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가 종합예술이라고 불리우는 이유중에 중요한 한가지가 바로 '음악'일 것이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라는 영화에서는 배경음악을 전혀 사용하지 않은것으로 유명했다 대단한 일이다 음악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은
그만큼 음악은 영화에서 대단한 힘이다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는 영화의 분위기와 감정을 조절할 수 있는 가장 힘있는 장치이다

일각에서는 영화에서 음악의 사용이 옳지 못하다는 의견이 있다
그것은 바로 노골적인 감정의 세뇌라는 말이다
하지만 나는 음악역시 종합 예술인 영화가 선택할 수 있는 강력한 무기이므로 위의 의견과는 좀 다르다 어디에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가 중요한 것이지 무조건적인 배제는 좋지 않다 음악이 있는 부분이 있기에 음악이 없는 부분도 더 살아 날 수 있다

개인적으로 영화음악을 가장 잘 사용하는 감독을 꼽으라면 난 첫번째로 이와이 슌지를 꼽겠다 음악뿐만이 아니라 그는 영화의 사운드를 완벽하게 요리할 줄 안다

먼저 위의 영상을 보도록하자

<조그맣게 피아노 연주가 들리고 있다>

 
스피커의 볼륨을 최대한 키워놓고 잘 들어보자
물건을 훔친 죄로 어머니를 부르게된 유이치 그리고 무엇인가 터져버릴 것 같은 무거운 공기가 흐르는 상담실에는 조그맣게 옆방의 피아노 소리가 들려오고 있다

영화를 처음부터 본사람은 알겠지만 이 씬의 처음부터 쿠노가 연주하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그리고 그 옆의 상담실로 유이치와 선생님이 들어가게 된다

<어머니가 유이치를 때리기 시작하자 피아노 연주소리가 커진다>

물건을 훔쳤다는 이야기를 들은 유이치의 어머니
유이치를 째려보는 순간부터 쿠노의 피아노 연주소리는 급격하게 커진다

그리고 화면은 쌩뚱 맞게도 이일과 전혀 상관 없는 쿠노의 연주 장면으로 바뀐다
이와이 슌지는 어째서 이런 편집을 사용한걸까 

<다시 돌아온 상담실 음악은 곧 멈춘다>
  
다시 돌아온 상담실에서는 이미 진정한 유이치의 어머니가 있다
그리고 음악은 곧 멈춘다

과격하고 급박한 장면에서 격렬한 bgm을 사용하는 경우는 자주 있다
그리고 릴리슈슈의 모든 것의 경우 상당히 그로테스크한 음악을 하는 릴리슈슈의 음악이 영화의 전반에 걸쳐 사용된다

하지만 도둑질을 하다가 걸려서 어머니에게 맞는 이 장면에 슬프도록 아름다운 드뷔시의 피아노 연주곡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어머니의 흥분으로부터 음악이 커지고 진정하자 완전히 사라지는 것으로 보아 이 장면에서 '드뷔시의 아라베스크'는 유이치 어머니의 심정을 대변하고 있다
하지만 그것을 일부러 아름다운 피아노 연주곡으로 배치한 슌지 감독의 의도는 바로 어머니의 슬픔을 표현한 것이다

유이치를 때리지만 그녀의 감정은 분노라기 보다는 슬픔이다
그렇기 때문에 분노의 음악이 아닌 슬픔의 음악으로 사용된 것이다
포 미니츠의 경우 피아노 연주를 배경음악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tv라는 매체를 자주 사용한다 극중 배우가 연주회 장면을 tv에서 보고 그것을 그대로 bgm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와이 슌지는 좀더 노골적으로 사용한다

하지만 내게는 이런 방법이 더욱 고급스럽게 느껴진다
2008/12/31 - [video grammer] - 영상문법 - 셔레이드 <하나와 앨리스>
에서 경읽는 소리를 이용하기 위해 주인공을 절에 배치하듯이 피아노 연주를 이용하기 위해서 일부러 이 두 장면을 교차로 보여준다

사실 쿠노의 이 첫 등장은 영화에서 큰 의미가 있지 않다
그녀가 연주하는 곡이 드뷔시의 아라베스크로 당시에 릴리슈슈의 '호흡'의 첫번째 수록곡의 오마주 대상이 된다는 정보를 전달하며 쿠노를 관객에게 처음으로 보여주는 의미만이 있을 뿐이다
하지만 영화에서 한번도 등장하지 않았던 인물을 bgm의 사용을 위해 투입시켰다는 과감함에 나는 찬사를 보내고 싶다

