굳이 스테디 캠을 들고 완벽한 동선을 짜서 롱테이크로 찍어야만 했던 이유가 무엇일까? 무슨 이야기를 하려고 어떤 느낌을 주려고..?

<이 향숙의 대역에서 시작한 롱테이크는 김상경과 백광호에서 멈춘다>

위의 스샷이 6장이니까 편하게 숫자로 부르겠다. 먼저 1번사진을 보면 이향숙의 대역이 거울을 보는 장면부터 시작한다. 이것은 설정샷을 겸한 것으로 수많은 사람들 중에서 이 사람을 보여주는 것이 이 상황을 설명하기에 가장 좋은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관객들에게 이 여장한 또라이는 뭐지? 라고 의문을 제기시킨 다음에 2번장면에서 송강호가 불러다가 이향숙 팻말을 목에 걸어주는 것으로 이 상황의 설명을 마친다. 즉, 처음부터 이향숙이라는 팻말을 목에 걸지 않고 있다가 일부러 송강호가 불러서 걸어주는 설정을 한것이다. 이러한 의도는 이후에 카메라가 자연스럽게 여장남에서 송강호로 따라가게 만들어주는 연결고리 역할을 한다.

그리고 언제나 시끄럽게 말하고 다니는 송강호의 비중이 확실히 줄어든 3번 샷을 보자. 동영상을 보면 3번 장면에서 변희봉의 목소리를 들려주기 위해 송강호가 일부러 거의 립싱크를 하고 있는 것을 알수 있다. 롱테이크에서 선택적으로 사운드를 들려주기 위한 설정인 것이다. 분명히 송강호가 뒤돌아서며 씨발이라고 무엇무엇을 말하는데 거의 들리지 않는다.

그리고 4번에서 드디어 카메라는 위에서 내려온 김상경을 따라간다. 이 부분이 이 롱테이크의 의미라고 생각한다. 즉, 이 장면을 해석해 보면 이향숙의 대역으로 현장 재연까지 할정도로 범인을 잡았다고 생각하는 송강호와 조형사와 변희봉 이 세명이 주도하는 수사에서 이제 김상경에게 관객을 주목시켜 주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이제까지 송강호 위주로 펼쳐졌던 이야기가 김상경을 위주로 펼쳐질 것이라는 암시이다.

5번 6번을 보면 결국 신문기자에게 사진을 찍는 3명의 멍청이들을 뒤로 하고 김상경이 혼자서 백광호가 진범이 아니라는 논리적 근거를 찾아내는 장면을 보여준다. 순간적으로 백광호의 손으로 줌인해 들어가는 카메라 워킹을 통해서 관객들에게 중요한 디테일을 놓치게 하지 않는 센스도 보여준다. 그리고 결국 백광호를 용의선상에서 제외시키고 새로운 경찰 서장과 함께 김상경이 수사의 새로운 실권을 잡게 된다.

송강호외 2인과 김상경을 완벽하게 분리하는 이러한 설정을 통해서 둘의 대립관계를 형성 시키고 관객에게 김상경에게 주목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주는 장면이 바로 이 롱테이크의 의미인 것이다. 한 호흡에서 보여주는 실패한 수사와 논리적인 오류를 제기하는 이 장면이 컷으로 나눴을 때는 의미가 훨씬 퇴색한다고 보여지기 때문이다.


현대 영화의 컷들의 90%이상이 기본적인 연속 편집으로 되는 것은 어쩔수 없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보이는 점프컷들이나 순간적인 시간을 뛰어넘는 편집이 어렵고 더욱 중요한 것이다.

살인의 추억에서 송강호와 김상경의 첫만남이 그러하다. 관객들이 이미 알고 있는 사실은 굳이 보여줄 필요가 없다. 그리고 현대의 관객들은 이제 어떤 시간대를 뛰어넘어 보여줘도 왠만하면 알아듣는다. 관객이 알아채지 못하게 하는게 최근에는 더 어렵지 않나 생각될 정도이다.

<이 장면은 프레임인 프레임이라는 쓸데 없는 이름으로 분류되는 문법>

송강호가 김상경을 두들겨 패서 끌고 오는 장면은 자동차의 백미러로 포착된다. 이것은 프레임인 프레임이 가지고 있는 상징적이거나 미학적인 장면이라기 보다는 단순한 영화적 유흥이라고 보여진다. 단순히 찍는것보다 더 재미있는 장면이 구성되기 때문이다.

<아무튼 송강호의 수갑을 보고 김상경은 묻는다. '너 형사야?'>

영화에서 김상경이 송강호에게 너 형사야? 라고 묻는다. 하지만 이 이후의 장면은 굳이 보여줄 필요가 없다. 관객들은 송강호가 이미 형사인 것을 알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봉준호 감독은 과감하게 시간대를 뛰어넘는다. 송강호와 김상경의 오해가 풀린 후로 훌쩍 말이다.

