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영화인데도 하나와 앨리스에서 아오이 유우의 이름을 앨리스다. 2009/09/09 - [영상문법] - 카드에 담긴 메타포 - <하나와 앨리스, 花とアリス: Hana & Alice>에서 이야기 한대로 그녀의 이름의 이유는 그녀의 캐릭터 설정에 있다.
조제역시 마찬가지다. 실제로 그녀의 이름은 쿠미코지만 그녀는 스스로를 조제라고 소개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할머니가 주워온 수많은 책들 중에서 그녀가 읽고 싶은 책이 있었다. '사강'의 속편. 어째서인지 속편은 아무리 기다려도 버리질 않아서 조제는 책을 구할수가 없었다.
츠네오는 서점에 가서 알아본뒤 절판 되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헌책방에가서 그 책을 구해온다.
내가 아는 사람중에는 축구나 야구 중계를 볼때 가끔 응원하는 팀의 유니폼을 입는 사람이 있다. 물론 집에서.. 여기에서 조제의 기분이 그런 것일까? 그녀는 스스로를 조제라 말하고 여주인공이 '조제'인 책을 읽으며 그녀를 자신과 동일시 한다. 책의 주인공처럼 금발머리 가발까지 써가면서 말이다.
어째서 조제는 자신을 조제라 부르고 가발까지 써가면서 책을 읽는가?
츠네오가 처음 조제의 집에 간날 영화는 아무렇지도 않게 배경에 여기저기 꿰매어진 토끼 인형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것은 윗사진처럼 조제가 자신을 동일시한 책의 여주인공이 가진 토끼 인형과 똑같다.
아마도 조제는 그녀와 자신을 동일시 하기 위해서 멀쩡한 토끼인형을 일부러 저렇게 만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녀는 어째서 그렇게 조제가 되길 원하는가?
내 개인적인 해석으로 이 책이 너무 훌륭했다거나 읽은 책 중에 가장 감명 깊어서가 아닐 것이다. 단순히 조제가 가지지 못했기 때문에 절박하고 더 소중하게 생각한 것이 아닐까. 할머니가 주워온 수많은 책중에서 속편을 도무지 구할 수 없었던 책.
다른 책들은 외울정도로 지겹게 봤지만 속편을 구할수 없었던 조제의 이야기는 스스로 얼마든지 상상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상상속에서 자연스레 쿠미코와 조제를 합치지 않았을까.. 그래서 그녀는 조제라고 불리길 원하고 금발머리 가발을 쓰고 멀쩡한 토끼인형을 다 떨어져서 헝겊을 덧댄것처럼 해놨을 것이다.
그리고 이 '쿠미코'의 가지지 못한것에 대한 갈망은 아마 츠네오에 대한 마음역시 비슷하지 않았을까?
내가 얼마전 '큐피드의 장난'이라는 일본 만화책을 봤다. 거기에 보면 남자를 거의 사겨보지 않은 여성이 주인공을 사랑하게 된다. 하지만 그녀는 성관계 이후에 자신이 그저 외로웠을 뿐이고 20살이 되도록 남자한번 제대로 사귀지 못한 것이 부끄러워서 자신에게 접근한 주인공을 사랑하게 됐노라고 고백한다. 너무나 가슴 아픈 이야기지만 사람의 현실은 이렇다. 누구나 자신의 처지에 맞는 사랑을 하기 마련이다.
실제로 조제에게 평생 남자는 없었다. 츠네오 이전에도 없었고 그 이후에도 있을지 모르는 일이다. 아무튼 츠네오는 조제가 알게된 첫 '남자'였다. 그래서 그녀는 그를 사랑할 수 밖에 없었다. 선택의 여지가 없었으며 그녀가 도저히 가질 수 없는 것이었으니까..
하지만 영화 전반에 걸쳐 나오지만 조제는 츠네오가 자신을 떠나게 될 것이란걸 알고 있다. 하지만 그녀는 츠네오를 거부하지 않는다. 떠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것이지만 자신이 할 수 없었던 '사랑'을 하게된 유일한 사람이다. 조제는 이 가질수 없는 '사랑의 경험'을 갈망한다. 그래서 그녀는 츠네오가 언젠가 자신을 떠날 것을 알지만 현재를 살아간다. 츠네오와의 사랑을 계속해서 이어간다. 언젠가 츠네오가 떠날때 까지.
그녀가 가지지 못해서 열망했던 '책의 속편'처럼 츠네오는 가질 수 없는 것이었다. 하지만 츠네오는 속편을 구해다줬으며 그녀에게 '사랑'을 가르쳐 주었다. 조제는 이 사랑을 거부할 수 없었다. 결국 자신이 버림받더라도.
조제역시 마찬가지다. 실제로 그녀의 이름은 쿠미코지만 그녀는 스스로를 조제라고 소개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츠네오가 사다준 속편 그 책의 주인공의 이름이 '조제'다>
할머니가 주워온 수많은 책들 중에서 그녀가 읽고 싶은 책이 있었다. '사강'의 속편. 어째서인지 속편은 아무리 기다려도 버리질 않아서 조제는 책을 구할수가 없었다.
