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한국에서 굉장히 사랑받은 이누도 잇신의 영화 '조제 호랑이 그리고 물고기들'의 이별장면이다

조제 캐릭터와 스토리에 엄청나게 많은 메타포를 심은 영화이지만 지금 소개 할 것은 나에게 가장 인상깊었던 이별장면의 반어법이다

 

한국의 멜로영화라면 이렇게 찍을수 있을까 싶을정도로 감정을 절제하고 있다

둘의 처음이자 마지막 여행 직후 츠마부키 사토시의 '그후로 몇개월을 더 만났다'라는 나레이션과 함께 이별장면이 보여진다

정말로 아무렇지도 않게 이별하는 그둘을 보며 관객들에게 우리는 아무렇지도 않다 슬프지 않다라는 것처럼 이야기한다












<이별장면에서 그들은 야한책을 건네 받으며 웃음을 띈다>


조제를 두고 혼자 나서는 츠마부키의 나레이션이 헤어진데에는 여러가지 이유가 있다고 말한다

 <아무렇지도 않게 집을 나서는 츠마부키 사토시>

하지만 이 모든것은 반어법이었다

우에노 쥬리와 걸어가던 츠마부키 사토시는 갑자기 울기 시작한다 그리고 헤어진 이유에 대해서 솔직하게 말한다 자신이 조제를 버린거라고

 <길을 걷다가 갑자기 울기 시작한다>

이별장면에서 누가 감히 눈물한방울 안보여주고 헤어진 이유와 과정을 설명하지 않은채 마지막에 이렇게 쌩뚱맞게 찍을 수 있을까

하지만 이영화가 큰 사랑을 받았던 것에는 나는 이 압축과 반어법이 크게 작용해다고 믿는다

스릴러의 거장 히치콕은 때로는 보이는것보다 보이지 않는것이 더 무섭다고 말했다

이것을 그대로 적용하면 드러내는 것보다 보이는 것보다 드러내지 않고 보이지 않는 것이 더 슬프고 가슴아플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아무렇지도 않게 츠마부키 사토시를 떠나보내는 조제의 찢어지는 감정을 우리는 알고 있다

하지만 감히 그를 붙잡을 수 없다는 것도 알고 있다

그녀를 떠나는것은 비겁한 짓이라고 말할 수 있다는 것을 츠마부키도 알고 있다

하지만 그들은 그렇게 말한다

그저 슬프지 않은것 처럼 아무렇지 않은것처럼 그렇게 이별을 한다

이것이야 말로 이별장면의 완벽한 반어법이라고 말하고 싶다

 

조금 다른 이야기를 하자면 중간에 몇개월을 더 만났다는 이야기의 압축에 대해서 말하고 싶다

결과적으로 영화에는 조제와 사토시가 이별하기 까지 다투고 상처주고 서로의 사랑이 변이 되는 과정을 보여주지 않고 있다

갑자기 이별장면을 과감하게 보여주는데 이러한 압축을 통해서 2가지의 효과를 나타낸다

 

첫번째로 헤어진 연인과의 아름다운 기억만 간직 되듯이 마치 그렇게 조제의 가슴에 남을 것 같이 보여진다는 것이다

츠마부키에게는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언제나 죄책감이 남아 있을수도 있다

나중에라도 그녀를 혼자두고 그렇게 떠난것을 자책하지 않을수 없다

하지만 이 영화의 주인공이 조제는 어떤가

처음으로 사랑을 하게 하고 태어난 것을 감사히 여기게 하고 혼자서 살아갈수 있는 힘을 준 츠마부키에 대한 아름다운 기억만 간직하게 하고 싶었을것이다

그래서 감독은 과감히 그들의 이별까지의 여정을 압축한다

 

두번째 효과는 그들의 헤어진 이유데 대한 설명이다

과연 그들을 어떻게 이별하게 해야 하는가 어떻게 영화를 결말지어야 하는가는 감독에게 큰 문제이다

하지만 문제는 간단하다

모든 관객이 둘이 제발 헤어지지 말라고 빌며 영화를 본다

그것은 관객들은 둘이 헤어질 이유에 대해서 분명히 알고 있다는 반증이다

아무것도 보여지지 않고 츠마부키 사토가 자신이 조제를 떠난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만으로

관객들은 그들의 이별의 이유를 충분히 알수가 있다는 것이다

이별의 여정을 보여주는 것 보다도 오히려 간단하게 파악할수 있는 그들 사이의 원론적인 문제인 것이다

 

물론 감독은 그들을 이별시키지 않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이것은 조제의 사랑이야기가 아니라 조제의 인생이 이야기를 주제로 삼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별후에 묵묵히 장을 보고 혼자서 식사준비를 하는 조제를 보여주는 것은 바로 그런이유라고 생각한다

 

과감히 이별의 여정을 압축해서 건너뛰고 그 직후 반어법으로 이야기를 하면서 이누도 잇신 감독은 이영화의 결말을 누구나 예측할 수 있지만 그럴수 없는 이야기로 만들어냈다


<씨네마틱에 기사회된 글입니다>

내가 문법을 좋아한다거나 잘하는건 아니었지만 이것은 생각난다

영어에서 강조문은 문장의 제일앞에 강조하고 싶은 단어가 나온다는 것

 

이런 형식의 강조를 하는 영화들이 꽤있다

온통 은유로 뒤덮인 영화 '아무도 모른다'도 마찬가지이다

 