이러한 편집이 가지는 의미는 명확하게 말해서 송강호와 김상경의 첫만남을 '악연'으로 표현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언제나 그렇듯이 오해는 풀리기 마련이다. 하지만 오해가 생기는 장면은 재미있지만 오해가 풀리는 장면은 재미 없다. 그렇기 때문에 봉준호는 오해를 푸는 장면을 굳이 보여주고 싶어하지 않았다.

하지만 오해가 풀린후에는 다시 재미있는 장면이 있다. 바로 미안해하는 송강호의 모습이다. 때문에 봉준호는 굳이 김상경이 너 형사야? 라고 물은 직후에 송강호의 미안해 하는 모습으로 편집한다.

물론 촬영본이 실제로 얼마만큼 있는지는 알수 없다. 애초에 스토리보드에 이만큼만 찍히도록 계산 되어 있었는지 아니면 좀더 있는지 과감하게 잘라낸 것인지. 하지만 이 부분의 편집이 상당히 깔끔하고 세련되어 보인다.

오해를 푸는 구구절절한 설명씬을 빼버리고 둘의 '악연'만 표현한채로 서로에게 자연스럽게 부딪히게 되는 설정을 위해서 필요한만큼 많지도 적지도 않게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실 이렇게 한씬이지만 순간적으로 시간을 뛰어넘는 장면을 구사하기는 쉽지 않다. 장소가 이동한 것도 아니며 인물이 이동한 것도 아니기 때문이며 이것을 옛날의 많은 단편영화에서는 시계를 보여준다는 촌스러운 설정샷을 이용하기도 했다. 하지만 영화의 흐름을 끊지 않고 단 한번의 컷으로 넘어가는 이러한 시간의 압축은 수많은 영화 학도들이 배워야할 깔끔한 편집 방법이라 생각한다.

김상경의 질문에 대한 한참 뒤에 나오는 송강호의 대답.
이것이 이 편집의 방법이라고 말할 수 있겠다. 문답편집이라고 말하면 되려나? 대사는 분명 영화가 가지고 있는 고유하고 강력한 무기이다. 이것을 편집에 이용하는 이러한 방법에 대해서 많은 연구좀 누가 해줬음 좋겠다.


봉준호 감독의 살인의 추억에서도 비슷한 몽타주가 등장한다
아주 먼 거리에 있는 두 씬의 동작을 마치 더블액션으로 편집한 것 처럼...
이전의 씬에서 행한 행동이 마치 연속동작처럼 다음 씬으로 펼쳐지는
그렇게 감독은 중간의 이야기를 생략한다

<마약을 끊으려는 마크는 너무나 심심해한다>

토미를 마약에 빠뜨리고 아이가 죽고 스퍼드만 감옥에 갔다
이 모든것을 마크는 심심하다고 표현했지만 아마 마약을 하지 않고는 견딜 수 없었을 것이다 영화는 마크의 1인칭 나레이션으로 흘러가지만 좀처럼 그의 감정은 잘 드러나지 않는다

그리고 혼자서 심심하다고 장난을 치던 마크는 담벼락위에서 갑자기 다이빙을 한다

<그리고 바로 도착하는 곳은 스와니의 마약가게>

앞의 씬에서의 담벼락과 이 집안이 같은 공간이 아니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다
이것은 앞에서 말했듯이 마치 연속편집처럼 보이는 몽타주인 것이다

이것으로 대니보일이 하려는 말은 너무나도 명확하다
그야말로 마크 렌턴은 마약을 하기위해 단숨에 '날아온 것이다'
이 씬이 2009/03/19 - [video grammer] - 영상문법 - rhyme 맞추기 <트레인스포팅>
와 비교되는 점을 찾아보자

라임 맞추기에서 서로 연관성 없는 씬들이 같은 동작으로 맞춰졌다면 이번 장면은 서로 연속된 장면처럼 연결 되어 있다는 것이다

살인의 추억에서 마지막 살인이 일어나고 화가난 김상경이 박해일을 찾아가 문을 열고 다짜고짜 발차기를 날린다 그런데 발차기를 맞은 박해일은 어찌된 일인지 비오는 철길에서 나뒹군다 말그대로 뒤지게 맞으면서 철도길까지 왔다는 표현이다

이것과 똑같이 트레인스포팅에서 표현된다
친구들에 대한 죄책감이 많이 표현되지는 않았지만 관객이 오히려 먼저 느끼고 있었을 것이다 그래서 이렇게 마약을 위해 단숨에 날아온 표현에 어쩌면 관객들은 반가움을 느꼈는지도 모른다

에이젠슈타인은 몽타주는 컷과 컷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새로운 의미라고 생각했다
이것은 말그대로 이전의 뛰어내리는 컷과 뒤에 내려앉는 컷이 충돌 하면서 그의 마약을 향한 갈망을 표현하고 여기까지 오게되는 과정의 생략을 통해서 마크렌턴의 머릿속에 오직 '마약'만이 존재 했음을 말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