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연속 편집의 개념을 짚고 넘어가자
2008/12/19 - [영상문법] - 영상 문법 - 편집 : 시간의 압축,확장 <하나와 앨리스>
링크된 내 포스트를 보면 연속 편집의 개념에 대해서 잘 적혀 있다
하지만 이번에 소개할 '릴리슈슈의 모든 것'이라는 영화의 이 장면에는 (물론 전체적으로 이장면뿐만은 아니다) 연속편집의 개념이 너무나도 쉽게 무너지고 있다
그래서 필자는 이 포스트의 제목을 연속편집의 파괴라고 붙이고 싶었으나 그것은 나중에 꼭 한번 이야기 해보고 싶은 점프컷의 사용을 위해 아껴두고 싶다

아무튼 위의 동영상 클립을 보자

<연속편집의 개념을 무너뜨린 연속된 컷>

기본적인 문법을 무시한 이 컷팅을 보자
첫번째 스샷에 보면 맨앞에 걷고 있는 녀석이 바로 아래에 나오는 밀리터리 티를 입은 놈이다 분명 앞의 컷에서 밀리터리 티셔츠녀석은 걷고 있었다
그렇다면 기본적인 문법에서는 다음컷에 밀리터리 녀석이 프레임인 해야만 시간적으로 맞다고 할수 있다
하지만 이런 낡은 문법에 이와이 슌지는 얽매이지 않는다
그것이 뭐가 중요한가
그러한 낡은 방식을 일일이 지켜나가다가는 영화의 리듬도 느낌도 잃는다고 판단한것 같다
위의 스샷의 경우 분명히 맨 앞에서 걷고 있던 녀석이 다음컷에서는 프레임의 한복판에 서있고 '이상한 취미'라는 말을 내뱉는다
이것은 분명 명백한 연속편집의 위반이지만 그런것은 중요하지 않다
이와이 슌지가 보여주고 싶었던 것은 그들이 걷다가 주인공을 보내고 그 뒤에서 그가 그림을 가지고 가는 모습을 바라보며 이상한 취미 라고 말하는 장면 뿐이었다
그들이 굳이 걸어가다가 인사를 하고 주인공 혼자 자전거를 타고 지나치고 밀리터리 티셔츠를 입은 소년이 그뒤를 바라보며 '이상한 취미'라고 말하는 것을 모두 보여줄 생각은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도 보여주고 싶은것만 짧게 보여주는 이와이 슌지가 다음에는 너무나도 관대한 롱테이크를 보여준다

<주인공이 릴리슈슈의 포스터 그림을 보는 이장면은 1분동안이나 지속된다>

첨부된 동영상 17초에서 1분 15초까지 58초나 보여지는 이 롱테이크는 앞에서 아낀 샷들을 무색하게 만들 정도이다
앞에서 굳이 걷다가 멈추는 장면도 아껴서 바로 멈춰있게 연속편집을 파괴한 감독이 어째서 이런 재미도 없는 샷에 58초나 할애한 것일까
단순하게 말하자면 감독은 이장면을 더 많이 보여주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장면이 영화에서 큰 의미를 가지는 장면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사실 영화내내 주인공은 릴리슈슈의 음악을 듣고 좋아하지만 그가 얼마나 릴리슈슈를 좋아하는지는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하지만 영화의 극초반인 이장면에서 58초동안이나 멍하니 그림을 바라보는 이장면을 삽입함으로써 관객들에게 주인공이 릴리슈슈를 얼마나 사랑하는지를 무의식중에 알려주는 컷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와이 슌지는 앞에서 컷을 아끼고 보여주고 싶은 것들만을 보여주면서도 정작 자신이 보여주고 싶어하는 장면은 그것이 설사 재미없더라도 아끼지 않았다

 릴리슈슈의 모든것과 마찬가지로 이와이 슌지의 영화가 훌륭한것은 바로 이런 이유라고 생각한다
그는 영화에서 보여주고 싶은것과 보여줄 필요가 없는것을 구분하여 마치 시처럼 음악처럼 흘러가며 보여준다
때문에 관객들은 그가 보여준 것들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재구성하고 보여지지 않은 압축된 부분들을 상상하며 영화를 더욱 재미있고 깊게 받아들일수 있는 것이다

이영화가 3시간이나 되는 영화지만 아무런 무빙도 없이 58초간 보여주는 컷이 얼마나 대단한지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해보자


릴리슈슈의 모든것에 나오는 이 장면은 처음부터 끝까지 수평이 파괴되어 있다

한국에서 영화를 배울때 우리는 수평을 맞추는 법부터 배운다 기본적으로 수평을 맞춰야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영화에서 계속해서 수평을 맞추지 않는다면 어떻게 될까
그것을 이와이 슌지는 보여준다
하지만 아주 많이 틀어서 눈에 띄게하는것이 아니라 미묘하게... 관객이 알아차리지는 못하지만 느낌으로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레코드점에서 CD를 훔치는 장면 수평이 틀어져 있다>

