죽는 부분이 영화에서 보이지 않는다. (책에서도 똑같다) 시거와도 대등하게 총싸움을 벌일 만큼 대단한 모스지만, 멕시코 하수인들에게 총 맞아 죽는 부분을 굳이 보여주지 않는다.

단지 벨이 그 사건현장에 늦게 도착해서 모스의 시신을 보고, 사건 경위를 듣는 것 정도로 그의 죽음을 묘사한다. 영화에서 주인공이 죽는 순간을 보여주지 않는 영화가 얼마나 될까? 아마 많진 않을 것이다.

 

 

의미 없는 돈 가방도 ... 생략된 주인공의 죽음도 ... 어쩌면 허무.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마지막 글.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2008)

No Country for Old Men 
8.4
감독
에단 코엔, 조엘 코엔
출연
토미 리 존스, 하비에르 바르뎀, 조쉬 브롤린, 우디 해럴슨, 켈리 맥도널드
정보
스릴러 | 미국 | 122 분 | 2008-02-21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2007)

 

나 스스로 공부하기 위해,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한 글이라지만 코엔은 역시 버거웠다.

이 영화도 쉽진 않았기에, 원작 소설을 읽어 보았다. 읽다보면 코엔이 어떤 걸 넣고, 어떤 걸 빼고, 어떻게 변형시켰는지 적어도 보이긴 할 테니까.

 

코엔이 인터뷰에서 말했듯이, 각색에 있어서 코맥 맥카시의 소설을 있는 그대로 영화화하는데 집중했을 뿐, 변형시키려고 하진 않았다고 한다.

그래서 책을 읽으면서 코엔이 2시간가량의 영화로 축소시키기 위해서 어떤 걸 뺐고 어떤 걸 넣었는지, 이 취사선택에 집중했다.

 

(코엔이 각색하여 영화를 만든 건 이번이 처음이었다. 그렇다면 왜 굳이 코맥 맥카시였을까? ‘블러드 심플에 영향을 준 제임스 M 케인, ‘밀러스 크로싱에 모자 모티브를 준 데실 헤밋, 레이먼드 챈들러의 빅 슬립에서 영향을 받아 만든 빅 레보스키까지. 이렇듯 하드보일드 소설 작가들에게 영향을 받은 코엔으로서 현 시대 가장 하드보일드한 소설을 쓰는 코맥 맥카시야 말로 영화로 만들기에 가장 적격이지 않았을까)

 

물론, 취사선택 외에 소설과 다른 부분들도 있다. 소설의 텍스트를 영화의 이미지와 사운드로 변화시키는 과정에서 조금씩 변형된 부분은 있되, 그것이 이야기 자체의 변형을 야기하진 않았다.

 

그럼 일단, 책에는 없고 영화에 있는 부분을 몇 군데 보자면,

1. 영화 초반에 등장한 보안관이 시거에게 수갑으로 목 졸려 죽어가면서 발버둥 쳤던 구둣발의 흔적들. 이미지만으로 전달되는 공포.

 

 

2. 시거가 약을 사러 들어가는데, 갑자기 거리에 세워져 있던 차가 폭파한다. 단순하지만 중요한 영화적 스펙터클.

 

 

3. 웰스가 시거에게 총 맞아 죽기 전, 갑자기 크게 울리는 전화벨 사운드로 긴장감을 증폭시키는 장면.

 

이 세 예시만으로도, 코엔이 좋은 이야기꾼만이 아니라, 좋은 연출가이기도 하다는 걸 알 수 있다.

 

반면 굉장히 영화적이라고 생각했던 부분이 알고 보니 책에서 그대로 가져온 것이기도 했다.

 

 

그 중 시거가 주유소 주인과 대화하면서 먹던 캐슈넛 비닐봉지를 테이블 위에 올려놓자, 꾸겨져 있던 비닐이 펴지면서 나는 괴이한 사운드가 내겐 굉장히 영화적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당연히 소설에 없고 코엔이 만든 거라고 생각했는데 ... 웬걸, 소설에 그대로 있었다.

 

시거는 남은 캐슈넛을 다 손바닥에 쏟아붓고는 작은 봉지를 손으로 뭉쳐서 카운터 위에 올려놓았다. 그는 꼿꼿이 선 채로 캐슈넛을 씹었다.’

-66p

 

이렇듯 코엔이 충실하게 이 소설을 영화로 옮길 수 있었던 것은, 그만큼 이 소설의 세계관을 코엔이 자신의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음을 뜻할 것이다.

소설의 세계관은 굉장히 냉혹하다. 이야기 안에서는 피가 낭자하지만, 그 이야기를 이루고 있는 세계관은 피 한 방울 안 나올 것만 같다.

