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소개 할 내용도 역시 '몽타주'이다
이 용어에 관한 설명은 앞에서 많이 했으므로 생략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앞으로도 이러한 몽타주 장면은 굉장히 많이 올리게 될것 같다

먼저 위의 영상을 보도록 하자
어느 부분의 컷이 몽타주되었는지 알겠는가?
앞의 1분동안을 뒤의 한컷을 위해 할애했지만 앞의 이야기 문맥을 이해 시키기 위해서 어쩔수 없었다
영화를 안본사람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길거리 캐스팅을 당한 앨리스가 하나에게 전화해서 기획사에 같이 가보자고 한다
하지만 하나는 '속여서 사귄 남자친구'가 집에와서 자신의 컴퓨터를 고쳐주고 있는 상황이라 그럴수가 없다
그래서 하나는 이제 옛날처럼 둘이서만 붙어다닐수 없다고 이야기하고 그말에 화가난 앨리스가 앞으론 전화를 안한다며 끊는다
이에 하나가 다시 전화를 끊어 넌 왜그렇게 제멋대로냐고 말하는 순간 컷이 되고 하나와 남자친구가 보러간 애니메이션에서 마치 '그래 난 제멋대로야!!'하는 것 같은 장면이 펼쳐진다

<오늘 당장 기획사로 가보자는 앨리스에게 난색을 표하는 하나>

<컷된 직후에 갑자기 나타나는 애니메이션>

내가 올려놓은 동영상 1분 15초경에 보여지는 이 컷은 분명 씬 전환 컷이다
기본적으로 영화 문법에서 배우기를 우리는 '설정샷'이라는걸 배운다
한마디로 말해서 하나의 집에서 극장으로 장소가 옮겨질때 극장 간판이라던가 전경이 보여지고 그 이후에 영화를 보는 장면이 나온다는 말이다
이러한 설정컷을 사용하는 방식은 굉장히 자연스럽지만 꽤나 오래된 방식이며 영화의 스피드와 리듬감을 없애고 느낌과 감정을 단절 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수많은 영화에서 모든 장면전환 방식이 '설정컷'으로 되어있지 않으며 이러한 방식은 감독이 선택할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이와이 슌지가 선택한 몽타주는 이 설정컷을 이용한 방식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진다
첫째로 빠른 장면 전환을 통해 리듬감을 생성한다
하나의 넌 왜그렇게 제멋대로니? 하는 직후 애니메이션에서 '그래 난 제멋대로야!!'하는 것처럼 보여지는 소년의 행동이 보여지면서 영화는 마치 한장면에서 일어났던 것처럼 리듬감있게 다음 씬으로 넘어가는 것이다

두번째로 마치 무엇이든지 장난하며 웃고 넘기는 10대 소녀들의 영화에 꼭 맞는 장면전환 방식이다
사실 애니메이션에서 소년이 하는말은 해석이 안되있어서 무슨 말인지 모르겠지만 사실은 앨리스의 대사가 나와야 하는 타이밍에 앨리스의 대사 대신에 나오기에 어울리는 말을 마치 전혀 상관 없는 애니메이션이 하는 것처럼 익살스럽게 꾸민 것이다

이러한 장면은 전에 말한 '트릭'이기도 하다
그리고 전에 소개한 하나와 앨리스에서 발레씬 뒤에 이어지는 병원 ct촬영 몽타주 역시 이러한 트릭이다
하나와 앨리스는 계속해서 관객들을 순간적으로 속이면서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고 그로 인해 스토리 외적인 재미를 제공한다