위의 스샷을 보자
카메라에서 제일 먼 벽 부근을 보면 프레임의 윗 라인과 그 밑에 진열된 선반이 수평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이 화면은 수평이 아니라는 것이다
실제로 이 화면은 오른쪽 위로 틀어져서 왼쪽과 오른쪽의 높이가 다르다

영화의 초반에 등장하는 이 장면은 주인공이 친구들과 CD를 훔치는 장면이다
이장면이 전체에 작용하는 의미를 제쳐 두고 말하자면 결국 탈선 장면이라는 것이다
그래서 이와이 슌지는 이 장면을 계속해서 틀어진 수평으로 보여준다

<주인공이 CD를 훔쳐서 나가고 점원이 그뒤를 따라 나가자 수평은 맞게 된다>

솔직히 이야기 해서 첨부한 동영상 18초 부근에 나오는 이 장면이 의도한 것인지는 확신 할 수 없다
하지만 의도했다는 가정하에 이야기를 해보자
주인공들이 CD를 훔쳐 달아나고 그것을 발견한 점원은 소리를 치며 그들을 뒤따라 나간다
점원이 문밖으로 뛰어나가고 있는 첫번째 스샷을 보면 분명 수평이 틀어져 있다
하지만 점원이 나가고 나서 가게안이 계속 비춰지지만 카메라가 미세하게 움직여 두번째 스샷처럼 수평을 맞춘다
이것이 만약 의도한 장면이라면 감독이 말하고자 하는 바는 명확하다
그들의 범죄 현장만을 수평을 틀고 그들이 사라진 가게는 더이상 그렇게 촬영할 이유가 없다는 것이다
이와이 슌지는 단지 그들의 탈선행위만을 틀어진 수평으로 잡고 싶었을 뿐이다

<그들이 CD를 파는 장면의 마지막까지 수평은 틀어진다>

윗 스샷을 보면 수평이 상당히 틀어져 있다
이런 평평한 바닥에서 대체 누가 이렇게 촬영을 하겠는가
하지만 놀랍게도 관객들은 이러한 수평의 틀어짐은 눈치를 잘 채지 못한다
그저 이 장면이 조금더 스펙타클하다고 느낄 뿐이다
밑의 주인공의 클로즈업 역시 뒤의 가게 라인을 보면 수평이 틀어진 것을 알 수 있다
계속해서 반복해 말하지만 이렇게 틀어진 촬영은 100퍼센트 의도라는 것이다

<그들이 가게를 나와서 도망가는 장면에도 경고음은 계속해서 들린다>

수평이야기는 그만하고 CD를 훔쳐 달아나는 20초 부근의 이 장면을 다시 보자
가게에서는 그들의 탈선에 걸맞는 비트가 강한 음악이 흐르고 있고 주인공이 CD를 가방에 넣고 문을 통과하는 순간 도난방지경고음이 울린다
재미있는 것은 컷이 바뀌어 장소가 도로가 된 위의 스샷부분이다
당연하지만 가게의 음악은 들리지 않지만 이상하게도 도난 방지 경고음은 계속해서 울린다 그리고 그들이 씨디를 팔러 가는 장소 전까지 계속해서 멈추지 않는다

어째서 이소리는 멈추지 않는가
이소리는 분명 OST와 같은 외재음(영화에 등장하는 캐릭터는 듣지 못하고 오직 관객만 듣는 소리)가 아닌 내재음이다
그렇다면 장소가 바뀌었을때 가게의 음악과 같이 사라져야 하는것이 마땅하다
하지만 전에 하나와 앨리스의 사운드 셔레이드와 마찬가지로 이와이 슌지는 이 경고음을 이용한다 2008/12/31 - [영상문법] - 영상문법 - 셔레이드 <하나와 앨리스>
주인공들이 도망가는 이 장면을 계속해서 급박하게 만들기 위해서 이 경고음을 없애지 않는다
그리고 이 없어지지 않은 내재음은 관객들로 하여금 이들이 잡힐수도 있다는 불안감을 계속해서 만들어준다


<이글은 씨네마틱에 기사화된 글입니다>




미장센은 영화의 분위기를 꾸민다
스토리나 플롯처럼눈에 보이는 것이 아니라 눈치 채지 못하지만 다만 느끼도록 그렇게 관객을 설득한다

먼저 위의 동영상은 영화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에서 2부분을 잘라 놓은 것으로
각자 다른 부분이지만 장소의 미장센에 상당히 신경을 썼다