<헨드헬드가 아니다>


잠깐 촬영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도록하자
영화의 전반에 걸쳐 들고찍기와 점프컷이 사용되는데 오히려 간헐적으로 사용되는 트랙킹이나 크레인에 무게를 두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위에 나오는 4명이 모두 보여지는 롱샷의 경우 헨드헬드가 아닌 트랙킹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이것은 곧 있을 폭풍 전야의 느낌을 형성하며 어쩔줄 몰라하는 유이치의 상황을 적절하게 표현한다 그리고 어머니의 사랑의 매가 시작되자 촬영은 급격한 헨드헬드로 바뀌며 교차편집되는 쿠노의 연주장면은 이것과의 대비를 위하여 아주 부드러운 트랙킹으로 촬영된다

한장면 한장면의 연출을 위해서 샷의 강약을 조절하는 능력이 아주 뛰어나다



북한이 정보의 통제를 통해서 국민들을 통제하고 있다면 자본주의 사회는 다른 커다란 정보를 이슈화 시켜서 국민들을 통제화한다
라는 이야기를 전에 어디선가 들은것 같다
우리가 사는 이 사회에서 정보는 바로 우리의 삶을 만든다
옆집 아들내미가 1등을 했기에 나도 공부를 열심히 해야하며 tv에서 아이돌 가수가 양산되던 90년대말 청소년들의 꿈 1위는 바로 '백댄서'였다
그리고 쉬리를 필두로한 한국영화의 성공은 수많은 청년들에게 영화학도의 꿈을 키우게 했다
어떠한 정보가 우리게게 전달되면 그것은 인간의 삶을 형성한다

이쯤에서 내가 첨부한 동영상을 봐주길 바란다 1분도 안되는 것이니까 꼭 보세요

<피아노 연주곡이 흘러나오기 시작한다>

간수를 피떡이 되게 패버리고 있는 제니를 두고 혼자서 빠져나온 크뤼거 할머니
그녀가 걷는 복도의 샷에서 조심스럽게 피아노 연주곡이 시작된다
그리고 간수가 폭행당하는 것을 알게된 다른 간수가 황급히 제니에게로 뛰어가는 모습을 크뤼거 할머니는 되돌아 본다
하지만 사실은 이것은 중의적인 의미이다

<갑자기 멈춰선 크뤼거 할머니의 시선을 따라가면 미친듯이 연주하는 제니가있다>

크뤼거 할머니가 쳐다본것은 표면적으로 뛰어가는 간수였지만 사실은 관객만 들을 수 있는줄 알았던 피아노 연주 소리였다
이럴수가 다시한번 외재적 내재음이 사용된다
2009/02/15 - [영상문법] - 영상문법 - 페이드 아웃, 외재적 내재음 <이터널 선샤인>
2009/02/21 - [영상문법] - 영상문법 - 사운드 복선 <포 미니츠, Vier Minuten>

나는 이번편의 설명을 외재적 내재음으로 하지 않았다
그것은 이번은 그런 기술적인 효과보다 이야기 흐름상의 효과가 더 컸기 때문이다
내재음과 외재음은 관객 모두 들을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그 차이는 영화의 캐릭터가 들을수 있는냐는 것으로 구분이 된다

첨부한 동영상의 8초 부근에서 피아노 연주가 조그맣게 시작된다
그리고 이 영화를 처음보는 관객은 그것을 외재음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크뤼거 할머니의 시선을 따라서 간수들이 잠긴문을 강제로 열고 들어가면 사실은 제니가 건반에 피를 묻히며 연주한 곡인 것을 알 수있다

무슨 이야기냐?
결국 이순간 관객은 크뤼거 할머니와 동일한 시점으로 변한다는 것이다
ost인줄 알았던 피아노 연주는 관객만이 들을 수 있어야 하며 크뤼거 할머니는 들을 수 없어야 한다 그리고 감독은 마치 그런것 처럼 피아노 연주가 시작됐는데도 크뤼거 할머니의 걸음은 멈추지 않는다
연주의 볼륨이 영화의 모든 것을 장악할 즈음에 그녀는 멈춰서고 그녀의 시점을 따라간다

