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둘이 대화하는 줄알고 지켜보는 하나>


주인공 남자를 만나기 위해 혼자서 전철을 타고 온 하나 그를 발견하지만 그는 여자친구 인듯 보이는 여자가 앞에서 엄청나게 눈웃음을 짓고 있다
위 그림처럼 하나는 처음부터 끝까지 그들을 지켜본다
하지만 이것은 사실상 둘의 대화가 아니다

<얼굴을 찡그릴정도로 밝게 웃는 여자가 마치 주인공을 보고있는것 같다>

무엇인가 책을 읽는 남자와 앞에 있는 여자는 마주보며 즐거운 대화를 나누는 것처럼 보인다.

<이렇게 애인의 존재를 카메라에 비춰주어 관객의 오해를 풀어준다>

<하지만 하나는 실망감에 고개를 숙여 이장면을 놓치고 만다>

<마지막으로 둘이 마주보고 여자가 웃는 장면을 하나에게 목격하게 한다>

사실 남자는 만담 동아리로서 책을 보며 만담을 연습중이었고 (그래서 마치 대화하는것처럼 입을 계속 움직이고 있었다) 여자는 앞에 앉아있는 자신의 남자친구와 대화중이었다. 하지만 그것을 하나의 시점으로만 보여준다 하나의 눈을 통해서 함께 바라보는 관객역시 속을수 밖에 없다. 하지만 하나가 순간 풀이죽어 고개를 떨구는 순간 다시한번 하나의 시선쪽에서 보여지는 장면은 새로운 남자의 등장이다.

주인공이 혼자서 만담 연습을 하자 여자는 이 남자애 좀 이상한것 같다며 남자친구에게 말을 하고 그것을 살펴보기 위해 몸을 일으키는 남자를 관객에게 보여준다
얼마나 재치 있는 연출인가

사소한 오해가 빚어져 스스로 실연했다고 하나에게 믿게끔 만드는 장면이다
정말로 이 직후 만난 앨리스가 실연했냐고 묻자 무언으로 답하는 하나의 심정으로 우리는 그녀가 오해를 풀지 못했다는 것을 알 수있다


사실 이 속임수는 영화의 큰 스토리를 짚어보면 크게 의미가 없다
왜냐하면 이 직후 하나는 이 남자가 만담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남자를 따라서 만담 동아리에 들어가고 결국 이 순간의 오해는 다시는 언급되지 않고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 이러한 장면은 굳이 왜 보여주는가?

첫째로 이것은 대서사시나 액션영화처럼 큰 줄기를 따라가는 영화가 아니다
10대들의 사랑과 우정을 그린 영화이니 만큼 사소한것에 웃고 사소한것에 울게 해야하는 스토리의 디테일함이 있어야 하는것이다
때문에 이와이 슌지는 한순간의 장난같은 장면이지만 이러한 장면을 통해 하나가 실연했다고 믿게하고 그로 인해 자신이 그를 얼마나 좋아하는지를 깨닫게 한다
사랑이란 것이 얼마나 사소한 것에 오해하고 혼자서 포기하게 만드는지 우리는 모두 알고 있다 감독은 그것을 말하고 싶었던 것이 아닐까..
아니 이후에도 만담동아리에 따라서 들고 남자에게 맹랑한 거짓말을 하는 저돌적인 하나의 캐릭터를 위해 일부러 영화 초반에 이런 좌절감을 심어준 것일수도 있다.
영화 내내 하나의 사랑은 계속해서 절망의 연속이기 때문이다.


둘째로 순간순간 관객을 속이는 연출은 스토리 외적인 재미를 준다
나는 이것이 이 장면을 선택한 가장 핵심적인 이유라고 말하겠다
영화의 어느 장르던 순간순간 관객을 속이는 것은 이미 많은 영화들에서 행해지며 이것은 순간적인 재미를 주는 영화의 문법중 하나이다
한단어로 정리할순 없지만 이 직후에 벌어질 일들에 대해서 관객에게 순간 오해를 시키고 그직후에 다시 알게 함으로써 영화의 스토리와는 다른 재미를 첨가 시키는 것이다
 
<고개를 숙인 하나에게 다가온 앨리스가 실연이냐 묻자 하나는 그저 사진기를 든다>

하나와 앨리스 전반에 나오는 이러한 귀여운 장면들은 이영화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형성한다 나중에 기회가 되면 이 영화에서 전체적인 분위기를 만드는 장면들만을 따로 모아 이야기 해보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