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장센은 영화의 분위기를 꾸민다
스토리나 플롯처럼눈에 보이는 것이 아니라 눈치 채지 못하지만 다만 느끼도록 그렇게 관객을 설득한다

먼저 위의 동영상은 영화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에서 2부분을 잘라 놓은 것으로
각자 다른 부분이지만 장소의 미장센에 상당히 신경을 썼다

<마츠코의 제자 류가 교도소에서 출옥하는 장면>

먼저 마츠코의 제자였던 류가 감옥에서 출옥하는 장면을 보자
함박눈이 내리고 하얗게 쌓여있는 것, 교도소 앞에 놓여있기에는 조금 쌩뚱맞은 나무 한그루 이렇게 아름답게 이장면을 꾸민 이유는 무엇일까

사실 이장면은 마츠코가 감옥에서 출옥하여 이발사를 찾아가는 장면 (2009/01/12 - [영상문법] - 영상문법 - 영화적 허용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 과 대비된다
마츠코는 벚꽃이 날리는 봄에 출옥했다 
그 장면역시 굉장히 아름다웠으며 봄은 '시작'을 의미하듯이 마츠코가 새 인생을 시작하기 위해 이발사를 찾아가는 장면이었다
그러나 결과는 시작이 아닌 끝이었다
위의 장면은 겨울이다 
류가 출옥하는 장면은 더이상 새로운 시작을 의미할수 없을 정도로 너무나도 하얀 겨울이다
플롯 구성상으로 류가 마츠코를 때리고 도망가는 이 장면은 마츠코의 '사랑'의 마지막이다 
많은 남자를 사랑하고 함께 살았지만 그녀의 마지막 남자는 그녀의 제자인 '류'였다
그리고 이 출옥 장면은 그와 그녀의 마지막 만남이다
그래서 감독은 이 장면을 겨울로 설정했다

<이 재회는 너무나도 아름답게 촬영된다>

그리고 그들의 재회는 이렇게 너무나도 아름다운 배경으로 촬영된다
하지만 이 '아름다운 설정'의 의미는 무엇인가
마츠코의 입장에서 아름 다운 재회를 그리는 것인가?
그렇다고 하기에 이 장면의 촬영은 마츠코의 시점으로 촬영되지 않았다
처음부터 끝까지 로우 앵글로서 마츠코의 시점과 반응샷으로 구성되지 않았다
이 장면은 마츠코의 시점보다는 조금더 객관적으로 구성되었으며 그것은 이 아름다운 배경과 그들의 영원한 이별의 충돌을 만들어 낸다

<마츠코에게 주먹을 날리고 도망치는 류>

영화를 보던 사람들은 이렇게 아름다운 새하얀 눈밭에서 마츠코의 아구리(?)를 한방에 날리고 도망가는 류의 모습을 보면서 실소를 자아냈을지도 모른다
필자 역시 이 장면에서 아이러니한 웃음을 지을수 밖에 없었다
이것은 일부러 만들어낸 감독의 의도이다
하얀 옷을 입은 마츠코와 검은 옷을 입은 류의 대비 그리고 아름답게 내리고 쌓인 눈.. 이 모든것이 마츠코에 대한 류의 죄책감을 터뜨리고 우스운 장면을 만들어낸다
결국 이 장면의 아름다운 미장센은 '아이러니'이며 이러한 방식은 앞에서의 마츠코의 출옥 장면과 마지막 마츠코의 죽음 장면에서도 똑같이 적용된다

과연 류가 문을 열고 나오는 장면에서 마치 흰 눈꽃처럼 보이는 이 교도소앞 나무의 존재는 정말로 바로앞에 나무가 있는 교도소를 찾은 것일까?
화면의 느낌으로 보건데 이 장면은 cg와 블루스크린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장면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교도소와 눈은 몰라도 이 장면에서 오른쪽 구석을 차지하는 이 나무의 존재를 감독은 합성으로 만들어 낸 것이 아닐까
아름다운 눈꽃과 입체적 화면구성을 위해서 말이다

<마츠코의 죽음 역시 너무나도 아름다운 화면구성이다>

첨부한 동영상 48초부근부터 나오는 마츠코의 죽음 장면 역시 너무나도 아름답게 꾸며진다
푸른 잔디밭과 왼쪽에서 비춰지는 스팟 라이트 그리고 하늘에 떠 있는 별들이 너무나도 허망하고 비참한 마츠코의 죽음에 아이러니를 만들어 낸다

감독의 이러한 아이러니한 화면 구성은 역시 r.ef의 이별공식의 가사처럼 햇빛 눈이 부신날의 이별은 더욱 비참하다는 표현과 비슷하다
너무나도 아름다운 이별과 죽음의 장면을 구성함으로써 감독은 마츠코의 인생을 더욱 비참하게 만들어 내고 있다

