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레인스포팅으로 10개가 넘는 포스팅을 해왔는데 드디어 이번이 마지막이다. 마지막 장면이라 할 이야기가 참 많기도 하다.
먼저 음악 이야기를 해보자.
술집에서 시작된 음악이 가사가 없는 약간 짠한 느낌의 음악이지만 마크가 침대에서 일어나는 장면부터는 일정한 리듬으로 읇조리는 듯한 가사가 추가된다. 그리고 이 가사는 앞에서부터 흘러나오는 음악에서 긴장감을 추가한다. 벡비가 안고 자고있는 돈가방을 훔치기 위해 일어나는 장면이기 때문이다.
세면대에서 물을 마시고 돌아온 마크가 벡비의 팔을 들어 가방을 꺼내려는 순간 긴장감의 최고조를 위해서 일정한 비트가 시작된다. 확실히 감독이 이 장면을 긴장되게 구성하기 위해 음악을 조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벡비가 가지고 있던 돈가방을 마크가 가져간다 그리고 잡고 있던 벡비의 팔을 놓는 10초정도의 시간동안 가사는 다시 사라진다. 그리고 방금전에 추가되었던 일정한 비트만이 음악을 장악한다.
집중력있게 보면 누구나 느낄 수 있듯이 이 장면에서 긴장감은 최고조가 된다. 마치 심장이 뛰는 것 같은 비트소리가 화면을 장악하기 때문이다. 마크가 벡비의 팔을 놓고 떨어지는 순간에 다시 시작되는 가사는 더이상은 긴장감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마크의 성공의 기쁨을 음악이 표현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나서도 이 음악은 3분정도 계속된다. 하지만 이 음악의 긴장감은 더이상 없다. 같은 음악이 계속되는데도 상황이 바뀜으로써 이제는 마크의 배신의 성공에 대한 기쁨을 화면 가득 채운다.
이 장면은 어떤 의도일까?
돈을 가지고 혼자서 유유히 사라지는 마크를 감독은 옆으로 찍는다. 마치 누워서 벽에 붙어 걸어가는 사람처럼... 하늘을 나는 기분이라도 표현한 것일까? 확실히 이 장면에서는 마크의 뛸뜻한 기쁨을 표현하는 것처럼 보인다. 벽에 붙어서 걸어갈 수 있을 만큼 나는 듯한 기쁨의 표현이 이 촬영의 의미가 아닐까 생각한다.
먼저 음악 이야기를 해보자.
<벡비가 마크에게 담배연기를 내뿜는 순간 음악은 시작된다>
벡비가 내뿜는 담배연기를 마크가 맡는 장면부터 음악이 시작된다. 이 음악은 마지막까지 나오면서 앞으로 나올 모든 장면의 감정을 조절하고 있다.
이 음악의 의미는 마크가 돈가방을 가지고 달아나야겠다는 결심을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영화를 보면 이 전의 장면에서 벡비가 술먹고 부딪힌 사람에게 시비를 걸고 피떡이 되게 두들겨 패고있는 동안 마크는 자리에서 일어나지 않은채 계속해서 돈가방만을 바라보고 있다. 이 때를 틈타 도망갈까 고민하는 장면이다.
하지만 결국 도망가지 않고 담배를 가져오라는 벡비의 말투와 행동에서는 이미 이 패거리의 우두머리가 된 듯하다. 마크는 당연히 느꼈을 것이다. 벡비는 앞으로도 훨씬 심하게 대장 노릇을 하려고 할 것이다. 그 힘으로 모두를 굴복시킬 것이다. 벡비로부터 벗어나야한다.
이러한 마크의 결심을 감독은 음악의 시작으로 나타낸다.
이 음악의 의미는 마크가 돈가방을 가지고 달아나야겠다는 결심을 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영화를 보면 이 전의 장면에서 벡비가 술먹고 부딪힌 사람에게 시비를 걸고 피떡이 되게 두들겨 패고있는 동안 마크는 자리에서 일어나지 않은채 계속해서 돈가방만을 바라보고 있다. 이 때를 틈타 도망갈까 고민하는 장면이다.
하지만 결국 도망가지 않고 담배를 가져오라는 벡비의 말투와 행동에서는 이미 이 패거리의 우두머리가 된 듯하다. 마크는 당연히 느꼈을 것이다. 벡비는 앞으로도 훨씬 심하게 대장 노릇을 하려고 할 것이다. 그 힘으로 모두를 굴복시킬 것이다. 벡비로부터 벗어나야한다.