이것은 의도적인 정보의 통제이다
분명 관객에게 이 피아노 연주가 제니가 하는 것임을 미리 알려줄 수 있다
하지만 카메라는 방을 빠져나온 크뤼거 할머니를 따라가고 그녀가 귀에 들리는 이 음악이 제니의 피아노 연주라는 것을 알아채고 나서야 관객에게 알려준다
정보의 전달을 늦춤으로써 순간적으로 관객과 크뤼거 할머니를 동일화 시킨다

이 연출의 의도는 명확하다
크뤼거 할머니가 받은 소름끼치는 충격을 관객에게 그대로 전달하기 위해서이다
다친손으로 연주했다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cd에서 흘러 나오는 것 같은 이 연주곡을 관객에게 일부러 ost처럼 느끼게 해놓고 나중에서야 진실을 알려주어 제니의 피아노 실력을 각인시켜주기 위한 연출이다

<OST라는 느낌을 주기 위한 고속촬영>

감독은 아마도 눈치빠른 관객이 이게 제니가 연주하는거 아니야?라고 알아채는 것을 두려워 했는 모양이다
크뤼거 할머니를 지나쳐서 뛰어가는 간수들의 모습이 슬로우 모션으로 보여진다
그리고 현장음은 전혀 없다 오직 제니의 피아노 연주만이 점점 크게 들려온다
그렇기 때문에 관객은 본능적으로 이 연주를 OST라고 생각하게 된다

그리고 이것은 명백한 영화적 허용이다
슬로우 모션이 보여진다면 영화의 공간에서 울려퍼지고 있는 제니의 피아노 연주 역시 슬로우로 재생되어야 한다
하긴 이것은 제니의 연주가 간수들의 움직임을 슬로우로 보여줘야 할만큼 빨랐다라고 해석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 장면의 연출에 대한 조금 다른이야기를 해보자

<2번의 점프컷이 사용된다>

다시한번 첨부한 영상 50초와 55초 부근을 자세히 살펴보자
크뤼거의 시선을 따라 쾌속질주하며 촬영된 장면에 2번에 점프컷이 존재한다
한번은 문을 열고 들어가서 좌회전 할때이며 (50초부근) 그리고 한번은 제니를 제압하는 경찰의 뒷모습에서 제니를 쓰러뜨릴 때이다

이 점프컷은 관객에게 눈치 채이지 않을 정도의 속도감을 가지고 순식간에 일어나므로 제니를 제압하는 장면에서의 스펙타클을 강조하기 위해서 사용되었다고 생각된다
실제로 고전적 헐리우드 스타일에서 정석화 되었던 연속 편집의 체계에서 최근의 영화들은 감정의 떨림, 불안감, 과격함, 영화의 리듬등을 위해서 점프컷을 문법화 시켜서 사용하고 있다

나는 프리즌 브레이크라는 미드를 보고 드디어 점프컷이 완전히 상용화 되었구나라고 느꼈으니 이제는 완전한 영화 문법이라고 말해도 될 것이다



중 고등학교 시절 문학시간에 '복선'이란걸 배우면서 생각했다
대체 이런 쓸데 없는 짓을 왜 하는걸까? (짓 = 복선)
이런 쓸데 없는 행위들이 수많은 영화에도 사용되고 있다
왜?
영화가 예술이냐 산업이냐를 떠나서 지적 유희이기 때문이다

2009/02/15 - [영상문법] - 영상문법 - 페이드 아웃, 외재적 내재음 <이터널 선샤인>
에서 이야기했던 외재적 내재음이 거의 유사한 방식으로 포 미니츠에서도 사용된다

<영화의 포스터와는 안어울리게 매우 다이나믹한 음악이 흘러나오기 시작한다>

이번에 소개할 장면은 이전에 포스팅에서 소개했던 첫번째 시퀀스가 끝나고 오프닝 크레딧이 지난직후의 것이다
드레스를 입은 여성이 보여지는 포스터와는 전혀 다르게도 갑자기 다이나믹한 록 음악이 흐르기 시작한다
그리고 화면은 트럭뒤에 실려진 피아노를 따라서 트럭에 타고 있는 사람들에게로 흘러간다

<아... 이것 역시 외재적 내재음이었다 아니.. 내재적 외재음인건가? 용어야 어쨌든>

트럭에는 뭔가 클래식한 할머니와 뭔가 펑키한 청년 두명이 타고 있다
시끄러운 음악에 잠이 깬 할머니는 동영상의 42초경에 트럭의 앞쪽으로 몸을 기울여 피아노 연주곡으로 BGM을 바꿔 버린다
오 마이 가드!
이번에도 속았다
똑같이 OST인줄 알았던 음악을 카오디오로 사용하다니 유행이냐?

