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만화 '바람의 검심'에 보면 이런 대사가 나온다
검은 살인 도구 검술은 살인술 아무리 좋은 미사여구를 붙여도 이것은 바뀌지 않는다
그렇다 검을 쥐고 사용하는 인간의 마음은 다를 수 있지만 검 그 자체는 사람을 베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다

하지만 세상의 대부분의 것들은 이것과 다르다
사용하게 따라서 그 의미가 다를 수 있다

수많은 영화의 문법 역시 그렇다

본격적인 이야기전에 이번에 다루는 영화에 대한 소개가 필요하겠다
제목만 이야기해서 모두 알만한 유명한 영화는 아니기 때문에...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스티븐 소더버그, 왕가위 세명의 감독에 의해 2004년에 만들어진 옴니버스 영화다
작년에 봉준호가 참여한 도쿄!와 같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되겠다

위에 클립해 놓은 것은 첫번째 에피소드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의 작품이다
위에는 40초 정도 밖에 되지 않지만 실제로는 1분이 넘는 롱테이크이다
여성의 가슴이 드러나서 자르고 올릴 수 밖에 없었다

하지만 나는 이 장면이 롱테이크의 잘못된 사용이라 해석한다

<여자가 반지 줍는 장면까지 모두 보여준다>

팬티만 입고 일광욕을 즐기고 있던 여주인공은 남편과 싸우고나서 옷을 챙겨 입는다
윗도리를 입고 반지를 주워 손가락에 끼우고 끈까지 묶어야 하는 치마를 입고 구두까지 챙겨 신는다

보면서 생각했다... 대체 이 장면은 왜이렇게 길지??
의도적으로 영화에 몰입하는 것을 방해했던 누벨바그처럼 일부러 관객들을 짜증나게 할 생각이 아니었다면 이 롱테이크는 실패한 것이라 생각한다

<대체 어떤 의도인가?>

이 영화에는 이것 말고도 의미를 찾기가 힘든 롱테이크가 많이 보인다
대체 이유가 무엇인가??
보통 롱테이크의 사용은 2009/01/30 - [video grammer] - 영상문법 - 크레인을 이용한 롱테이크 <아멜리에> 에서 처럼 한씬을 유기적으로 연결할때나 컷을 하지 않으므로써 리얼리티를 강조하거나 영화의 리듬상의 목적으로 행해진다

하지만 이 장면에는 아무것도 찾아볼 수가 없다
그저 이 장면을 왜 이렇게 길게 찍지?라는 의아심만을 자아내며 영화가 시작하자마자 지루하게 만든다

영화를 지루하게 만든다는 것은 나는 엄청난 실패라고 생각한다
기본적으로 영화는 대중에게 보여주기 위해서 찍는 것이다
그게 아니라면 극장에 걸필요도 없으며 배우를 쓸필요도 없고 그냥 홈비디오로  찍으면 된다

그런 기본적인 목적을 위해서 지루함은 배제해야할 첫번째 문제다
하지만 이 감독은 전혀 그런 것을 염두하지 않고 있다
왜인가?

이 영화에 대한 검색을 해보니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감독에 대한 인물평을 볼 수 있었다

<60년 칸 영화제는 미켈란젤로 안토니오니 감독의 <정사>를 두고 관객들 사이에 작은 소란이 있었다. 일부 관객은 길게 늘어지는 이 영화의 화면을 향해 '컷, 컷'하며 야유를 보냈다. 안토니오니는 외딴 섬에 친구들과 야유회를 온 남자가 여자를 만나고 여자가 사라지자 여자를 찾는 과정이 전부인 이 영화에서 여주인공이 어떻게 됐는지는 자기도 모른다고 말해 관객들을 신경질나게 했다. '스캔들'이었다.
그러나 곧 이 스캔들이 현대영화의 서막을 알리는 순간임이 분명해졌다. 뚜렷한 이야기도 없고 다음 줄거리가 어떻게 될지 설마 설마 하고 기다렸던 사람들은 끝내 결말을 보여주지 않는 영화에 분노했지만 안토니오니는 줄거리보다 다른 사람과 마음을 나누지 못하며 살아가는 현대인의 고독한 내면을 영화의 배경인 섬의 황량한 풍경 자체에다 처음부터 끝까지 비유함으로써 기승전결의 이야기의 한계에 갇히지 않는 현대 영화의 서막을 열었다.>                                                         