이러한 마크의 결심을 감독은 음악의 시작으로 나타낸다.
<음악은 계속 이어지고 마크가 자리에서 일어나는 순간 가사가 시작된다>
술집에서 시작된 음악이 가사가 없는 약간 짠한 느낌의 음악이지만 마크가 침대에서 일어나는 장면부터는 일정한 리듬으로 읇조리는 듯한 가사가 추가된다. 그리고 이 가사는 앞에서부터 흘러나오는 음악에서 긴장감을 추가한다. 벡비가 안고 자고있는 돈가방을 훔치기 위해 일어나는 장면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마크가 벡비의 팔을 잡는 순간 일정한 비트가 추가된다>
세면대에서 물을 마시고 돌아온 마크가 벡비의 팔을 들어 가방을 꺼내려는 순간 긴장감의 최고조를 위해서 일정한 비트가 시작된다. 확실히 감독이 이 장면을 긴장되게 구성하기 위해 음악을 조율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돈가방을 탈취한 마크가 벡비로 부터 떨어지는 10초간 음악은 또 바뀐다>
벡비가 가지고 있던 돈가방을 마크가 가져간다 그리고 잡고 있던 벡비의 팔을 놓는 10초정도의 시간동안 가사는 다시 사라진다. 그리고 방금전에 추가되었던 일정한 비트만이 음악을 장악한다.
집중력있게 보면 누구나 느낄 수 있듯이 이 장면에서 긴장감은 최고조가 된다. 마치 심장이 뛰는 것 같은 비트소리가 화면을 장악하기 때문이다. 마크가 벡비의 팔을 놓고 떨어지는 순간에 다시 시작되는 가사는 더이상은 긴장감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마크의 성공의 기쁨을 음악이 표현하기 시작한다.
그리고 나서도 이 음악은 3분정도 계속된다. 하지만 이 음악의 긴장감은 더이상 없다. 같은 음악이 계속되는데도 상황이 바뀜으로써 이제는 마크의 배신의 성공에 대한 기쁨을 화면 가득 채운다.
<감독은 화면을 옆으로 찍는다>
이 장면은 어떤 의도일까?
돈을 가지고 혼자서 유유히 사라지는 마크를 감독은 옆으로 찍는다. 마치 누워서 벽에 붙어 걸어가는 사람처럼... 하늘을 나는 기분이라도 표현한 것일까? 확실히 이 장면에서는 마크의 뛸뜻한 기쁨을 표현하는 것처럼 보인다. 벽에 붙어서 걸어갈 수 있을 만큼 나는 듯한 기쁨의 표현이 이 촬영의 의미가 아닐까 생각한다.
<이 내부의 거울샷은 또 꽤나 의미가 깊다>
사실 위의 세장의 그림중 첫번째 그림의 클립한 동영상에서 나오는 부분이 아니다. 2009/09/13 - [영상문법] - 관객을 영화안으로 초대하기 - <트레인스포팅, Trainspotting> 의 장면의 바로 다음 장면으로 마크가 벡비와 식보이를 엿먹이겠다는 결심을 하는 장면이다. 식보이에게 도둑 맞을 것을 대비해서인지 아니면 처음부터 혼자서 떠나겠다는 생각을 한것인지 마크는 자신의 여권을 사물함에 숨겨 놓는다.
사실 이 장면을 처음 봤을때 프레임인 프레임이나 반사된 장면을 통한 미쟝센으로 분석을 하려 했으나 할이야기가 많지 않다고 판단했다. 의미를 부여하기가 좀 힘들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의 세장을 나란히 붙여놓으니 제법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위의 세장의 그림중 두번째 것만 외곽에서 촬영 되었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 영화의 제목 때문인지 영화는 반복되는 열차같은 이미지를 미쟝센으로 사용하곤 했다. 이 장면 역시 그런 맥락으로 파악해보자.
맨 처음의 그림과 세번째 그림중 반사가 아닌 실체가 화면의 가운데에 자리하고 있고 그것을 양옆과 아래 쪽에서 반사를 하고 있다. 하지만 두번째 그림의 경우 실체는 화면의 제일 가까운 쪽에 자리하고 반사는 오른쪽으로 멀어지며 나타난다. 나는 이것을 열차의 칸이라고 해석한다.