이 영화의 타이틀 시퀀스는 핑크색 캐리어를 가지고 전철을 탄채 어디로 가는 누더기 꼬마 남자애와 얼굴이 확인되지 않는 여자가 아무말도 없이 흔들리고 있는 씬이다

<핑크색 캐리어를 들고있는 소년과 맞은편에 앉은 소녀>


하지만 그 직후 주인공이 엄마와 함께 새집으로 이사가기 때문에 누더기 모습은 잊은채

영화를 보게 된다

<소년앞에 앉아있는 소녀의 얼굴은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영화의 마지막에 도달하면 이것이 엄마가 떠난 몇달간 옷이 찢어지고 씻지못해 더러워지고 그러다 하찮은 이유로 죽어버린 여동생을 우연히 알게된 누나와 공항에 묻어주러 가는 씬이라는걸 알게된다

 

영화에서 결말을 내는 이 사건을 제일 처음에 보여줌으로써 스토리 병치상의 강조를 시도하고 있다

또한 이 타이틀 시퀀스에서 주인공의 얼굴보다는 구멍난 티셔츠, 때가 꼬질꼬질한 손으로 캐리어를 어루만지는 모습을 보여줌으로써 이미 초반에 모든것을 보여주고 설명하고 있다


<때가 낀손으로 캐리어를 어루만지고 있다>

<구멍난 옷이 계속해서 보여진다>
 

이 씬이 타이틀 시퀀스에 나오는 이유 또한 은유적표현이라고 보는데

제목 '아무도 모른다'처럼 영화에서 그들은 어머니가 떠나서 어린 아이들끼리 힘들게 살아간다는걸 아무 도 모른다

그리고 여동생의 죽음역시 아무도 모른다

아니 그녀가 그의 여동생이라는것 조차 아무도 모른다

이 장면에서 전철안의 사람들은 그들이 누구인지 왜 저렇게 행색이 궁한지 캐리어에 죽은 여동생이 들어있는지 아무도 모른다

 

제목, 주제, 앞으로 일어날 스토리의 암시를 모두 담은 이 장면을 타이틀 시퀀스로 배치하면서 이영화는 이렇게 이 장면 자체를 강조하고 있다

<씨네마틱에 기사화된 글입니다>


어법
영화의 표현방식을 영상언어로 대치 시킬때
영화에도 분명히 은유법이라는 표현방식이 존재한다

언어에서 은유란 '나는 개다'와 같이 하나를 다른 하나에 빗대어 표현할때 쓴다
그렇다면 영상에서의 은유란 무엇일까

영화에서 은유법으로 표현되는 장르는 흔히 멜로나 드라마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은유라는 것은 다분히 시적인 표현이고 영화에서 쓰이는 은유법들은 보통 사람의 감정을 대놓고 드러내지 않는 표현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먼저 위에 잘라놓은 영화를 보자
이것은 '아무도 모른다'의 한장면이다
어머니에게 버림받아 생활할 돈이 없어진 소년이 어머니의 옛남자를 찾아가 용돈을 받는 장면이다
중요한 것은 캔음료 위로 돈을 쥐어진 소년의 손이 클로즙업 되고 남자가 들어간뒤
롱샷으로 보여지는 소년의 행동이다

<다마시 커피캔 위로 돈을 쥐고있는 소년의 손 클로즈업>

소년은 다 마신 캔음료를 쓰레기통에 던져서 넣으려고 하지만 벽에 부딪혀 실패하고 만다
그리고는 그것을 다시 주워 넣는다

<쓰레기통에 커피캔을 던지는 소년 롱샷>

영화를 본 사람은 알겠지만 소년은 빈캔을 쓰레기통에 던져 넣는 성격이 아니다
자연스럽게 관객들에게도 느껴지지만 이것은 어머니의 옛남자에게 돈을 얻어낸 소년의 기쁨을 나타내는 장면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을 어째서 '은유' 라고 하는가
영화를 만들때 사람의 기쁨은 표현하는 방법이 여러가지가 있겠다
밝게 웃는 얼굴의 클로즈업을 보여준다면 그것은 다름아닌 '직설법'이 될것이다
그리고 만약 갑자기 하늘을 날아 오른다면 그것은 '과장법'이 될것이다
깡통을 던진다는 행위자체는 앞뒤 문맥이 없다면 결코 '기쁨'이라는 감정을 내포하지 않는 행동이다 그래서 나는 이것을 '은유'라고 본다
만약 보통의 기쁨을 표현할수 있는 행위 즉, 달리기라던가 점프라던가의 행동이 보여진다면 나는 이것을 '직유'라고 표현 할것 같다

동생들과 밥을 먹고 생활할수 있는 조금의 돈을 얻어낸 소년의 기쁨을 감독은 빈깡통 던지기로 표현한다
기쁜데 왜 깡통을 던지나 라고 말한다면 나는 설명할수 없다
아마 심리학적 지식이 있는 사람이라면 할수 있겠지만
하지만 모두들 그런적이 있을 것이다 기분이 업되서 무엇인가를 던져본적이..

감독은 아무것도 아닌 깡통을 던지는 장면을 통해서 주인공의 기쁨을 드러내고 있다
이처럼 이 영화 '아무도 모른다'는 마치 제목처럼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것을 표면적으로 보여주지 않는다
그저 하나하나의 사건이 등장인물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남모르게 은유적으로 조금씩 표현하고 있다


<씨네마틱에 기사화된 글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