-DAUM 인물검색에서 발췌

아.. 그런거구나 예술이었구나 라고 하기엔 너무 한심한 생각이 들었다

1960년에 센세이션을 일으킨 방식을 2004년에 똑같이 사용하다니
위의 인물 검색을 읽고 놀랐다
아무리 생각해도 의미가 없는 롱테이크인데 왜 대체 이렇게 찍은 걸까 하는 나의 생각에 대한 답변이 적혀있었기 때문이다

즉 안토니오니 감독은 영화안에서 롱테이크의 의미를 부여하기 보다는 영화라는 매체 자체와 관객과의 단절을 시킴으로써 사회적인 의미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것이 예술인가?

44년전에는 예술일 수 있었다
그것은 새로운 표현이었으며 영화에 대한 시각을 넓히는 말그대로 예술의 표현이었으니까 하지만 지금은 아니다
2004년에 만들어진 이 작품은 잘못 만들어진 지루한 영화일 뿐이다
이제와서 변기를 가져다가 철수라고 이름 붙여봐야 예술이라고 아무도 인정해 주지 않는다 이것은 그런 문제다

영화 내적으로 쓰인 표현양식은 아직도 예술일 수 있다
하지만 영화 자체를 하나의 표현도구로 쓰는 것은 일회성 예술이다
그것은 만들고, 말하고 나면 사라지는 하나의 퍼포먼스다

너무나 안타깝다
네오리얼리즘의 한 감독으로서 자신의 표현양식을 추구한다고 해석해도 이것은 복제품 밖에 되지 않는다
변기를 가져다가 샘이라고 이름지어 센세이션을 불러 일으킨 44년뒤에 요강을 가져다가 철수라고 이름 짓는것이나 마찬가지다
 


사실 롱테이크하면 '살인의 추억'에 굉장히 좋은 장면이 있어서 소개하고 싶지만 한국영화는 저작권법이 아무래도 좀 심하게 적용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두려워서 포스팅하지 못하고 있다
이 포스트에서 소개하는 장면도 그렇지만 대부분의 좋은 롱테이크는 치밀한 동선과 함께 탄탄하게 구성된 움직임으로 관객의 무의식에 많은 것을 전달한다

영화 아멜리에에는 아주 많은 재미난 장면과 빈번한 수평의 파괴가 나오지만 유럽영화 답게 아주 높은 빈도수로 트랙킹이나 크레인을 이용한 롱테이크가 나온다
그 중에서도 영화에서 중요한 작용을 하는 이번 장면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도록 하자

<계산된 크레인의 움직임으로 프레임안에 보여주고자 하는 개체가 부드럽게 변한다>
  
첨부한 동영상을 본사람은 알겠지만 이번 장면은 25초 가량의 단 한컷이다
사진의 순서대로 카메라는 처음에 뒤에서 부르지만 왠지 모르게 신경쓰지 않고 자신의 길을 바쁘게 걸어가는 대머리의 뒷모습에서 그를 쫓아가는 남자를 잡았다가 그의 오토바이에서 떨어져 나간 가방을 돌아 그 뒤를 쫓아오다 그 가방을 줍는 아멜리에로 이어진다

이 장면이 롱테이크가 아니었다면 어떻게 편집 되었을까
차를 타고 떠나는 대머리의 뒷모습에서 그를 쫓아오던 남자가 오토바이를 타는 장면의 정면으로 넘어가고 그것이 패닝되어 쫓다가 차에 부딪혀서 떨어지는 가방에 클로즈업이 들어가고 뒤에서 나타나 그것을 줍는 아멜리에의 샷으로 넘어갈 것이다