죽음 장면의 왼쪽에서 제공되는 인공 조명에 의한 플레어 현상역시 예쁜 장면을 만들어 내기 위한 대표적 스킬이 아닌가

<이글은 씨네마틱에 기사화 되었습니다>


이번에 소개할 영상은 아주 간단하다 우선 위에 있는 동영상을 보자

이 장면은 영화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의 한 시퀀스이다
시퀀스에 들어가는 내용은 마츠코가 감옥에 들어가서 살다가 나중을 위해서 미용사 자격증을 따고 감방 동료인 사와무라 메구미를 만나는 것이다
하지만 감독은 이러한 수많은 내용을 하나의 뮤직비디오를 만들어서 표현한다

<이 시퀀스에서 노래를 부르는 인순이를 닮은 이여자는 그냥 가수일 뿐이다>
뮤지컬 형식이라면 물론 주인공이 노래를 불러야 한다
사실상 이 영화에서 중간중간 마츠코는 많은 노래를 부른다
하지만 이 장면만은 영화에서 등장하지 않는 인순이를 닮은 여자가 죄수복을 입고 노래를 부른다
이것은 뮤지컬 형식의 3인칭 시점이라는 생각이든다
뮤지컬 영화에서 한 배우가 노래를 부르게 되면 어쩔수 없이 그것은 그 캐릭터의 대사가 되고 그의 감정이 된다
하지만 이 영화에서 교도소 시퀀스는 뮤지컬 형식처럼 (사실은 뮤직비디오지만) 되어 있지만 제 3자의 입을 통해서 이야기를 전달한다
이것은 당연히 주변인을 통한 객관적인 스토리 전달이라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등장인물에 의한 노래가 아니므로 'WHAT IS A LIFE?'라는 주제를 대놓고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교도소 시퀀스의 내용은 사실상 최소한의 정보만 주면되지 길게 이야기할 부분이 아니다 영화의 앞에서도 마츠코가 터키탕에서 일하는 장면들은 이 교도소 시퀀스와 비슷하게 구성이 되어 있는데 감독은 이러한 표현 방식을 통해서 지루한 내용을 리드미컬하고 흥미롭게 구성하고 있다
하지만 역시 이런 대범한 표현을 하는 감독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든다

<마츠코의 상상속에서의 남자의 모습의 변화를 보자>

동영상의 3분 15초경부터 나오는 이 이발사의 얼굴 변화를 보자
물론 이발사의 실제 모습은 첫번째 사진이다
하지만 마츠코가 교도소에서 오직 그를 만나러 갈것만을 생각하며 살아가면서 그의 모습을 마음속에서 미화한다는 이러한 표현 방식은 정말 참신하고 재미있으며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명확히 말했다는 생각이 든다

<전형적인 구도를 무시한 미장센을 보자>

위의 동영상 3분 50초쯤에 나오는 이 장면을 보자
마치 내가 프레임의 아랫부분을 잘라 놓은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 영화에서 쓰인 그대로의 장면이다
먼저 감독은 마츠코가 벚꽃이 떨어지는 봄에 출소를 하게 했다
이것은 그녀가 희망을 품고 새로운 출발을 바라며 출소를 했다는 표현이며 떨어지는 벚꽃은 그녀의 희망이 금방 땅에 떨어질 것이라는 상징이라고 볼 수도 있다

그리고 이 장면은 영화의 기본적인 구도를 완전히 무시했다
헤드룸이 너무 많고 마츠코는 이프레임 안에서 마치 목이 잘린채로 걸어가는 사람처럼 보인다
이것은 마츠코의 머리 위에 있는 수많은 벚꽃이 지금은 이렇게 아름답지만 곧 그녀의 희망처럼 아래로 떨어져 내릴 것이라는 미쟝센이며 그리고 목이 잘린채로 걸어들어오는 그녀의 모습에서 곧 단칼에 베어질 그녀의 심장을 예견한다고도 해석 할 수 있다
하지만 유감스럽게도 이 전형적이지 않은 구도의 샷은 벚꽃으로 뒤덮여서 너무 아름다우며 그 아름다움이 그녀를 먹어 삼킬것만 같은 느낌을 준다

<이글은 씨네마틱에 기사화된 글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보는 가장 대중적인 헐리우드 영화의 경우 처음을 어떻게 시작하는가?
대부분 영화의 타이틀 시퀀스에 앞으로 펼쳐질 배경이 나오고 주인공이 등장하면서 그의 캐릭터를 설명하며 시작한다(모든 영화가 그런것이 아니다 편하게 생각하자)
그러한 방법은 텍스트적으로 분석하자면 미국의 뉴욕의 도시에 마이클이라는 이런 남자가 살고 있다 라는 식으로 해석 될 수 있다
하지만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에서는 조금 다르게 이야기를 시작하고 있다

우선 영상을 보자 저번편에 한번 올린 것과 중복 되는 것이지만 분석 내용은 다른 것이니 안심하자
꿈에 대한 나레이션이 시작되고 여러 사람들의 이야기가 나온다 술에 찌든자 죽음을 맞이한자 그리고 그저 자신의 삶을 웃어 넘기려는자