 

그렇기에 이 영화 역시, 코엔 영화들 중에서 가장 냉혹하고 하드보일드 하다. 허나 이 소설 때문만은 아니다. 앞서 봤던 그들의 데뷔작 블러드 심플도 이에 못지않았으니까. 즉 코엔의 세계관은 애초에 코맥 맥카시의 세계관과 맞닿아 있었던 셈.

 

이야기는 단순하다. 돈 가방을 우연히 갖게 된 모스(조쉬 브롤린). 그 모스를 쫓는 살인마 시거(하비에르 바르뎀). 그 시거를 쫓는 늙은 보안관 벨(토미 리 존스).

 

이야기의 시점과 화자는 벨이다. 벨은 옛 시대에는 향수를 갖되, 현 시대에는 불만을 갖고 있다. 사실 불만을 넘어선 공포와 불안에 가깝다.

벨에게 현 시대는 시거 그 자체이기도 하다. 당최 불가해하고 어떻게 자기가 할 수 있는 게 아무것도 없는 그런 ...

 

바로 여기서 난 코엔이 떠올랐다. 각각 54, 57년생인 조엘과 에단 코엔. 60대에 접어들기 직전인 2007년에 이 영화를 만들었다. 그리고 3 년 후, ‘더 브레이브란 영화를 만들었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가 현 시대의 서부극이고 굉장히 냉혹하다면, ‘더 브레이브는 옛 시대의 서부극이고 어쩌면 동화에 가까울 정도로 따뜻하게 그렸다.

 

그래서 코엔은 벨과 비슷한 감정을 공유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벨이 옛 시대에 향수를 갖고 현 시대를 두려워했듯이, 코엔 역시 옛 서부극에는 따뜻한 향수를 품고 있고(‘더 브레이브’), 그들이 현재 살고 있는 이 시대의 서부극은 비정하고 하드보일드한 세계로 그려냈으니(‘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옛 서부극을 다루는데 있어서, 코엔이 그 시대상에 느끼는 향수보다도 그 시대상을 다뤘던 옛 고전 영화들에 대한 향수로 인해 더 따뜻하게 만들었는지도 모른다. 존 포드나 하워드 혹스에 대한 향수. 코엔도 영화를 좋아하는 한 명의 팬으로서)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2008)

No Country for Old Men 
8.4
감독
에단 코엔, 조엘 코엔
출연
토미 리 존스, 하비에르 바르뎀, 조쉬 브롤린, 우디 해럴슨, 켈리 맥도널드
정보
스릴러 | 미국 | 122 분 | 2008-02-21

 


더 브레이브 (2011)

True Grit 
7.9
감독
에단 코엔, 조엘 코엔
출연
제프 브리지스, 맷 데이먼, 조쉬 브롤린, 헤일리 스타인펠드, 베리 페퍼
정보
어드벤처, 드라마, 서부 | 미국 | 110 분 | 2011-02-24

 

          

 '분노의 저격자' 마지막 글.

 

이번엔 아이러니.

인터넷 신조어로, 어떤 상황이 동시에 웃기기도, 슬프기도 한 것을 뜻하는 웃픈

난 이 웃픈에 마음이 끌린다.

채플린의 그 유명한 전언, 모든 건 멀리서 보면 희극이요, 가까이서 보면 비극이라.”

이 삶의 아이러니를 드러내는 위대한 문장을 단 두 글자로 옮긴 것 같아 대단할 따름.

 

그래서 내게는 ... ‘웃픈아이러니’ 

 

살면서 분명 몸으로 느끼지만, 머리로 설명하기 힘든 삶의 아이러니한 순간들이 있다. 코엔은 바로 이런 상황들을 영화로 포착한다.

(코엔의 모든 영화에서 아이러니는 핵심으로 자리 잡고 있고, 이를 대게 '웃픈' 방식으로 표현한다. 우리가 코엔 영화를 보다보면 웃음이 나면 안 될 장면에서 나도 모르게 '풋~'하고 웃을 때가 있는데, 난 이게 '웃픈' 방식인 것 같다)

 

이 영화에서 사립 탐정이 마티를 죽이기 전 scene이 이런 상황을 극적으로 표현한다.

마티가 낚시를 해 온 생선들이 책상 위에 놓여 있다.

땀을 흘리며 그 생선들을 불편하게 바라보는 사립 탐정, 심지어 하필 말을 하자마자 파리가 그의 얼굴에 달라붙는다. 그리곤 파리의 윙윙- 거리는 사운드가 계속해서 그를(관객을) 거슬리게 만든다.

탕!!!

결국, 사립 탐정은 마치 파리에 복수라도 하듯이 급작스럽게 총을 쏴 마티를 죽인다.

 

계속 동어반복이지만, 이 scene처럼 결국 코엔의 아이러니는 우리가 사는 실제 아이러니한 세계’를 가장 잘 표현하기 위한 영화적 방법론인 셈.

우리가 사는 현실에서 언어로 설명하기 힘든, 많은 삶의 아이러니’들이 있다.