정리해 놓고 보니 분명 편집이 되지 않은 롱테이크인데도 이 장면에서 가장 중요한 것들은 모두 잡아놓고 있다는 생각이 들지 않는가
하지만 이 롱테이크는 결코 쉬운장면이 아니다
생각하기에 따라서는 앞의 컷을 나눈 장면보다 훨씬촬영하기 어렵다는 생각도 든다
카메라 무빙의 속도와 배우들의 움직임을 맞춰야 하고 무엇보다 갑자기 나타난 차가 오토바이 옆의 가방만을 건드려서 떨어뜨리는 장면을 따로 찍지 않는다면 엄청난 ng가 발생할 것이기 때문이다(물론 미리 해놓은 장치로 자동차 옆을 스칠때 가방을 인위적으로 떨구는 방법이었는지도 모른다) 그리고 떨어진 가방을 쫓아오던 카메라가 돌아서 뒤를 보여주면 때맞침 뛰어오는 아멜리에와 함께 잡히는 타이밍이란 결코 쉬운 장면이 아니다
하지만 어째서 감독은 컷을 나누지 않고 이것을 한장면 쭉 보여주는가 (영화 아멜리에에서는 이러한 롱테이크가 굉장히 많이 사용된다)

그 첫번째로 영화의 분위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컷을 나누는 것은 영화를 리드미컬하게 하지만 그것은 결국 조작이고 연속편집을 하더라도 그것은 엄연한 의미의 완전한 연속은 아닐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롱테이크로 촬영된 샷에서는 완벽한 연속성을 만들 수 있으며 이러한 샷이 한 여자의 삶을 다룬 영화에서는 너무나 어울리는 분위기를 만들어 낸다고 생각한다
이 영화에서 아멜리에의 인생이 순간순간의 판단과 사건으로 자연스럽게 흘러가듯이 롱테이크로 촬영되는 장면들은 그런 흘러가는 인생을 표현하기에 가장 적절한 촬영 방법이 아니었을까 그래서 감독은 이러한 촬영 방식을 많이 배치해 둔것이 아닐까

또한 이러한 촬영 방식은 완벽한 연속성에서 기인하는 완전한 인과관계를 부여한다
만약 앞에서 설명했듯이 편집이 되었다면 그것은 편집에 의한 인위적인 인과관계의 부여이다 하지만 대머리남자에서 그를  쫓는 남자 그리고 그가 떨어뜨린 가방 그리고 그뒤에  뛰어오던 아멜리에가 그것을 줍는 장면은 인위적이지도 않고 당연히 받아들일 수 밖에 없는 인과관계의 사건이라는 것이다
행위의 의미를 살펴보면 도망간 대머리의 남자는 항상 사진을 찍고 그것을 찢어버리는 남자였고 찢어진 사진들을 모아서 앨범을 만든 남자는 그를 쫓아가서 그 의문을 해소하고 싶었다 그리고 그러한 추격속에서 그의 가방 하나가 자동차와 충돌하게 됐고(이것은 사고지만) 그에게 호감을 가지던 아멜리에가 그 가방을 주워서 자세히 살펴보는 것 까지의 완벽한 사건의 인과관계를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그리고 앞에서도 말했듯이 이 크레인 샷은 굳이 편집 되지 않아도 될 정도로 가장 중요한 샷들을 모두 보여주고 있다
때문에 감독은 연속성을 해치기 보다는 자연스러운 인과관계를 낫는 이러한 짜임새 있는 롱테이크를 선택한 것이 아닐까



먼저 연속 편집의 개념을 짚고 넘어가자
2008/12/19 - [영상문법] - 영상 문법 - 편집 : 시간의 압축,확장 <하나와 앨리스>
링크된 내 포스트를 보면 연속 편집의 개념에 대해서 잘 적혀 있다
하지만 이번에 소개할 '릴리슈슈의 모든 것'이라는 영화의 이 장면에는 (물론 전체적으로 이장면뿐만은 아니다) 연속편집의 개념이 너무나도 쉽게 무너지고 있다
그래서 필자는 이 포스트의 제목을 연속편집의 파괴라고 붙이고 싶었으나 그것은 나중에 꼭 한번 이야기 해보고 싶은 점프컷의 사용을 위해 아껴두고 싶다

