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소개 할 내용도 역시 '몽타주'이다
이 용어에 관한 설명은 앞에서 많이 했으므로 생략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앞으로도 이러한 몽타주 장면은 굉장히 많이 올리게 될것 같다

먼저 위의 영상을 보도록 하자
어느 부분의 컷이 몽타주되었는지 알겠는가?
앞의 1분동안을 뒤의 한컷을 위해 할애했지만 앞의 이야기 문맥을 이해 시키기 위해서 어쩔수 없었다
영화를 안본사람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길거리 캐스팅을 당한 앨리스가 하나에게 전화해서 기획사에 같이 가보자고 한다
하지만 하나는 '속여서 사귄 남자친구'가 집에와서 자신의 컴퓨터를 고쳐주고 있는 상황이라 그럴수가 없다
그래서 하나는 이제 옛날처럼 둘이서만 붙어다닐수 없다고 이야기하고 그말에 화가난 앨리스가 앞으론 전화를 안한다며 끊는다
이에 하나가 다시 전화를 끊어 넌 왜그렇게 제멋대로냐고 말하는 순간 컷이 되고 하나와 남자친구가 보러간 애니메이션에서 마치 '그래 난 제멋대로야!!'하는 것 같은 장면이 펼쳐진다

<오늘 당장 기획사로 가보자는 앨리스에게 난색을 표하는 하나>

<컷된 직후에 갑자기 나타나는 애니메이션>

내가 올려놓은 동영상 1분 15초경에 보여지는 이 컷은 분명 씬 전환 컷이다
기본적으로 영화 문법에서 배우기를 우리는 '설정샷'이라는걸 배운다
한마디로 말해서 하나의 집에서 극장으로 장소가 옮겨질때 극장 간판이라던가 전경이 보여지고 그 이후에 영화를 보는 장면이 나온다는 말이다
이러한 설정컷을 사용하는 방식은 굉장히 자연스럽지만 꽤나 오래된 방식이며 영화의 스피드와 리듬감을 없애고 느낌과 감정을 단절 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때문에 수많은 영화에서 모든 장면전환 방식이 '설정컷'으로 되어있지 않으며 이러한 방식은 감독이 선택할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이와이 슌지가 선택한 몽타주는 이 설정컷을 이용한 방식에 비해 많은 장점을 가진다
첫째로 빠른 장면 전환을 통해 리듬감을 생성한다
하나의 넌 왜그렇게 제멋대로니? 하는 직후 애니메이션에서 '그래 난 제멋대로야!!'하는 것처럼 보여지는 소년의 행동이 보여지면서 영화는 마치 한장면에서 일어났던 것처럼 리듬감있게 다음 씬으로 넘어가는 것이다

두번째로 마치 무엇이든지 장난하며 웃고 넘기는 10대 소녀들의 영화에 꼭 맞는 장면전환 방식이다
사실 애니메이션에서 소년이 하는말은 해석이 안되있어서 무슨 말인지 모르겠지만 사실은 앨리스의 대사가 나와야 하는 타이밍에 앨리스의 대사 대신에 나오기에 어울리는 말을 마치 전혀 상관 없는 애니메이션이 하는 것처럼 익살스럽게 꾸민 것이다

이러한 장면은 전에 말한 '트릭'이기도 하다
그리고 전에 소개한 하나와 앨리스에서 발레씬 뒤에 이어지는 병원 ct촬영 몽타주 역시 이러한 트릭이다
하나와 앨리스는 계속해서 관객들을 순간적으로 속이면서 새로운 의미를 생성하고 그로 인해 스토리 외적인 재미를 제공한다

잠시 원론으로 돌아가서 정리해보면 몽타주라는 것은 컷a와 b가 충돌하여 새로운 의미를 생성한다는 것이다 그래서 필연적으로 몽타주는 '트릭'이 되기가 쉽다 순간적으로 관객에게 제3의 의미를 생성하여 전달하기 때문에 그로 인해 속을 수 있다
내가 클립해놓은 이 동영상에 보면 하나의 대사 이후에 앨리스가 뭐라고 했는지 관객들은 모른다 관객에게 전달되는 정보는 단지 하나와 남자친구가 극장에 영화를 보러 갔다는 것 뿐이다
하지만 이러한 몽타주로 인해 관객은 마치 앨리스가 '그래 난 원래 제멋대로야!!'라고 말한 것 같은 느낌을 받게 된다
물론 이것은 느낌일 뿐이지 정보는 아니지만 이와이 슌지는 이러한 장면 전환을 통해 앨리스의 말을 뒤에 나올 영화와 동일시 시킨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이러한 씬을 넘기는 장면전환의 연구는 영화의 양식과 느낌을 더 풍요롭게 만든다
물론 그러한 것들이 영화의 전체적 느낌에 잘 맞아야 하지만 말이다


<씨네마틱에 기사화된 글입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