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선 : 문학에서 다음의 전개를 암시하는 기법
복선 : 철도에서 두 가닥의 선로를 설치하여 상행과 하행으로 분리하는 것
<출처: 위키백과>

복선을 쓰기위해 검색해서 단어 뜻을 찾아봤더니 재미있는 내용이 나왔다. 사실 첫번째 뜻은 내가 확인하기 위해 찾은 것이지만 두번째의 동음이의어의 뜻이 뭔가 트레인스포팅의 복선구조를 더욱 재미있게 만든다. 영화의 제목 때문에 계속해서 보여지는 철도의 이미지가 여기에서도 맞아 떨어지기 때문이다.

<화가난 마크는 벡비와 식보이에게 빈집에서 살라고 한다>

자연스럽게 얹혀살고 있는 벡비와 식보이를 쫓아내기 위해서 마크는 그들에게 빈집에서 살게 한다. 그리고 언젠가 사장이 이놈들을 주거 침입죄로 고소할 것이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엿을 먹인 것이다.

이 단순한 내용을 대니 보일은 아주 재미있게 구성하고 있다. 인기척이 들리자 벽장에 숨어있던 벡비와 식보이가 카메라를 향해 뛰쳐나온다. 그리고 이것은 이 다음 장면과 몽타주로 연결된다.

<또다시 영화의 내용과 관계 없이 철도가 나온다>

벡비와 식보이가 카메라로 뛰어드는 장면 이후에 충돌되는 몽타주는 바로 위의 장면이다. 갑자기 쌩뚱맞게 철도가 나오고 벡비와 식보이가 위에서 밑으로 뛰어드는 것과 상충되게 열차는 아래에서 위로 지나간다. 마치 벽장에서 튀어나온 벡비와 식보이를 열차에 치어버리게 만든다.

이 장면은 사실 단순명쾌한 몽타주로만 여겨진다. 큰 의미없이 이들을 골탕 먹인 일을 심각하게 가져가지 않고 유쾌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말이다. '벡비와 식보이는 열차에 치었다'라는 일어나지 않은 일을 표현함으로써 마크의 심리적 복수를 해주고 있다.

하지만 이것을 영화의 결말과 결부시켜서 생각해보면 단순히 재미만을 위한 몽타주라고 할수는 없다. 결과적으로 벡비에게 돈을 훔친 마크가 몰래 스퍼드에게만 돈을 준다.한마디로 마크가 엿먹인 것은 벡비와 식보이 뿐이라는 것이다.

이것은 사실 이영화가 가지는 캐릭터의 일관성으로 설명할 수 있겠지만 굳이 이 장면에서 열차에 이들을 치게 해버린 감독의 의도는 복선이라고 생각된다. 마크가 이들을 엿먹이려 했지만 아무렇지 않게 다음 씬에서 나타나는 벡비와 식보이를 결국 열차에 치게 해버리는 결말을 암시하고 있는 것이다.

문학에서도 복선은 눈치 못채면 그만이고 결국 읽는 사람이 의미를 부여하는 느낌이 강하다. 작가가 그렇게 쓰지 않았는데도 우연히 복선이 탄생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장면도 그런 느낌이다 분명 대니보일이 의도하지 않았을 수도 있다.(복선을) 하지만 내가 알아채고 의미를 부여한다면 이것은 분명히 명백한 영화의 결말을 암시하는 복선으로 기능할 수 있다.



중 고등학교 시절 문학시간에 '복선'이란걸 배우면서 생각했다
대체 이런 쓸데 없는 짓을 왜 하는걸까? (짓 = 복선)
이런 쓸데 없는 행위들이 수많은 영화에도 사용되고 있다
왜?
영화가 예술이냐 산업이냐를 떠나서 지적 유희이기 때문이다

2009/02/15 - [영상문법] - 영상문법 - 페이드 아웃, 외재적 내재음 <이터널 선샤인>
에서 이야기했던 외재적 내재음이 거의 유사한 방식으로 포 미니츠에서도 사용된다

<영화의 포스터와는 안어울리게 매우 다이나믹한 음악이 흘러나오기 시작한다>

이번에 소개할 장면은 이전에 포스팅에서 소개했던 첫번째 시퀀스가 끝나고 오프닝 크레딧이 지난직후의 것이다
드레스를 입은 여성이 보여지는 포스터와는 전혀 다르게도 갑자기 다이나믹한 록 음악이 흐르기 시작한다
그리고 화면은 트럭뒤에 실려진 피아노를 따라서 트럭에 타고 있는 사람들에게로 흘러간다

<아... 이것 역시 외재적 내재음이었다 아니.. 내재적 외재음인건가? 용어야 어쨌든>

트럭에는 뭔가 클래식한 할머니와 뭔가 펑키한 청년 두명이 타고 있다
시끄러운 음악에 잠이 깬 할머니는 동영상의 42초경에 트럭의 앞쪽으로 몸을 기울여 피아노 연주곡으로 BGM을 바꿔 버린다
오 마이 가드!
이번에도 속았다
똑같이 OST인줄 알았던 음악을 카오디오로 사용하다니 유행이냐?