아무튼 위의 동영상 클립을 보자

<연속편집의 개념을 무너뜨린 연속된 컷>

기본적인 문법을 무시한 이 컷팅을 보자
첫번째 스샷에 보면 맨앞에 걷고 있는 녀석이 바로 아래에 나오는 밀리터리 티를 입은 놈이다 분명 앞의 컷에서 밀리터리 티셔츠녀석은 걷고 있었다
그렇다면 기본적인 문법에서는 다음컷에 밀리터리 녀석이 프레임인 해야만 시간적으로 맞다고 할수 있다
하지만 이런 낡은 문법에 이와이 슌지는 얽매이지 않는다
그것이 뭐가 중요한가
그러한 낡은 방식을 일일이 지켜나가다가는 영화의 리듬도 느낌도 잃는다고 판단한것 같다
위의 스샷의 경우 분명히 맨 앞에서 걷고 있던 녀석이 다음컷에서는 프레임의 한복판에 서있고 '이상한 취미'라는 말을 내뱉는다
이것은 분명 명백한 연속편집의 위반이지만 그런것은 중요하지 않다
이와이 슌지가 보여주고 싶었던 것은 그들이 걷다가 주인공을 보내고 그 뒤에서 그가 그림을 가지고 가는 모습을 바라보며 이상한 취미 라고 말하는 장면 뿐이었다
그들이 굳이 걸어가다가 인사를 하고 주인공 혼자 자전거를 타고 지나치고 밀리터리 티셔츠를 입은 소년이 그뒤를 바라보며 '이상한 취미'라고 말하는 것을 모두 보여줄 생각은 없었던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도 보여주고 싶은것만 짧게 보여주는 이와이 슌지가 다음에는 너무나도 관대한 롱테이크를 보여준다

<주인공이 릴리슈슈의 포스터 그림을 보는 이장면은 1분동안이나 지속된다>

첨부된 동영상 17초에서 1분 15초까지 58초나 보여지는 이 롱테이크는 앞에서 아낀 샷들을 무색하게 만들 정도이다
앞에서 굳이 걷다가 멈추는 장면도 아껴서 바로 멈춰있게 연속편집을 파괴한 감독이 어째서 이런 재미도 없는 샷에 58초나 할애한 것일까
단순하게 말하자면 감독은 이장면을 더 많이 보여주고 싶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장면이 영화에서 큰 의미를 가지는 장면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사실 영화내내 주인공은 릴리슈슈의 음악을 듣고 좋아하지만 그가 얼마나 릴리슈슈를 좋아하는지는 표면적으로 드러나지 않는다
하지만 영화의 극초반인 이장면에서 58초동안이나 멍하니 그림을 바라보는 이장면을 삽입함으로써 관객들에게 주인공이 릴리슈슈를 얼마나 사랑하는지를 무의식중에 알려주는 컷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이와이 슌지는 앞에서 컷을 아끼고 보여주고 싶은 것들만을 보여주면서도 정작 자신이 보여주고 싶어하는 장면은 그것이 설사 재미없더라도 아끼지 않았다

 릴리슈슈의 모든것과 마찬가지로 이와이 슌지의 영화가 훌륭한것은 바로 이런 이유라고 생각한다
그는 영화에서 보여주고 싶은것과 보여줄 필요가 없는것을 구분하여 마치 시처럼 음악처럼 흘러가며 보여준다
때문에 관객들은 그가 보여준 것들을 바탕으로 이야기를 재구성하고 보여지지 않은 압축된 부분들을 상상하며 영화를 더욱 재미있고 깊게 받아들일수 있는 것이다

이영화가 3시간이나 되는 영화지만 아무런 무빙도 없이 58초간 보여주는 컷이 얼마나 대단한지에 대해서 다시한번 생각해보자

+ Recent posts