이터널 선샤인 때도 이야기했던 것이지만 이것은 일종의 사기 행위다
음악은 분명 교도소의 전경씬으로부터 흘러나오기 시작했다 그리고 트럭이 달리는 현장음과 함께 달리고 있었다
그런데 이것이 카오디오에서 나오는 음악이었고 할머니의 교양있는 손으로 힘없이 틀어쥐기만해도 피아노연주로 바뀔 수 있는 것이었다니

이터널 선샤인때 말했던 외재적 내재음이다
다시한번 설명하면 외재음은 OST등의 관객이 들을 수 있지만 영화 안에는 존재하지 않으므로 영화속의 캐릭터들은 들을 수 없다
내재음이란 말그대로 영화속에 존재하여 누구나 다 들을 수 있는 소리다
분명 처음에 들판을 달릴때의 시끄러운 음악은 외재음이었다
이것이 내재음이라면 트럭을 촬영하는 위치에 따라서 볼륨이 달라야만 타당하다
하지만 이 음악은 트럭의 수염기른 젊은이가 틀어놓은 것이었고 이것은 할머님의 잠을 방해했다
그리고 42초경에 할머니는 견디지 못하고 OST인줄 알았던 이것을 피아노연주곡으로 바꿔 놓음으로써 한순간에 이것을 내재음으로 만든다

의미를 살펴보자
이터널 선샤인 포스팅에서의 의미와 비교하는 것이 좋겠다
이터널 선샤인은 관객을 속이는데 목적이 있었다
그리고 그렇게 관객을 속이는 이유는 바로 영화의 철학과 밀접한 관련이있었다
당신이 보고 듣고 믿고 있는 것이 진실이 아닐수도 있다는 그 철학은 내재음을 외재음이라 속이고 마지막 씬을 첫씬이라 속이고 조엘과 클레멘타인이 서로를 증오한다고 생각하며 매리는 아직 자신의 마음을 표현하지 못했다는 오해의 연속으로 펼쳐진다
이해가 안간다면 이터널 선샤인 편을 확인해주세요

하지만 포 미니츠에서의 의미는 다르다
여기서는 관객을 속이기 위한 것이 아니다
바로 '전환'에 큰 의미가 있다
이터널 선샤인을 잘 기억해보면 조엘이 카세트를 끄고 OST인줄 알았던 음악은 딱 끝나버린다 이렇게 명백하게 음악을 끊어버린 행위는 '관객 너네 속고 있었어'라고 명백히 말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새로운 OST는 그냥 은근슬쩍 흘러나와버린다
하지만 여기에서는 크뤼거 할머니가 피아노 연주곡으로 바꾼다
속이는 행위를 위해서라면 좀 이상한 상반된 음악의 급작스런 전환에 뭔가 큰의미를 부여하고 싶지 않은가?

이 포스팅의 제목처럼 이것은 '복선'이다
교도소에서의 제니의 험악했던 삶이 앞에서의 록 음악이라면 크뤼거 할머니가 손수 바꿔주는 피아노 연주가 바로 곧 바뀌게 될 제니의 삶이다
그것을 굳이 크뤼거 할머니의 손으로 바꿨다는 것이 그녀의 손에 의해 제니의 삶이 바뀔 것이라는 상징의 명백성을 보여준다
그리고 그 피아노 연주는 트럭을 타고 교도소로 들어간후 한참을 울리다가 트럭을 운전하던 간수의 손에 의하여 꺼진다
그녀의 삶이 간수에 의해 좌우된다는 상징인지 방해 받는다는 상징인지 결국 감옥으로 돌아온다는 상징인지 아무튼 크뤼거의 손에서 켜지고 간수에 의해서 꺼졌다는 것이 시사하는 바는 의미심장하다

크뤼거 할머니는 제니에게 말했지
흑인처럼 음악하지 말라고
하지만 크뤼거 할머니와는 다르게 천재였던 제니는 결국 마지막에 흑인클래식을 퓨전해 버리지 이것이야 말로 이영화의 진정한 카타르시스

그나저나 이 영화의 포스터는 좀 의아하다...
포스터에 비하면 영화가 훨씬 재밌기 때문에 누가 그딴 포스터를 만들었을까 라는 생각이 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