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가 시작되고 시간과 공간적 배경이 보인다. 화면에 COPACABANA라는 클럽이 보이고 그 밑으로 자막으로 New York City 1962라고 쓰여있다.
1962년 미국을 배경으로 만들어진 이 영화가 재밌는 점은 링컨 대통령이 남북전쟁을 승리로 이끌고 노예해방 선언을 한 것이 1863년 1월 1일로부터 정확하게 100년이 지나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영화의 마지막 그들은 크리스마스 파티를 하고 있다 즉 1962년의 12월 끝자락이라는 이야기다.
미국은 1861년부터 4년동안 남북으로 갈라져 내전을 치렀다.
그림에서 왼쪽에 미국의 국기가 보인다. 이것은 당시 북부군이 미국의 국기를 그대로 사용한 것이고 남부연합은 미국으로부터 독립하겠다며 새로운 깃발을 내걸고 싸운 것이다.
이 전쟁에 여러 가지 원인이 있다고 이야기 하지만 대부분 노예제도를 둘러싼 싸움이었다고 알려져 있다.
당시의 미국 북부는 공업화가 진행되어 흑인이 노예보다는 임금노동자로서 살아가는 경우가 많았고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시민들이 노예제도에 대해 반대하고 있었다. 더구나 북부는 이러한 사상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법과 정치가 강력한 중앙정부에 의해 미국 전역에 영향을 미치기를 바라는 체제였다.
그러나 남부는 목화밭을 재배하는 등의 농업이 중심이었고 그렇기 때문에 흑인들이 노예로 일하는 경우가 많았다. 남부 사람들은 북부 사람들보다도 훨씬 노예제도에 대해 호의적이었고 그들은 각 주의 독립성이 중앙정부의 권력보다 강하기를 바랐다. 이런 이유로 미국은 남과 북으로 갈라져 4년에 걸친 전쟁을 치르게 된다.
결국 북부가 승리하고 그 당시 링컨 대통령은 노예해방 선언을 통해 미국의 노예제도를 법적으로 사라지게 만든다.
결국 노예제도가 사라지고 100년이 지나고 나서도 미국의 남부에서는 흑인에 대한 차별이 얼마나 심했는가를 보여주는 영화가 바로 '그린북'이다.
법과 제도는 바뀌었지만 사람들의 인식은 한참을 뒤쳐지고 있었다.
주인공 토니는 자신의 집에 일하러 온 흑인 두 명이 사용한 컵을 쓰레기통에 집어넣는다.
이러한 그의 모습은 상당히 애매하다. 완전히 흑인을 차별하며 살지는 않지만 그들이 사용한 컵을 자신의 가족이 사용하는 것은 허용치 않는 것이다. 그리고 이런 모습이 바로 그 당시 미국 백인들의 모습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장면이다.
셜리 박사와 트리오라며 같이 일하는 그들은(백인) 일 이외의 시간에 셜리와 함께하지 않는다. 즉, 셜리의 능력은 인정하지만 사람으로서 '친구'로 받아들이기는 쉽지 않은 것이다.
'동료'와 '친구'로서의 개념은 영화 초반 관객들에게 보이는 장면이 있다.
자신이 모자를 숨겨놓고 어렵게 찾은 듯 로스쿠도에게 갖다 주는 토니. 고맙다며 로스쿠도가 주는 돈을 거절하는 토니에게 '앞으로 로스쿠도라고 부르지 마라. 이젠 니 친구 지오다'라고 이야기한다. 이 장면은 토니가 자신의 문제해결 능력을 어필하는 것을 얼마나 잘하는지 보여주는 에피소드이면서 동시에 '친구'로서의 거리감에 대해 이야기 한다.
토니가 스스로 원할 경우 '친구'가 되기 위한 능력이 상당히 뛰어나다고 보이는 것이다.
영화에서 나오는 백인들의 차별은 완전히 모순 덩어리다. 법적으로는 평등하지만 실제 그들의 마음속에서는 그렇지 않은 것처럼 공연을 하는 것은 초대했으니까 당연하지만 그 이외의 부분, 특히 '살아가는' 부분에서는 아직도 노예와 별반 다르지 않은 차별을 한다.
하긴 이 영화의 제목이 그린북이니까... 미국의 남부에서 흑인이 갈 수 있는 숙소와 식당을 알려주는 안내책자가 따로 있는 정도니까.
이렇게 영화는 모순으로 가득 차 있다. 셜리와 같이 일은 하지만 일상은 함께 하지 않는 것처럼 그 당시 백인들은 흑인에 대해 '사람'으로서가 아닌 '기능'으로서 대한다는 인상이다. 그들의 기술과 능력은 인정하지만 사람으로서 사귀는 것은 백인들끼리 흑인은 흑인끼리라는 것이다.
근데 얼마 전 어스의 전작 겟 아웃이라는 영화를 보면 100년이 아니라 150년이 더 지난 지금도 그런 부분이 상당히 남아있는 것 같다. 생각해보면 미국에서 최초의 흑인 대통령이 탄생했지만 그것이 '흑인'자체를 친구로 인정한 것일까 아니면 대통령이 될만한 오바마의 능력만을 인정한 것일까?
하지만 이 영화에서는 바로 그러한 점을 해결한다.
토니는 다르다 영화 속에서 유일하게 셜리와 함께 밥을 같이 먹고, 술을 마시고 마지막에는 숙소도 함께 한다.
그리고 자신의 집에 그를 들여 크리스마스 파티를 함께한다.
영화에서 등장하는 모순된 차별을 행했던 토니는 처음부터 그러지 않았던 자신의 아내 들로리스와 똑같은 마음이 되는 것이다.
여담이지만 둘의 연결고리를 위해 등장한 켄터키 프라이드 치킨.
켄터키 출신인 링컨을 떠올리게 하는 상징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유튜브 컨텐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상문법] 흑인이라는 프레임에 갇힌 크리스 <겟 아웃 (Get Out, 2017)> (0) | 2019.04.10 |
---|---|
[영상문법] 흑인을 바라보는 카메라의 시선 <겟 아웃 (Get Out, 2017)> (0) | 2019.04.10 |
[영상문법] 빛과 시간의 미장센 <아비정전 : Days Of Being Wild, 1990)> (0) | 2019.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