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가 종합예술이라고 불리우는 이유중에 중요한 한가지가 바로 '음악'일 것이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라는 영화에서는 배경음악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것으로 유명했다 대단한 일이다 음악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그만큼 음악은 영화에서 대단한 힘이다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영화의 분위기와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가장 힘있는 장치이다

일각에서는 영화에서 음악의 사용이 옳지 못하다는 의견이 있다
그것은 바로 노골적인 감정의 세뇌라는 말이다
하지만 나는 음악역시 종합 예술인 영화가 선택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이므로 위의 의견과는 좀 다르다 어디에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가 중요한 것이지 무조건적인 배제는 좋지 않다 음악이 있는 부분이 있기에 음악이 없는 부분도 더 살아 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영화음악을 가장 잘 사용하는 감독을 꼽으라면 난 첫번째로 이와이 슌지를 꼽겠다 음악뿐만이 아니라 그는 영화의 사운드를 완벽하게 요리할 줄 안다

먼저 위의 영상을 보도록하자

<조그맣게 피아노 연주가 들리고 있다>

 
스피커의 볼륨을 최대한 키워놓고 잘 들어보자
물건을 훔친 죄로 어머니를 부르게된 유이치 그리고 무엇인가 터져버릴 것 같은 무거운 공기가 흐르는 상담실에는 조그맣게 옆방의 피아노 소리가 들려오고 있다

영화를 처음부터 본사람은 알겠지만 이 씬의 처음부터 쿠노가 연주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그 옆의 상담실로 유이치와 선생님이 들어가게 된다

<어머니가 유이치를 때리기 시작하자 피아노 연주소리가 커진다>

물건을 훔쳤다는 이야기를 들은 유이치의 어머니
유이치를 째려보는 순간부터 쿠노의 피아노 연주소리는 급격하게 커진다

그리고 화면은 쌩뚱 맞게도 이일과 전혀 상관 없는 쿠노의 연주 장면으로 바뀐다
이와이 슌지는 어째서 이런 편집을 사용한걸까 

<다시 돌아온 상담실 음악은 곧 멈춘다>
  
다시 돌아온 상담실에서는 이미 진정한 유이치의 어머니가 있다
그리고 음악은 곧 멈춘다

과격하고 급박한 장면에서 격렬한 bgm을 사용하는 경우는 자주 있다
그리고 릴리슈슈의 모든 것의 경우 상당히 그로테스크한 음악을 하는 릴리슈슈의 음악이 영화의 전반에 걸쳐 사용된다

하지만 도둑질을 하다가 걸려서 어머니에게 맞는 이 장면에 슬프도록 아름다운 드뷔시의 피아노 연주곡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어머니의 흥분으로부터 음악이 커지고 진정하자 완전히 사라지는 것으로 보아 이 장면에서 '드뷔시의 아라베스크'는 유이치 어머니의 심정을 대변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을 일부러 아름다운 피아노 연주곡으로 배치한 슌지 감독의 의도는 바로 어머니의 슬픔을 표현한 것이다

유이치를 때리지만 그녀의 감정은 분노라기 보다는 슬픔이다
그렇기 때문에 분노의 음악이 아닌 슬픔의 음악으로 사용된 것이다
포 미니츠의 경우 피아노 연주를 배경음악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tv라는 매체를 자주 사용한다 극중 배우가 연주회 장면을 tv에서 보고 그것을 그대로 bgm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이 슌지는 좀더 노골적으로 사용한다

하지만 내게는 이런 방법이 더욱 고급스럽게 느껴진다
2008/12/31 - [video grammer] - 영상문법 - 셔레이드 <하나와 앨리스>
에서 경읽는 소리를 이용하기 위해 주인공을 절에 배치하듯이 피아노 연주를 이용하기 위해서 일부러 이 두 장면을 교차로 보여준다

사실 쿠노의 이 첫 등장은 영화에서 큰 의미가 있지 않다
그녀가 연주하는 곡이 드뷔시의 아라베스크로 당시에 릴리슈슈의 '호흡'의 첫번째 수록곡의 오마주 대상이 된다는 정보를 전달하며 쿠노를 관객에게 처음으로 보여주는 의미만이 있을 뿐이다
하지만 영화에서 한번도 등장하지 않았던 인물을 bgm의 사용을 위해 투입시켰다는 과감함에 나는 찬사를 보내고 싶다