<마츠코의 제자 류가 교도소에서 출옥하는 장면>

먼저 마츠코의 제자였던 류가 감옥에서 출옥하는 장면을 보자
함박눈이 내리고 하얗게 쌓여있는 것, 교도소 앞에 놓여있기에는 조금 쌩뚱맞은 나무 한그루 이렇게 아름답게 이장면을 꾸민 이유는 무엇일까

사실 이장면은 마츠코가 감옥에서 출옥하여 이발사를 찾아가는 장면 (2009/01/12 - [영상문법] - 영상문법 - 영화적 허용 <혐오스런 마츠코의 일생>) 과 대비된다
마츠코는 벚꽃이 날리는 봄에 출옥했다 
그 장면역시 굉장히 아름다웠으며 봄은 '시작'을 의미하듯이 마츠코가 새 인생을 시작하기 위해 이발사를 찾아가는 장면이었다
그러나 결과는 시작이 아닌 끝이었다
위의 장면은 겨울이다 
류가 출옥하는 장면은 더이상 새로운 시작을 의미할수 없을 정도로 너무나도 하얀 겨울이다
플롯 구성상으로 류가 마츠코를 때리고 도망가는 이 장면은 마츠코의 '사랑'의 마지막이다 
많은 남자를 사랑하고 함께 살았지만 그녀의 마지막 남자는 그녀의 제자인 '류'였다
그리고 이 출옥 장면은 그와 그녀의 마지막 만남이다
그래서 감독은 이 장면을 겨울로 설정했다

<이 재회는 너무나도 아름답게 촬영된다>

그리고 그들의 재회는 이렇게 너무나도 아름다운 배경으로 촬영된다
하지만 이 '아름다운 설정'의 의미는 무엇인가
마츠코의 입장에서 아름 다운 재회를 그리는 것인가?
그렇다고 하기에 이 장면의 촬영은 마츠코의 시점으로 촬영되지 않았다
처음부터 끝까지 로우 앵글로서 마츠코의 시점과 반응샷으로 구성되지 않았다
이 장면은 마츠코의 시점보다는 조금더 객관적으로 구성되었으며 그것은 이 아름다운 배경과 그들의 영원한 이별의 충돌을 만들어 낸다

<마츠코에게 주먹을 날리고 도망치는 류>

영화를 보던 사람들은 이렇게 아름다운 새하얀 눈밭에서 마츠코의 아구리(?)를 한방에 날리고 도망가는 류의 모습을 보면서 실소를 자아냈을지도 모른다
필자 역시 이 장면에서 아이러니한 웃음을 지을수 밖에 없었다
이것은 일부러 만들어낸 감독의 의도이다
하얀 옷을 입은 마츠코와 검은 옷을 입은 류의 대비 그리고 아름답게 내리고 쌓인 눈.. 이 모든것이 마츠코에 대한 류의 죄책감을 터뜨리고 우스운 장면을 만들어낸다
결국 이 장면의 아름다운 미장센은 '아이러니'이며 이러한 방식은 앞에서의 마츠코의 출옥 장면과 마지막 마츠코의 죽음 장면에서도 똑같이 적용된다

과연 류가 문을 열고 나오는 장면에서 마치 흰 눈꽃처럼 보이는 이 교도소앞 나무의 존재는 정말로 바로앞에 나무가 있는 교도소를 찾은 것일까?
화면의 느낌으로 보건데 이 장면은 cg와 블루스크린의 합성으로 이루어진 장면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들었다
교도소와 눈은 몰라도 이 장면에서 오른쪽 구석을 차지하는 이 나무의 존재를 감독은 합성으로 만들어 낸 것이 아닐까
아름다운 눈꽃과 입체적 화면구성을 위해서 말이다

<마츠코의 죽음 역시 너무나도 아름다운 화면구성이다>

첨부한 동영상 48초부근부터 나오는 마츠코의 죽음 장면 역시 너무나도 아름답게 꾸며진다
푸른 잔디밭과 왼쪽에서 비춰지는 스팟 라이트 그리고 하늘에 떠 있는 별들이 너무나도 허망하고 비참한 마츠코의 죽음에 아이러니를 만들어 낸다

감독의 이러한 아이러니한 화면 구성은 역시 r.ef의 이별공식의 가사처럼 햇빛 눈이 부신날의 이별은 더욱 비참하다는 표현과 비슷하다
너무나도 아름다운 이별과 죽음의 장면을 구성함으로써 감독은 마츠코의 인생을 더욱 비참하게 만들어 내고 있다

죽음 장면의 왼쪽에서 제공되는 인공 조명에 의한 플레어 현상역시 예쁜 장면을 만들어 내기 위한 대표적 스킬이 아닌가

<이글은 씨네마틱에 기사화 되었습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