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흔히 사극이라 부르는 역사극은 당연하거니와 지금 시대를 조금 거슬러 올라간 시대극에도 당시의 풍경을 그대로 재현하는 것.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경험하지 못한 남의 이야기도 마치 내가 본 풍경처럼 느껴지는 것.

 

 

 

옷차림은 오히려 주연급 배우들은 무난하다. 부자 선배야 워낙 명품을 입으니 시대를 안탄다 치지만 주인공 승민은 오히려 멋을 부리지 않아서일까?

오히려 같은과 친구보다 세련된 느낌이 든다.

 

 

 

코미디 영화가 아닌이상 주인공의 복장을 90년대 에쵸티 젝스키스 풍으로 할순 없지만 친구라면 다르다.

이 영화에서 납득이라는 캐릭터가 가진 강력한 무기는 언행뿐 아니라 그 시대를 느끼며 웃음짓게 만드는 패션 센스에 있다.

 

깨알 같지만 두번째 사진 왼쪽에 붙은 비디오가게의 포스터를 보자 자세히 보면 브루스 윌리스라는 한글로 적힌 이름과 옛날 영화들이 잔뜩 붙어 있다.

 

이 영화는 이런식의 디테일한 부분을 꽤나 신경쓰고 있다. 이것은 물론 관객이 극에 몰입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한 장치인 것이다.

 

 

 

역시 주연 남녀의 패션은 지금의 대학생이라고 봐도 (촌스럽나?) 그건 아닌가?

아무튼 그래도 일단 확실히 완벽한 시대고증적은 아니라고 보여진다.

(너무 촌스러우면 관객들이 오히려 몰입하는데 방해가 될 수도 있으니까)

 

 

 

 

 

두꺼비 소주와 대학교에 붙은 pc통신 무료강좌 후덜덜하다.

 

사실 이런류의 영화가 해야할 당연한 일이고 더구나 건축학개론이라는 제목인 만큼 주변 풍경에 많이 신경 쓴 모습이 보인다.

 

수지와 뒤에 선배가 입은 폴라티... 저런거 요새 안입잖음? 스티브 잡스형이 입던 스탈아님?

 

물론 영화에 따라서 이런 고증은 언제나 선택의 문제이다.

완벽하게 똑같이 고증하는 것이 좋을 것인가 아니면 어느정도 판타지를 유지해 주는 것이 좋은 것인가? 그 사이에서 고민해야 하며 건축학개론은 꽤 적절했다고 보여진다.

 

납득이 같은 패션을 입은 승민과 S.E.S같은 패션과 염색머리 수지는 좀 아니지 않는가?

 

정확한 시대적 배경이 언제인지 모르겠지만 이 부분이 어느정도 판타지로 채운 것인지 궁금해진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