이런 '아이러니'들을 표현하기 위해서 코엔은 영화 속에서 그들만의 아이러니’를 더욱 강조하여 재현하는 셈.

코엔 영화를 보다 보면 어떤 기시감이 든다. 반복의 변주들. 이때 반복되는 요소는 웃픈인물이다. (스티브 부세미나 존 굿맨, 존 터투로가 맡는 대부분의 캐릭터들) 그러니 당연히 이런 인물들을 담은 영화들이 다 웃플수밖에.

 

마지막으로, 비틀기.

코엔 형제는 모든 걸 다 비틀어버린다. 영화 속 작은 디테일한 상황에서부터 크게는 장르까지. 그리고 물론, 그 비틀기는 그들의 첫 데뷔작에도 있다.

 

장르 비틀기.

하드보일드 스타일의 이야기에서 항상 등장하는 건 바로 팜므파탈! 팜므파탈은 항상 주인공을 위험에 빠뜨리게 하는, 수동적인 존재로 이야기에 필요한 도구 정도로 그려져 왔다.

 

한데 이 영화에서는 팜므파탈이 능동적인 존재로 그려진다. 심지어 나머지 3명의 남자는 결국 다 죽게 되고, 팜므파탈만이 유일하게 살아남는 새로운 결말로 장르를 비틀었다.

(흥미로운 점은 파고에서도 여성 캐릭터를 갖고 이와 유사한 장르 비틀기를 하고 있는데, 그 영화 역시 여자 주인공이 같은 프란시스 맥도날드라는 점)

 

이렇게 내가 초반에 이 데뷔작 안에는 이미 그들의 모든 세계관이 꿈틀거린다.’라고 한 이유는 바로 이 영화 안에 형식적으로는 하드보일드누아르, 내용상으로는 허무 아이러니 그리고 비틀기, 모두 다 들어 있기 때문이다.

(코엔의 모든 영화 저 요소들이 전부는 아닐지언정, 일부는 들어있기에)

 

이번엔 사운드를 보자.

앞서, 아이러니한 scene에서 파리의 윙윙대는 사운드를 언급했는데, 코엔은 이미지만큼이나 영화에서 사운드를 잘 사용하는 감독이다. 그의 모든 영화에서 사운드를 효과적으로 사용한 scene을 쉽게 찾을 수 있을 정도로.

 

 

이 영화에서는 파리 소리 말고도, 실링 펜(천장 선풍기) 사운드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애비와 레이, 마티가 각각 다른 장소에 있을 때, 그들을 연결해주는 건 실링 펜의 돌아가는 이미지와 사운드다.

이 실링 펜의 휙- - 하고 돌아가는 위협적인 사운드는 듣는 사람으로 인해서 이들 사이에 존재하는 긴장감을 형성하게 만든다.

 

shot은 이 영화보다 5년 전에 나온 '지옥의 묵시록' 초반 오프닝을 명백하게 오마주했다. 윌라드 대위 얼굴 위로 돌아가는 실링 펜의 이미지가 오버랩 되는 장면으로, 전쟁으로 인한 그의 불안과 긴장을 보여준다. 

마찬가지로 이 shot 역시 레이의 불안과 긴장을 보여주는 한편(보스의 부인과 불륜을 저지르고 있으니), 앞으로 죽음을 맞이할 그의 운명의 복선이기도 하다.

 

여담으로 이 영화 여자 주인공, 애비역의 프란시스 맥도날드는 이 영화의 인연으로 형인 조앨 코엔과 결혼하게 된다.

 재밌는 건, 원래 애비역으로는 홀리 헌터(‘피아노로 아카데미 여우주연상 수상한)가 내정되어 있었는데, 불가피한 일정으로 인해 홀리 헌터가 직접 프란시스 맥도날드를 감독에게 추천해준 것. 인연은 인연인가보다.

 

이 영화에서 단연 돋보이는 연기와 캐릭터는 M 에멧 월쉬가 분한 사립 탐정. 그가 죽으면서 남긴 기괴한 웃음소리는 후에도 계속 코엔 영화 속에서 변주된다.

 

  (밀로스 크로싱’의 두목 조니와

 

  바톤 핑크’의 살인마 찰리가)

 

코엔 영화 속에서 나오는 이러한 웃음들은 신기하게도 무서운 감정이 들게 만든다.  

당연한 것이 사립탐정은 죽기 전에 웃고, 조니와 찰리는 누군가를 죽이기 전에 웃어대니 무서울 수밖에.

일반적으로 멀리 떨어진 요소인 죽음과 웃음을 같이 사용함으로써 아이러니를 만들어낸 셈.

 

   

 

다음 글은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2007)

 


분노의 저격자

Blood Simple 
8.2
감독
조엘 코엔
출연
프란시스 맥도먼드, 댄 헤다야, 존 게츠, 샘 아트 윌리암스, 윌리엄 크리머
정보
스릴러 | 미국 | 99 분 |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