그런 미쟝센을 구상했을 경우 두번째에서 돈을 훔치는 것을 성공한 마크는 더이상 열차의 가운데에서 앞에서 이끄는대로 따라가는 수동적 인물이 아니다. 마크의 실체는 제일 앞에 있고 자신의 반사들을 이끌 수 있는 인물인 것이다. 스퍼드에게 돈을 놓아주는 이 장면은 그야말로 마크의 의지이며 능동적인 행동이다. 마약처럼 할수밖에 없어서 하는 행동과는 다르다. 하지만 처음에 여권을 숨기는 것은 식보이가 훔치는 것을 피하기 위한 완벽한 능동적 행동이라고 보기는 어려우며 이때는 아직 마크가 열차의 가운데 있어서 벡비와 식보이에게 이끌려 다닌다고 상징한다.
생각해보자 분명 한번에 찍었을 이 세컷을 대니보일은 왜 가운데 장면만 앵글을 비틀어서 찍었을까? 답은 간단하다 의미가 있는 것이다.
마지막에 마크가 숨겨놓은 돈뭉치를 찾아내는 스퍼드의 장면역시 마찬가지다. 스퍼드는 아직도 열차의 가운데에 있다. 아직도 스스로 무언가를 찾아내지 못하고 누군가에게 그리고 세상에 이끌리고 있다. 마크가 가져다준 돈을 잡는것도 자신이 얻은 것이 아니다 맨 앞열에 있는 마크가 이끌어 준 것일 뿐이다.
사실 이 장면을 처음 봤을때 프레임인 프레임이나 반사된 장면을 통한 미쟝센으로 분석을 하려 했으나 할이야기가 많지 않다고 판단했다. 의미를 부여하기가 좀 힘들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위의 세장을 나란히 붙여놓으니 제법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위의 세장의 그림중 두번째 것만 외곽에서 촬영 되었다. 이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 영화의 제목 때문인지 영화는 반복되는 열차같은 이미지를 미쟝센으로 사용하곤 했다. 이 장면 역시 그런 맥락으로 파악해보자.
맨 처음의 그림과 세번째 그림중 반사가 아닌 실체가 화면의 가운데에 자리하고 있고 그것을 양옆과 아래 쪽에서 반사를 하고 있다. 하지만 두번째 그림의 경우 실체는 화면의 제일 가까운 쪽에 자리하고 반사는 오른쪽으로 멀어지며 나타난다. 나는 이것을 열차의 칸이라고 해석한다.
그런 미쟝센을 구상했을 경우 두번째에서 돈을 훔치는 것을 성공한 마크는 더이상 열차의 가운데에서 앞에서 이끄는대로 따라가는 수동적 인물이 아니다. 마크의 실체는 제일 앞에 있고 자신의 반사들을 이끌 수 있는 인물인 것이다. 스퍼드에게 돈을 놓아주는 이 장면은 그야말로 마크의 의지이며 능동적인 행동이다. 마약처럼 할수밖에 없어서 하는 행동과는 다르다. 하지만 처음에 여권을 숨기는 것은 식보이가 훔치는 것을 피하기 위한 완벽한 능동적 행동이라고 보기는 어려우며 이때는 아직 마크가 열차의 가운데 있어서 벡비와 식보이에게 이끌려 다닌다고 상징한다.
생각해보자 분명 한번에 찍었을 이 세컷을 대니보일은 왜 가운데 장면만 앵글을 비틀어서 찍었을까? 답은 간단하다 의미가 있는 것이다.
마지막에 마크가 숨겨놓은 돈뭉치를 찾아내는 스퍼드의 장면역시 마찬가지다. 스퍼드는 아직도 열차의 가운데에 있다. 아직도 스스로 무언가를 찾아내지 못하고 누군가에게 그리고 세상에 이끌리고 있다. 마크가 가져다준 돈을 잡는것도 자신이 얻은 것이 아니다 맨 앞열에 있는 마크가 이끌어 준 것일 뿐이다.
'영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물소개 -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 Forgetting Sarah Marshall> (0) | 2009.09.13 |
---|---|
3인칭 시점 - <메종 드 히미코,メゾン·ド·ヒミコ: La Maison De Himiko,> (0) | 2009.09.13 |
미쟝센 - <트레인스포팅, Trainspotting> (0) | 2009.09.13 |
몽타주를 이용한 복선 - <트레인스포팅, Trainspotting> (0) | 2009.09.13 |
관객을 영화안으로 초대하기 - <트레인스포팅, Trainspotting> (0) | 2009.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