<카메라가 마지막으로 비춰주는 남자가 바로 영화의 중심인물이 된다>

결국 그러한 사람들 속에서 마지막에 나오는 남자가 바로 영화의 스토리를 추적해 나가는 마츠코의 조카다
이것은 문맥적으로 어떻게 해석하는가 앞에서와 같이 단순히 일본의 신주쿠라는 도시에 이런 남자가 살고 있다 라는 식으로 표현할 수도 있었지만 이 영화에서는 조금더 철학적으로 접근한다
세상엔 수많은 사람이 꿈을 꾸고 그것을 이루지 못해서 고통받고 노력하는 사람이 있고 술에 찌들어 사는 사람이 있고 불행하게 죽음을 맞이한 사람이 있으며 그저 웃으며 현실도피를 하는 사람이 있는데 그중에서 마지막에 나오는 현실도피를 하는 남자가 바로 이 영화의 화자라는 이야기다

앞에서 설명한 헐리우드의 도입부가 간접적으로 캐릭터를 설명하는 방식이라면 이것은 나레이션으로 직접적으로 설명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어떠한 사건으로 캐릭터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라 나레이션으로 현실을 웃어 넘기려 한다고 직접적으로 말하고 있다

이러한 도입부의 방식의 특성은 이렇다
헐리우드 영화의 도입부가 뉴욕의 한남자에 관한 이야기라면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에서의 방식은 꿈을 꾸는 그리고 꾸어본적 있는 모든 사람의 이야기로 넓게 펼친다
하지만 영화에서는 몇몇의 사람들의 이야기를 통해서 그것을 말할 뿐이다

그리고 영화를 본사람은 알겠지만 도입부에 잠깐 잠깐 등장하는 인물들이 바로 이 영화의 핵심 인물들이라는 것이다

<마츠코의 감방동료, 마츠코를 사랑한 제자, 마츠코의 죽음>

위의 세장의 그림에 등장하는 인물들은 모두 영화의 플롯을 이끌어가는 핵심 인물이다
확실하진 않지만 첫번째 그림은 마츠코의 감방 동료로서 av영화를 찍었던 사와무라 메구미이며, 두번째는 뺨에 휴터로 보아 확실하게 마츠코의 비참한 인생을 시작하게 만든 그녀의 제자라는 것을 알 수있다
그리고 마지막에 급히 인생을 마쳐 시체가 되어있는 사람은 바로 이 영화의 주인공인 마츠코이다

이렇게 감독은 마치 세상 사람들 모두에 대해 이야기 하다가 화자인 마츠코의 조카를 찾아가는 형식처럼 취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꽤나 재미있는 설정을 해놓은 것이다
사실 처음부터 감독은 나레이션으로 마츠코와 주변인들의 삶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이야기 하고 있다
이렇게 영화의 마지막 장면을 처음에 살짝 보여주는 것을 액자식 구성이라는 촌스러운 표현으로 말하기도 하지만 이 영화에서는 그정도는 아니고 그저 영화를 두번이상 보게 될 사람들을 위한 서비스이자 감독의 재치라고 봐주면 될 것 같다
그리고 이러한 영화의 도입부에서 결말을 제시하는 방법은 '아무도 모른다 - 강조법'에서 말했듯이 영화의 사건과 주제를 연결시켜 강조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이다

그리고 조금은 노골적인 메타포를 하나 보도록 하자

<드림이라는 간판이 물에 비치고 남자가 그것을 짓밟아 흐트려 놓는다>

굉장히 친절하고 노골적으로 표현된 1분 45초경에 나오는 상징이다
위의 스샷을 보면 모두 알겠지만 남자가 술을 마시는 '드림'이라는 클럽의 간판이 보이고 그것이 바닥에 고여있는 물에 비친다(이것은 합성이라고 생각된다 바닥에 비칠때 저렇게 상하 반전이 안될 수는 없다) 그리고 남자가 그것을 짓밟아 놓는다

영화는 처음부터 꿈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그리고 영화는 간단한 대사를 통해서 마츠코의 조카가 밴드를 그만두고 꿈이 없이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그리고 나서 그는 'DREAM'이라는 물에 비친 간판을 짓밟는다
그의 꿈이 그리고 많은 사람의 꿈이 짓밟혔다는 상징일수도 있고 이미 마츠코의 조카의 꿈은 바닥에 떨어져서 수없이 짓밟힌다는 상징일 수도 있고 조금 마음넓게 해석해 보자면 그가 밟은 것은 물일 뿐이다 그것은 곧 다시 물이 고일테고 꿈은 또 다시 비추게 된다 마츠코의 조카가 밟은 것은 꿈이지만 그것은 결코 밟힐수도 파괴 될수도 없는 것이라고 긍정적으로 해석할수도 있다

<AV를 빌려가는 마츠코의 조카는 TV에서 자신의 모습을 본다>
시에는 시적허용이 있다면 영화에도 당연히 영화적 허용이 있어야 한다
이 장면이 바로 그것이다
이것은 그가 본 환상일 수도 있고 그저 관객에게 보여주기 위한 판타지적 장면일 수도 있다
아무튼 재미있게 표현된 이 장면으로 감독은 그가 이제부터는 꿈을 잃고 완전히 죽은 사람이며 또, 마츠코의 죽음을 곧 알게될 것에 대한 메타포일 수도 있다

<씨네마틱에 기사화된 글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