잠시 원론으로 돌아가서 정리해보면 몽타주라는 것은 컷a와 b가 충돌하여 새로운 의미를 생성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필연적으로 몽타주는 '트릭'이 되기가 쉽다 순간적으로 관객에게 제3의 의미를 생성하여 전달하기 때문에 그로 인해 속을 수 있다
내가 클립해놓은 이 동영상에 보면 하나의 대사 이후에 앨리스가 뭐라고 했는지 관객들은 모른다 관객에게 전달되는 정보는 단지 하나와 남자친구가 극장에 영화를 보러 갔다는 것 뿐이다
하지만 이러한 몽타주로 인해 관객은 마치 앨리스가 '그래 난 원래 제멋대로야!!'라고 말한 것 같은 느낌을 받게 된다
물론 이것은 느낌일 뿐이지 정보는 아니지만 이와이 슌지는 이러한 장면 전환을 통해 앨리스의 말을 뒤에 나올 영화와 동일시 시킨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러한 씬을 넘기는 장면전환의 연구는 영화의 양식과 느낌을 더 풍요롭게 만든다
물론 그러한 것들이 영화의 전체적 느낌에 잘 맞아야 하지만 말이다


<씨네마틱에 기사화된 글입니다>


몽타주 하면 아는 사람은 모두 알겠지만 세르게이 에이젠슈타인이 이론화한 영상 문법입니다
간단하게 뜻을 설명하자면 컷A와 컷B가 충돌해서 새로운 뜻을 창조한다는 말입니다
무슨 말인지 어려운 분들을 위해 가장 유명한 에이젠슈타인의 전함 포텐킨의 몽타주 장면을 설명하면 앉아있는 사자 동상 컷 뒤에 바로 일어서있는 사자동상 컷을 붙입니다
이것들은 독립된 개체로 서로 같은 동상이 아닙니다
하지만 에이젠슈타인은 이것은 결코 일어설수 없는 사자동상(군중)이 일어섰다(봉기했다)라는 의미로 충돌시킵니다

어쨌든 현대 영화에서 대부분의 컷이 충돌이 아닌 화합으로 이루어져있지만 가끔 몇몇 감독들에 의해 몽타주가 - 주로 씬과 씬의 연결에서- 보여지기도 합니다

위의 동영상에 보면 발레연습을 하다가 발목을 삔 앨리스가 아파하자 주변의 동료가 봐주러 옵니다. 그리고 앨리스의 발에 얼굴을 맞아 드러눕습니다
그리고 다음씬에서 병원의 두개골 사진이 나옵니다
영화를 보는이들은 이것을 당연스럽게도 앨리스의 발에 얼굴을 맞은 그녀라고 확신합니다. 하지만 이 장면은 의외로 남자주인공이 기억상실을 진료하기 위해 병원을 찾은 장면이라는걸 곧 알게 됩니다.

<사진A - 얼굴을 감싸고 드러누워있는 발레녀>

<사진B - 병원의 두개골 X - RAY 장면>

영화의 스토리상 발레녀가 얼굴을 맞는 장면은 전혀 의미가 없습니다
이후에 얼굴을 맞은 그녀가 어떻게 됐는지 나오지도 않고 이 사건으로 인해 다른사건이 야기되지도 않습니다
익살스럽게도 이어지는 병원씬은 영화의 큰 스토리상 남자 주인공이 내가 정말 기억상실증이 맞는지 의심하는 장면입니다
이 두 장면을 이어붙여서 전혀 새로운 사실을 만들게 됩니다
물론 이것은 감독이 관객에게 던지는 조크같은 훼이크이며 영화에서 크게 작용하는 의미는 없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분명히 의도한 몽타주라는 것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발레를 하다가 아무런일이 일어나지 않은채 병원씬으로 넘어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그것은 지금의 편집보다 지루합니다
결국 이러한 두 쇼트의 충돌로써 얻어낸 효과는 영화를 보는 관객들에게 스토리 외적인 재미를 줍니다
이것은 스토리 외적인 CG나 액션 장면 같은 효과라고 할 수 있겠죠

이러한 몽타주 기법은 한국영화의 장면전환에도 많이 쓰입니다
봉준호 감독의 '살인의 추억'에서 시체 부검장면 직후 나오는 생고기를 굽는 장면이나 김상경이 박해일의 자취방에 쳐들어가 발로 찬직후 박해일이 동굴앞에서 넘어지는 시공간 압축 몽타주 또, 올드보에서 이발소의 문을 열고 들어오는 장면의 종소리와 여성이 무릎이 바로 이어지는 회상장면의 자전거의 종소리와 윤진서의 무릎으로 이어지는 몽타주등 으로 쓰여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씨네마틱에 기사화된 글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