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에서 쓰는 3인칭 관찰자 시점을 영화에서도 적용하는 사례들이 있다. 소설은 눈으로 보는 것이지만 텍스트기 때문에 누군가의 시점에서 항상 서술해줘야 한다. 하지만 이와 다르게 영화는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샷이 3인칭 시점으로 촬영된다고 해도 무방하다. 하지만 굳이 '관찰자'를 넣어서 그에게 영화의 주인공과 그의 삶을 보고 듣게 하는 것은 관객을 영화의 안으로 좀더 끌어 당기기 위해서다.
<사실 이 남자는 영화에서 거의 엑스트라 급이다>
영화에서 이렇게 주인공을 인터뷰하는 사람을 넣는 다는 것이 바로 대표적인 3인칭 관찰자 시점이라고 할 것이다. 보통 이러한 경우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사건을 이사람에게 설명해서 관객을 영화 안으로 끄집어 넣는다. 하지만 이 영화 프라이멀 피어에서는 다르다.
이 기자의 역할은 딱 중간까지다. 중간까지 이 남자가 이 영화에 나오는 이유는 바로 변호사인 리차드 기어의 캐릭터를 관객에게 확실하게 이해 시키기 위해서다. 영화의 도입부인 위에서 변호사는 이런 말을 한다. '내게 있어서 진실이란 12명의 배심원드에게 내가 심어주는 인식'. 하지만 정말 그럴까?
영화는 계속해서 이 3인칭 관찰자를 집어 넣는다. 그리고 맨처음에 말했던 이 '진실'에 대한 인식이 리차드 기어의 캐릭터라고 믿는다. 하지만 그가 진심으로 피고를 무고하다고 믿고 그를 돕기 위해 죽을똥 살똥 노력하고 있다는 인터뷰를 끝으로 이 기자는 더이상 나오지 않는다.
그렇다 이 남자는 리차드 기어에게 그가 말하는 '진실'과 변호를 하는 사상을 듣고 싶었던 것이다. 그리고 감독이 이 사람을 영화에 집어 넣은 것은 그것을 관객에게 직접 이야기 해주고 싶었기 때문이다. 주인공의 입을 통해서.
하지만 이렇게 알려준 이 변호사의 캐릭터야 말로 영화의 허무하고 화가나는 결말을 위한 완벽한 초석인 것이다.
지금부터는 스포일러
(솔직히 13년 된 영화를 지금에 와서 스포일러라고 하는 것도 웃기다)
영화는 처음부터 에드워드 노튼의 말에 따라 제 3자인 '진범'을 찾는 형식처럼 보여진다. 영화는 당연하지만 관객을 주인공인 리차드 기어가 변호하는 노튼의 편이 되게끔 유도한다. 그리고 우리는 당연히 그가 무고 할 것이라고 믿는다.
그렇다면 영화는 리차드 기어가 진범을 찾아내어 그것을 밝히는 카타르시스의 영화라고 생각하며 보게된다. 하지만 영화 중간에 밝혀지는 진실은 바로 에드워드 노튼이 '다중인격'이라는 사실이다. 그리고 살인은 그의 또다른 자아가 저지른 것이었다.
관객은 이 새로운 사실에 영화적 희열을 느낀다. 그리고 영화의 방향은 새롭게 변모한다. 이제는 리차드 기어가 이것을 어떻게 법정에서 납득시켜 승리를 따내느냐이다. 그리고 역시 영화는 그렇게 흘러간다.
하지만 영화의 결말은 또 다시 한번 바껴 버린다. 마지막에 에드워드 노튼은 고백한다. 사실 다중인격 따위는 없고 자기가 처음부터 착한척 연기한 것이라고. 이 사실에 선량한 관객들은 너무나 충격을 받는다.
그리고 순수하게 그를 돕고 싶었던 순진하게 그의 말을 믿었던 리차드 기어를 매개체로 충격의 100센트를 바로 관객들이 흡수한다. 바로 이 충격적인 결말을 조금의 여과도 없이 아니 배가해서 관객에게 전달하기 위해 리차드 기어의 캐릭터를 설명한다. 그리고 그것의 효과적인 구성을 위해 이 3인칭 관찰자인 '기자'를 배치한 것이다.
'기타 > video gramm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상문법 - 영화의 시작 <귀 없는 토끼, Rabbit without ears> (0) | 2009.06.02 |
---|---|
영상문법 - 구도의 미쟝센 <프라이멀 피어, Primal fear> (2) | 2009.05.26 |
영상문법 - 전혀다른 문체 핸디캠 <바닐라 스카이, Vanilla sky> (0) | 2009.05.23 |
영상문법 - 영화시작의 메타포 <바닐라 스카이, Vanilla sky> (0) | 2009.05.21 |
영상문법 - 미장센 <유주얼 서스펙트, The usual suspects> (0) | 2009.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