츠네오는 서점에 가서 알아본뒤 절판 되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헌책방에가서 그 책을 구해온다.
<조제는 책의 주인공처럼 금발 가발까지 쓰고 책을 읽는다>
내가 아는 사람중에는 축구나 야구 중계를 볼때 가끔 응원하는 팀의 유니폼을 입는 사람이 있다. 물론 집에서.. 여기에서 조제의 기분이 그런 것일까? 그녀는 스스로를 조제라 말하고 여주인공이 '조제'인 책을 읽으며 그녀를 자신과 동일시 한다. 책의 주인공처럼 금발머리 가발까지 써가면서 말이다.
어째서 조제는 자신을 조제라 부르고 가발까지 써가면서 책을 읽는가?
<책속의 조제가 가진 여기저기 상처입은 토끼인형을 보자>
츠네오가 처음 조제의 집에 간날 영화는 아무렇지도 않게 배경에 여기저기 꿰매어진 토끼 인형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것은 윗사진처럼 조제가 자신을 동일시한 책의 여주인공이 가진 토끼 인형과 똑같다.
아마도 조제는 그녀와 자신을 동일시 하기 위해서 멀쩡한 토끼인형을 일부러 저렇게 만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녀는 어째서 그렇게 조제가 되길 원하는가?
내 개인적인 해석으로 이 책이 너무 훌륭했다거나 읽은 책 중에 가장 감명 깊어서가 아닐 것이다. 단순히 조제가 가지지 못했기 때문에 절박하고 더 소중하게 생각한 것이 아닐까. 할머니가 주워온 수많은 책중에서 속편을 도무지 구할 수 없었던 책.
다른 책들은 외울정도로 지겹게 봤지만 속편을 구할수 없었던 조제의 이야기는 스스로 얼마든지 상상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고 그 상상속에서 자연스레 쿠미코와 조제를 합치지 않았을까.. 그래서 그녀는 조제라고 불리길 원하고 금발머리 가발을 쓰고 멀쩡한 토끼인형을 다 떨어져서 헝겊을 덧댄것처럼 해놨을 것이다.
그리고 이 '쿠미코'의 가지지 못한것에 대한 갈망은 아마 츠네오에 대한 마음역시 비슷하지 않았을까?
내가 얼마전 '큐피드의 장난'이라는 일본 만화책을 봤다. 거기에 보면 남자를 거의 사겨보지 않은 여성이 주인공을 사랑하게 된다. 하지만 그녀는 성관계 이후에 자신이 그저 외로웠을 뿐이고 20살이 되도록 남자한번 제대로 사귀지 못한 것이 부끄러워서 자신에게 접근한 주인공을 사랑하게 됐노라고 고백한다. 너무나 가슴 아픈 이야기지만 사람의 현실은 이렇다. 누구나 자신의 처지에 맞는 사랑을 하기 마련이다.
실제로 조제에게 평생 남자는 없었다. 츠네오 이전에도 없었고 그 이후에도 있을지 모르는 일이다. 아무튼 츠네오는 조제가 알게된 첫 '남자'였다. 그래서 그녀는 그를 사랑할 수 밖에 없었다. 선택의 여지가 없었으며 그녀가 도저히 가질 수 없는 것이었으니까..
하지만 영화 전반에 걸쳐 나오지만 조제는 츠네오가 자신을 떠나게 될 것이란걸 알고 있다. 하지만 그녀는 츠네오를 거부하지 않는다. 떠나는 것은 어쩔 수 없는 것이지만 자신이 할 수 없었던 '사랑'을 하게된 유일한 사람이다. 조제는 이 가질수 없는 '사랑의 경험'을 갈망한다. 그래서 그녀는 츠네오가 언젠가 자신을 떠날 것을 알지만 현재를 살아간다. 츠네오와의 사랑을 계속해서 이어간다. 언젠가 츠네오가 떠날때 까지.
그녀가 가지지 못해서 열망했던 '책의 속편'처럼 츠네오는 가질 수 없는 것이었다. 하지만 츠네오는 속편을 구해다줬으며 그녀에게 '사랑'을 가르쳐 주었다. 조제는 이 사랑을 거부할 수 없었다. 결국 자신이 버림받더라도.
'영상문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속촬영, 몽타주 - <캐쉬백, Cashback> (0) | 2009.09.13 |
---|---|
롱테이크 - <Love Me If You Dare, Jeux D'Enfants> (0) | 2009.09.13 |
외재적 내재음 -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 Forgetting Sarah Marshall> (0) | 2009.09.13 |
시점화, 시간의 확장 -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 Forgetting Sarah Marshall> (0) | 2009.09.13 |
플래쉬 백 - <사랑이 어떻게 변하니?, Forgetting Sarah Marshall> (0) | 2009.09.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