<헨드헬드가 아니다>


잠깐 촬영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도록하자
영화의 전반에 걸쳐 들고찍기와 점프컷이 사용되는데 오히려 간헐적으로 사용되는 트랙킹이나 크레인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위에 나오는 4명이 모두 보여지는 롱샷의 경우 헨드헬드가 아닌 트랙킹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곧 있을 폭풍 전야의 느낌을 형성하며 어쩔줄 몰라하는 유이치의 상황을 적절하게 표현한다 그리고 어머니의 사랑의 매가 시작되자 촬영은 급격한 헨드헬드로 바뀌며 교차편집되는 쿠노의 연주장면은 이것과의 대비를 위하여 아주 부드러운 트랙킹으로 촬영된다

한장면 한장면의 연출을 위해서 샷의 강약을 조절하는 능력이 아주 뛰어나다



2009/01/27 - [영상문법] - 영상문법 - 디테일한 감정 연출 <아멜리에>에 언급했듯이 영화 아멜리에에서는 수평을 밥먹듯이 파괴한다
그리고 그 모든 것을 살펴보면 하나하나의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니라 그저 수평을 어긴 화면이 수평을 맞춘 화면보다 더 '재미있는 구도'라는 이유로 그렇게 찍었다는 생각이 든다

<아멜리에의 앞에서부터 뒤로 패닝된 이 샷도 처음부터 끝까지 수평이 어긋나있다>

클립해놓은 영상의 처음부터 20초 가량의 컷을 보면 걸어오는 아멜리에의 앞에서 찍다가 그녀가 카메라를 지나쳐서 가자 패닝해서 그녀의 뒷모습을 계속해서 따라간다
하지만 놀랍게도 처음부터 끝까지 이 샷의 수평은 틀어져 있다
위의 링크걸어놓은 다른 포스팅에서 감정을 더 극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고 했는데 아멜리에에서는 감정적인 부분이 아닌 곳에서도 수평이 틀어지는 것을 쉽게 볼수 있다
색감과 미쟝센이 뛰어난 영화라는 점을 볼때 이러한 오블리크 샷들은 앞에서 언급한대로 조금더 다이나믹한 화면을 만들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아닌가 싶다
영화를 조금더 재미있게 만들기 위해서 계속해서 틀어진 수평을 사용하고 있는것이다
이러한 자유로운 표현은 이 이후의 샷에서도 펼쳐진다

<이샷 부터 격한 헨드헬드로 촬영된다>

클립한 동영상 30초 부근까지는 달리(dolly)나 크레인 스테디 캠을 이용해서 촬영하지만 아멜리에가 장님 할아버지를 돕는 위의 스샷부터는 격렬한 헨드헬드로 촬영이 된다

이것은 브레또도를 돕고 그의 행복을 목격한 아멜리에가 이제부터는 다른사람을 도우며 살겠다고 정한 자신의 마음에서부터 우러나오는 격렬한 행복을 표현한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감독이 어째서 잔잔한 샷에서 격한 헨드헬드로 바뀌었을때 이런 행복이 표현되는지 알아냈는지가 궁금할 정도로 이 방식은 그녀의 행복을 너무나도 적절하게 표현해주고 있다 (그래서 이 영화가 그렇게 좋은 영화가 된 것이겠지만)

<이 샷까지 헨드헬드로 촬영된다>

1분 12초정도까지 헨드헬드는 이어지고 그 직후 다시 할아버지를 돕고 혼자서 계단을 올라 뛰어가는 아멜리에와 그 밑에서 그녀의 행복의 에너지를 전달 받은 할아버지는 크레인으로 촬영이 된다

다른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것이지만 아멜리에의 감독은 주인공의 감정을 디테일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자유롭게 표현하고 있다
그것을 위해 틀어진 수평, 중간중간 들어가는 cg, 입김, 헨드헬드, 저속 촬영과 고속 촬영등 이 당시 굉장히 실험적이고 재미있는 표현기법이 많이 그리고 적절하게 활용되었다는 생각이 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