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가위 감독의 영화 아비정전은 한없이 우울하다. 

주인공 아비의 인생과 내면을 표현하기 위해서겠지만 영화의 시작부터 마지막까지 빈틈없는 미장센으로 인물들을 촬영해낸다.

 

영화속 인물들은 처음부터 건물안에 갇혀지낸다. 아니 어쩌면 아비가 어머니에게 그랬던 것처럼 보호를 받는것일지도 모른다. 물론 이러한 관념은 아비가 보호를 받는 동시에 갇혀지내는 느낌을 전달한다.

그들은 건물에 갇혀지내기 때문에 햇빛에 완전히 노출되는 경우가 없다. 빛은 인물들은 완전히 밝게 비추지 않고 그들은 은 언제나 빛과 그림자가 공존하는 공간에서만 존재한다.

사람의 내면에 언제나 그림자가 존재하는 것 처럼 영화속 인물들을 촬영하는 방식은 완전히 밝고 쾌활한 모습으로 비추지 않는다. 

건물안에 있는 인물들에게 그림자가 지는 것은 당연하다. 

그렇다면 아비정전에는 야외씬이 없을까?

 

어째서인지 야외에서 보여지는 그들의 모습은 언제나 비가 내리거나 밤이다.

마치 뱀파이어처럼 인물들은 철저하게 낮의 햇빛으로부터 소외된다.

인물들의 내면에 있는 어둠처럼 어딘가 자유롭지 못한 답답한 마음처럼 그렇게 영화의 미장센은 일관된 장면으로 디자인된다.

 

아비가 드디어 필리핀으로 친어머니를 찾아간 장면. 

자신을 만나주지 않고 문전박대당한 그의 갈곳없는 분노와 실망감을 왕가위 감독은 이전까지 한번도 보여주지 않은 대낮의 야외씬으로 표현한다. 

영화에서 처음 등장하는 그림자속으로도 숨을 곳 없는 공간에 노출된 아비는 관객들에게 벌거벗겨진 기분으로 길을 걸어간다. 

자신이 버려진 자식이라는 것을 알고있어도 거부하고 싶었던 그에게 이 문전박대는 인정하기 싫은 현실을 인정하지 않을 수 밖에 없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저 날아가는 것, 살아가는 것 밖에 할 수 없었던 다리없는 새는 이제는 더이상 날아갈 의미도 살아갈 의미도 가질 수 없게 된다.

 

영화속에는 시계가 굉장히 자주 등장한다.

물론 이것은 인물들의 삶을 시간에 빚댄 미장센이다.

아비와 수리진이 함께 공유하던 시간은 오후3시였으며 그 시간대를 루루에게 빼앗기고 만다. 영화속에서 루루가 몇시냐고 묻자 아비가 3시라고 대답하는 장면이 나온다. 아무 의미 없어 보이는 장면이지만 왕가위 감독은 아비가 수리진과 함께였던 그 시간을 루루가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표현한다. 

하지만 아비는 그 시간대에 머무르지 않는다. 영원히 그 시간속에서 아비와 함께 지내고 싶었던 수리진이나 자신의 삶에 맞추어 아비와 살아가려고 했던 루루역시 아비를 붙잡지 못한다.

 

그리고 경찰관과 수리진이 공유하는 시간은 밤이다. 밤 열시에 늘 공중전화 앞에 있을테니 전화하라던 경찰관 그리고 영화의 마지막 장면에 가서야 그에게 전화를 건 수리진. 하지만 경찰관은 이미 선원이 되었고 그들의 시간 역시 어긋난다.

 

영화속에서 아주 흥미로운 장면을 발견했다. 아비가 수리진에게 자신의 꿈을 꾸게 될거라고 한 다음날. 아비를 생각하며 한잠도 이루지 못한 수리진이 꾸벅꾸벅 졸고 있는 이 장면에서 시계는 의도적으로 바늘을 보여주지 않는다.

둘의 만남이 오후3시인 것을 어차피 알게 될 것이고 이 장면에서 미리 보여줘도 전혀 문제가 없을 것 같지만 왕가위 감독은 구태여 타이트한 프레이밍으로 시간을 감추어 놓는다. 

어째서일까? 마치 바늘이 없는 시계처럼 아비에게 시간은 아무런 의미가 없었던 것을 의미하는 지도 모르겠다. 

 

왕가위 감독의 영화는 언제나 이렇게 좁고 답답한 미장센속에서 진행된다. 

그의 영화가 언제나 마음 한켠에 해소되지 않은 갈증을 주는 것은 이런 이유에서인지 모르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