이터널 선샤인 때도 이야기했던 것이지만 이것은 일종의 사기 행위다
음악은 분명 교도소의 전경씬으로부터 흘러나오기 시작했다 그리고 트럭이 달리는 현장음과 함께 달리고 있었다
그런데 이것이 카오디오에서 나오는 음악이었고 할머니의 교양있는 손으로 힘없이 틀어쥐기만해도 피아노연주로 바뀔 수 있는 것이었다니

이터널 선샤인때 말했던 외재적 내재음이다
다시한번 설명하면 외재음은 OST등의 관객이 들을 수 있지만 영화 안에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영화속의 캐릭터들은 들을 수 없다
내재음이란 말그대로 영화속에 존재하여 누구나 다 들을 수 있는 소리다
분명 처음에 들판을 달릴때의 시끄러운 음악은 외재음이었다
이것이 내재음이라면 트럭을 촬영하는 위치에 따라서 볼륨이 달라야만 타당하다
하지만 이 음악은 트럭의 수염기른 젊은이가 틀어놓은 것이었고 이것은 할머님의 잠을 방해했다
그리고 42초경에 할머니는 견디지 못하고 OST인줄 알았던 이것을 피아노연주곡으로 바꿔 놓음으로써 한순간에 이것을 내재음으로 만든다

의미를 살펴보자
이터널 선샤인 포스팅에서의 의미와 비교하는 것이 좋겠다
이터널 선샤인은 관객을 속이는데 목적이 있었다
그리고 그렇게 관객을 속이는 이유는 바로 영화의 철학과 밀접한 관련이있었다
당신이 보고 듣고 믿고 있는 것이 진실이 아닐수도 있다는 그 철학은 내재음을 외재음이라 속이고 마지막 씬을 첫씬이라 속이고 조엘과 클레멘타인이 서로를 증오한다고 생각하며 매리는 아직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지 못했다는 오해의 연속으로 펼쳐진다
이해가 안간다면 이터널 선샤인 편을 확인해주세요

하지만 포 미니츠에서의 의미는 다르다
여기서는 관객을 속이기 위한 것이 아니다
바로 '전환'에 큰 의미가 있다
이터널 선샤인을 잘 기억해보면 조엘이 카세트를 끄고 OST인줄 알았던 음악은 딱 끝나버린다 이렇게 명백하게 음악을 끊어버린 행위는 '관객 너네 속고 있었어'라고 명백히 말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새로운 OST는 그냥 은근슬쩍 흘러나와버린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크뤼거 할머니가 피아노 연주곡으로 바꾼다
속이는 행위를 위해서라면 좀 이상한 상반된 음악의 급작스런 전환에 뭔가 큰의미를 부여하고 싶지 않은가?

이 포스팅의 제목처럼 이것은 '복선'이다
교도소에서의 제니의 험악했던 삶이 앞에서의 록 음악이라면 크뤼거 할머니가 손수 바꿔주는 피아노 연주가 바로 곧 바뀌게 될 제니의 삶이다
그것을 굳이 크뤼거 할머니의 손으로 바꿨다는 것이 그녀의 손에 의해 제니의 삶이 바뀔 것이라는 상징의 명백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 피아노 연주는 트럭을 타고 교도소로 들어간후 한참을 울리다가 트럭을 운전하던 간수의 손에 의하여 꺼진다
그녀의 삶이 간수에 의해 좌우된다는 상징인지 방해 받는다는 상징인지 결국 감옥으로 돌아온다는 상징인지 아무튼 크뤼거의 손에서 켜지고 간수에 의해서 꺼졌다는 것이 시사하는 바는 의미심장하다

크뤼거 할머니는 제니에게 말했지
흑인처럼 음악하지 말라고
하지만 크뤼거 할머니와는 다르게 천재였던 제니는 결국 마지막에 흑인클래식을 퓨전해 버리지 이것이야 말로 이영화의 진정한 카타르시스

그나저나 이 영화의 포스터는 좀 의아하다...
포스터에 비하면 영화가 훨씬 재밌기 때문에 누가 그딴 포스터를 만들었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